•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framework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3초

부산광역시 공업계 고등학교 정보 통신과의 전문 교과와 수학 교과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ubjects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Department and Mathematics in Technical High School, Busan metropolitan city)

  • 공현경;최준섭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6-6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고등학교 정보통신과의 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통신일반과 전자회로)와 수학교과(수학10-가, 수학10-나, 수학 I) 내용을 조사한 후 교과내용의 적합성, 교과간의 연관성 그리고 학습시차의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과 교과내용 구성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교과 중 선택교과와 전문교과의 교과목은, 학교별, 교과목 수별, 그리고 시수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각 학교의 특성, 학과의 특성등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에서 비롯되었다. (2) 통신일반 교과에서 수학 내용은 세 단원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었다. 그 수학 내용은 '수학10-가', '수학10-나', '수학 I' 모두 비슷한 항목에 분포되었으나, 그 중 통신 일반 교과의 '통신의 기초' 단원에서 수학 내용이 41.2 %로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한편, 통신일반 교과에서는 네 곳에서 공업계고등학교 수학교과 내용 범위를 벗어났다. (3) 전자회로 교과에는 수학 내용이 모든 단원에서 비교적 골고루 분포되었으나, '수학 I'보다 '수학10-가' 교과 내용이 8항목으로 많이 나왔으며, 전자회로 교과의 '증폭 회로' 단원에 수학 내용이 22.2 %로 가장 많이 나왔다.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앱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과 구성주의적 수업방안 (On Developments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Using Mobile Application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병학;송진수;박예은;장요한;정영훈;안진희;김준혁;고은령;장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207-229
    • /
    • 2019
  •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에 ICT기술을 접목한 수업의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꾸로 수업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의 필요성과 효율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거꾸로 수업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 콘텐츠와 그 활용방안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콘텐츠의 개발과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수 학습 유형을 분류하고, 구성주의 수학 교육 원리와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앱을 활용한 거꾸로 교실 수업 방안과 교수 학습 유형별 수학 교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수 학습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및 수업지도안을 제시한다.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al justific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2호
    • /
    • pp.85-99
    • /
    • 2003
  • In this paper, firstly examined various proofs types that cover informal empirical justifications by Balacheff, Miyazaki, and Harel & Sowder and Tall. Using these theoretical frameworks, justification activities by 5th graders were analyzed and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 1) Children in 5th grade could justify using various proofs types and method ranged from external proofs schemes by Harel & Sowder to thought experiment by Balacheff This implies that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can justify various mathematical statements of ideas for themselves. To improve children's proving abilities, rich experience for justifying should be provided. 2) Activities that make conjectures from cases then justify should be given to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a sense of necessity of formal proof. 3) Children hav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usage of mathematical symbol to advance to formal deductive proofs. 4) New theoretical framework is needed to be established to provide a framework for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justification activities. Research on proof mainly focused on the type of proof in terms of reasoning and activities involved. But proof types are also influenced by the tasks given. In elementary school, tasks that require physical activities or examples are provided. To develop students'various proof types, tasks that require various justification methods should be provided. 5) Children's justification type were influenced not only by development level but also by the concept they had. 6) Justification activities provide useful situation that assess students'mathematical understanding. 7) Teachers understanding toward role of proof(verification, explanation, communication, discovery, systematization)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proof activities.

  • PDF

Human Capacity Issues Along the STEM Pipeline

  • Melkers, Julia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2호
    • /
    • pp.1-18
    • /
    • 2010
  •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human capacity in economies is critical to long term competitiveness, but also for the overall health and environment of regions. Yet, human science and technology-based capacity is multidimensional and has interrelated characteristics which present certain policy challenges. This paper addresses a range of issues specific to a discussion on human capacity in S&T. First, the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of human capacity issues and how they evolve along th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pipeline. The pipeline is an often used reference to describe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in STEM discipline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more advanced training, and finally to 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nd serves as a useful organizing framework for the discussion of capacity along the career evolution process. Second, the paper offers an organizing framework for discussion of policy mechanism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address issues and gaps that occur along this STEM pipeline. Specifically, it contrasts the traditional mechanisms of building human capacity in STEM areas with newer "gap filling" and integrated approached to addressed human capacity disparities and priorities. Third, the paper addresses core challenges in human capacity in STEM, includ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participation of women and underrepresented groups, brain drain/brain circulation issues, and the globalization of science.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policy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apacity.

RISK-INFORMED REGULATION: HANDLING UNCERTAINTY FOR A RATIONAL MANAGEMENT OF SAFETY

  • Zio, Enric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5호
    • /
    • pp.327-348
    • /
    • 2008
  • A risk-informed regulatory approach implies that risk insights be used as supplement of deterministic information for safety decision-making purposes. In this view, the use of risk assessment techniques is expected to lead to improved safety and a more rational allocation of the limited resources available. On the other hand, it is recognized that uncertainties affect both the deterministic safety analyses and the risk assessments. In order for the risk-informed decision making process to be effective, the adequate representation and treatment of such uncertainties is mandatory. In this paper, the risk-informed regulatory framework is considered under the focus of the uncertainty issue. Traditionally, probability theory has provided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for the representation and treatment of uncertainty. More recently, other mathematical structures have been introduced. In particular, the Dempster-Shafer theory of evidence is here illustrated as a generalized framework encompassing probability theory and possibility theory. The special case of probability theory is only addressed as term of comparison, given that it is a well known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 special case of possibility theory is amply illustrated. An example of the combination of probability and possibility for treating the uncertainty in the parameters of an event tree is illustrated.

수업설계와 예비교사의 학습: 수학교수관행을 분석틀로 사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 검토 활동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고찰 (Lesson Planning: How Do Pre-service Teachers Benefit from Examining Lesson Plans with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as an Analytical Lens?)

  • 이지은;임웅;김희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211-222
    • /
    • 2016
  • 본고는 미국수학교사협의회(NCTM)의 대표적 최신 출판물인 원리에서 실천으로(Principles to Actions)에 제시된 8개 항목의 수학교수관행(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MTPs)을 분석의 틀로 이용하여, 초중등 예비교사들이 수업지도안 수정활동에 참여한 과정을 보고하고 있다. 이 과제는 주어진 수업지도안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활동을 포함한 4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57명의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 간에 걸쳐 이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기개념은 수업관행(가령 MTPs)을 미약하게 반영하고 있었으며, 지도안 구성요소들의 기능보다는 형식을 더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MTPs를 수업지도안 분석의 틀로 이용하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예비교사들이 MTPs 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보여주었고, MTPs를 수업지도안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MTPs 간의 상호연계성에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고는 이 수업지도안 수정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겪은 도전 및 갈등도 제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MTPs의 효과적 사용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는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 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hange of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Geometry Domain)

  • 김현미;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의 내용 및 성취기준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분석틀을 기초로 시기별 성취기준을 연속형, 소멸형, 추가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도형 영역에서 연속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51%이고, 학년 및 영역의 변동 없이 지속된 성취기준이 많았다. 소멸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0.4%이고, 제3차의 수학 현대화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도입되었던 학습 내용들이 제4차 교육과정에서 삭제되면서 가장 많이 소멸되었고, 제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단계형 교육과정과 학년군의 도입으로 학습 내용이 통합되거나 중학교로 이동되면서 소멸되었다. 추가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8.6%이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 감각 기르기가 도입되면서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추가되었다. 도형 영역에서 추가형 성취기준이 소멸형 성취기준보다 많은 것은 학습 내용 축소라는 교육과정 개정의 큰 흐름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맞는 기하 내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교육과정 개발 시 새로운 성취기준의 구성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Analysis of Error Types in the Differential Problem Solving Progress)

  • 전영배;노은환;최정숙;김대의;정의창;정찬식;김창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45-562
    • /
    • 2009
  • 미적분은 우리 생활의 여러 방면에 활용되고 있으며, 경제학이나 행정학 등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기초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공계에서만 중요시하게 다루어지는 것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다행히 2010년부터는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수학과 교육과정에 미적분 단원이 도입된다고 한다. 처음 미적분을 접하게 되는 학생들은 먼저 미분학습에서 흥미를 잃는다거나 미분학습에 대한 불안과 기피현상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평소 접할 수 있는 일반화된 미분문제를 중심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전문가의 검토와 예비검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최종 검사지를 투입하여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틀에 맞게 분류 분석함으로서 미분학습 지도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중등 수학 수업에서의 나눔 사례를 통한 수업 성찰문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Lesson Reflection through the Lesson Reflection Sharing Case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lass)

  • 황혜정;문두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69-390
    • /
    • 2021
  • 교사 스스로 수업에 대해 성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업 나눔을 통해 동료 교사와 함께 수업을 성찰하면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함은 교사로서 온당한 일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성찰과 수업 나눔을 위해 기준과 초점을 제시할 수 있는 수업 성찰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들(최승현, 2007; 황혜정, 2012)의 수업 평가 기준을 토대로 수업 성찰 요소를 마련하고 수업 성찰문 초안을 마련하였다. 공동 연구자가 재직 중인 C고등학교의 3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에서 동일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동료 교사 4명은 수업 성찰문 초안에 기초하여 수업에 대한 개인 의견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나눔을 실시하고 해당 수업 나눔 사례를 분석하여 수업 성찰문(수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수업 성찰문의 문항별 질문 의도를 사전에 공유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의 특정 요소에 국한, 집중하여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 성찰문 작성과 더불어 수업 나눔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다.

동적 이벤트 처리 기반의 RFID 시스템을 위한 애스펙트 모듈 설계 (Aspect module design for dynamic event based RFID system)

  • 박세승;황희정;최진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0권2호
    • /
    • pp.11-25
    • /
    • 2006
  • 현재 RFID 미들웨어의 표준은 RFID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EPCglobal의 ALE(Application Level Event) 이며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에 독립적으로 운영 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인터페이스와 확장점 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확장점을 통한 기능의 확장에 대한 부분은 표준화 되어 있지 않으며 운영중에 있는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코드를 추가 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기법을 도입한 동적 ALE 미들웨어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애스펙트를 설계했다. 설계된 미들웨어 프레임워크 및 애스펙트는 동적인 기능의 확장을 제공해 기존 ALE 기반 미들웨어의 기능확장에 따르는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표준화된 방법으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