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surfac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3초

경부 피하조직내에 발생한 기관지성 낭종 (Cervical Bronchogenic Cyst)

  • 김석주;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7-250
    • /
    • 1997
  • Bronchogenic cysts are thought to be uncommon developmental anomalies. They develop from small buds or diverticuli that separate from the foregut in the formation of the tracheo-bronchial tree. They are nearly always located near the tracheal bifurcation; However, these lesions can occur anywhere along the tracheo-bronchial tree. We experienced a case of cervical bronchogenic cyst presenting sorely as an anterior neck mass in a 26-year-old woman. The neck ultrasonography showed as $1.4{\times}1.1cm$ sized hypoechoic lesion with a well-defined margin on the isthmic portion of the thyroid gland. Excision of the mass was carried out. The mass was superfical to the strap muscle and was contained within the subcutaneous tissue in the midline without any connection to the trachea. Grossly, the mass was an oval-shaped cystic lesion which measured 1.5 cm in the greatest diameter. The cyst was filled with thick, yellow, jelly-like material and the inner surface was smooth and glistening. Microscopically, the cyst showed a lining of ciliated columnar epithelium, beneath which was a loose areolar stroma containing plaques of mucous glands and mature cartilage. We thought this cervical bronchogenic cyst appeared to represent an expression of complete aberrent accessory lung bud detachment from the primitive foregut.

  • PDF

화재에 의한 흡입연기의 호흡기 내 침착에 관한 연구 (Deposition of Inhaled Smoke Particles Produced by Fire)

  • 구재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4-73
    • /
    • 2007
  • 호흡기 내에서 유해물질의 체내흡수 및 방어특성은 영역별로 다르며 흡입연기의 장 단기 인체 유해성은 연기의 호흡기 내 침착위치 및 침착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소부피 위치 추적법을 이용한 입자침착율 계산 기법을 사용하여 휴식 및 가벼운 운동에 해당하는 호흡조건별로 또한 구강 및 비강 호흡별로 각 입자크기에 대하여 호흡기 각 영역별로 단위 면적당 침착분율 등 침착 특성을 구하였다. 이 결과는 연기에 흡착된 유해물질의 체내 흡수량 산정 등에 이용되어 연기의 인체 유해성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늑골에서 발생한 개연골육종의 증례 (A case of canine chondrosarcoma from the rib)

  • 김성재;곽호현;박인철;윤병일;한정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7-151
    • /
    • 2012
  • We report large tumors of the left thoracic cavity, which arose from the ribs, were diagnosed as chondrosarcoma in a 4-year-old male mixed dog. The dog was presented with swelling in the left side of the chest wall and lameness. The masses were found to be circumscribed, whitish-grey, large and firm. The cut surface revealed whitish-grey lobules of varying size with cartilaginous consistency. Those were subsequently metastasized to the lung and mandibular lymph node. Histologically, the tumors were made up of clusters of chondroid cells having pleomorphic hyperchromatic nuclei with occasional mitosis. A specia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agnosis. Chondroid matrix in tumor showed a positive reaction for alcian blue-periodic acid-Schiff staining. Immunoreactivity to S-100 proteins was present in the cytoplasm and/or nucleus of chondrocytes in tumor. The final diagnosis was grade III chondrosarcoma in the rib, considering histological features in grading criteria.

백서 기관 및 후두에서 분비조직의 발생 (Development of Secretory Element in Murine Trachea and Larynx)

  • 조정일;박기현;김광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67
    • /
    • 1993
  • 기관 및 후두의 점막표면은 중이나 이관과 마찬가지로 점막섬모 정화작용, 면역글로린, 항세균 효소 등의 다양한 점막 방어기전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데 기관 및 후두의 분비선과 분비세포의 형태에 관한 보고는 많으나 분비활성도와 연관된 분비조직의 발생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못하다. 저자들은 백서 기관 및 후두의 분비조직의 발생을 알아보고 향후 기관 및 후두의 발생형태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기 위해서 임신 16일부터 생후 21사이의 백서를 이용하여 H & E 염색, AB-PAS 염색과 lysozyme의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백서 기관 및 후두분비조직의 발달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백서 기관 및 후두의 분비기능은 출생후 폐의 통기와 함께 활성화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플라즈마 중합 처리된 중공사 막의 혈액 적합성 (Blood Compatibility of Hollow Fiber Membranes Treated by Plasma Polymerization)

  • 이삼철;권오성
    • 멤브레인
    • /
    • 제15권3호
    • /
    • pp.233-240
    • /
    • 2005
  • 유용하고 중요한 의료기기인 폐 보조 장치(LAD)의 혈액 접촉 표면과 인공 폐 막에 사용하기 위한 혈액 적합성 생체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중공사 막의 표면 개질을 수행하였다. 재료의 혈액적합성은 항응고 처리된 혈액을 사용하였고 플라스마 응고 형성, 혈소판 접착 및 플라스마 응고 활성화, 그들의 표면 혈전 형성을 평가하여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실리콘 코팅 중공사들에 부착한 혈소판 수가 우수한 혈액 적합성을 나타내는 폴리프로필렌에 부착한 혈소판 수보다도 상당히 더 낮았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플라스마 표면 처리한 폴리프로필렌 중공사 막이 혈액 적합성 평가에서 보체 활성화 억제를 보였음이 확인되었다.

Next-generation sequencing for the genetic characterization of Maedi/Visna virus isolated from the northwest of China

  • Zhao, Ling;Zhang, Liang;Shi, Xiaona;Duan, Xujie;Li, Huiping;Liu, Shuyi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6호
    • /
    • pp.66.1-66.9
    • /
    • 2021
  • Background: Maedi/Visna virus (MVV) is a contagious viral pathogen that causes considerable economic losses to the sheep industry worldwide. Objectives: In China, MVV has been detected in several regions, but its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genetic variations were not thoroughly investigated. Method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next-generation sequencing on an MVV strain obtained from northwest China to reveal its genetic evolution via phylogenetic analysis. Results: A MVV strain obtained from Inner Mongolia (NM) of China was identified.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its whole-genome length is 9193 bp. Homology comparison of nucleotides between the NM strain and reference strains showed that the sequence homology of gag and env were 77.1%-86.8% and 67.7%-75.5%,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NM strain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ference strains isolated from America, which belong to the A2 type. Notably, there were 5 amino acid insertions in variable region 4 and a highly variable motif at the C-terminal of the surface glycoprotein (SU5).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show the whole-genome sequence of an MVV obtained from China. The detailed analyses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MVV, and the results enrich the MVV library.

Gefitinib induces anoikis in cervical cancer cells

  • Byung Chul Jung;Sung-Hun Woo;Sung Hoon Kim;Yoon Suk Kim
    • BMB Reports
    • /
    • 제57권2호
    • /
    • pp.104-109
    • /
    • 2024
  • Gefitinib exerts anticancer effects on various types of cancer, such as lung, ovarian, breast, and colon cancers. However, the therapeutic effects of gefitinib on cervical cancer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remain unclear.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gefitinib can be used to treat cervical cancer and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Results showed that gefitinib induced a caspase-dependent apoptosis of HeLa cells, which consequently became round and detached from the surface of the culture plate. Gefitinib induced the reorganization of actin cytoskeleton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p-FAK, integrin β1 and E-cadherin, which are important in cell-extracellular matrix adhesion and cell-cell interaction, respectively. Moreover, gefitinib hindered cell reattachment and spreading and suppressed interactions between detached cells in suspension, leading to poly (ADP-ribose) polymerase cleavage, a hallmark of apoptosis. It also induced detachment-induced apoptosis (anoikis) in C33A cells, another cervical cancer cell lin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fitinib triggers anoikis in cervical cancer cells. Our findings may serve as a basis for broadening the range of anticancer drugs used to treat cervical cancer.

Co-60에 의한 전신조사시 선량분포 (Dose Distribution of Co-60 Photon Beam in Total Body Irradiation)

  • Kang, Wee-Sai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권2호
    • /
    • pp.109-120
    • /
    • 1991
  • 골수이식을 받게 될 환자의 이상 골수를 완전히 죽이기 위해 MV 정도의 선질의 광자선에 의한 전신방사선요법이 시행되고 있다. 국소방사선요법에 이용되고 있는 방사선치료장치에 의한 일상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전선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하기에는 조사면의 크기가 훨씬 미치지 못한다. 그래서 환자의 전선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방사선 전신조사를 위한 여건이 병원에 따라 다를 것이기 때문에 병원에 따라 독특한 방법이 개발될 수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코발트치료기 만이 두부를 기울일 수 있어서 전신조사에 이용될 수 있다. 코발트치료기의 두부를 밖으로 90$^{\circ}$ 기울일 때 선축은 수평이고 또한 맞은편 벽과 직각이 된다. 이 때 선원에서 맞은편 벽가지 거리는 319cm 이였다. 벽에서 환자의 중앙시상면까지 간격을 40cm라고 가정할 때, 중앙시상면에서 명목상 최대 조사면 크기가 122cm$\times$122em 이였고, 조사선량 분포를 측정한 결과로는 130cm$\times$129cm 이였으며 상하방향에서는 대칭이 아니였다. 환자가 쭈그리고 앉은 자세를 취한다면 조사면의 크기는 전신조사를 시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환자 좌우폭의 평균을 30cm 라고 가정하고, 중앙시상면에서 선원쪽 15cm 위치에 기준표면 (SSD는 264cm, 명목상 조사면 크기 115.5cm$\times$155.5cm)을 두고 단면의 크기가 25cm$\times$25cm이고 두께가 30cm 인 폴리스티렌 팬톰에서 평판형 전리함으로 PDD를 측정하였다. 최대선량점의 깊이는 0.3cm 이였고 표면선량율은 82%, 50% 깊이는 16.9cm였다. 대향조사시 선축상 선량분포는 중점의 선량에서 10%이내로 일치하였다. SCD를 279cm. 최대 조사면, 기준깊이 15cm 에 대한 TPR 을 폴리스티렌 팬톰에서 깊이 10cm 에서 20cm 에 걸쳐 측정하였다 . 측정범위에서 TPR 은 직선성을 보였다. 인체팬톰의 최대 전단면(coronal plane) 에 있는 각 구멍에 TLD 조각을 넣고, 코발트 선원에서 팬톰의 시상면까지 거리를 279cm 되게 하고 선축은 팬톰의 27번 절편과 28번 절편의 접변과 최대 전단면의 교차선과 일치시켜 양방향에서 15분씩 조사하여 전단면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팬톰내 선축상 중앙점의 선량을 기준으로 다른 부위의 선량을 비교하였다. 두경부와 복부, 폐의 하반에서 선량의 차이는 $\pm$ 10% 이내였고, 폐의 상반과 어깨와 골반 부위에서 선량은 1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특히 어깨부위에는 3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이로부터 서울대병원과 유사한 조건에서 코발트로 전신조사하는 경우에는 폐나 두경부에 대응하는 조직보상체를 이용하기보다는 어깨부위에 선량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PDF

폐암 진단에 적용 가능한 측면 유동 면역 형광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Lateral Flow Immunofluorescence Assay Applicable to Lung Cancer)

  • 뮬야수피안토;임정민;이혜진
    • 공업화학
    • /
    • 제33권2호
    • /
    • pp.173-178
    • /
    • 2022
  • 탄소나노점@실리카를 신호 형질 소재로 이용한 측면 유동 면역 형광 분석법을 개발하여 폐암 바이오마커 중에 하나인 레티놀 결합 단백질 4의 농도를 분석하는 데 적용하고자 하였다. 측면 유동 면역 형광 분석법에서 항원 검출을 위해 바이오리셉터로 주로 사용하였던 항체 대신 좀 더 경제적이고, 장기간 보관성이 용이하며, 특정 표적 단백질에 대해 친화력이 강한 압타머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사용하였다. 레티놀 결합 단백질 4에 특이적이며 5' 말단을 비오틴으로 변형한 압타머를 뉴트라비딘과 반응시켜 비오틴과 뉴트라비딘의 강한 결합력에 의해 압타머가 니트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압타머가 고정된 스트립에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항체를 공유결합으로 고정한 탄소나노점@실리카 블루 형광 신호 형질 나노입자와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항원을 측면 유동 방식으로 흘려 주어 샌드위치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샌드위치 복합체에서 탄소나노점@실리카 나노입자에 의한 형광 신호를 측정하여 항원 농도를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선정하기 위해 전개 완충용액에 첨가된 계면활성제의 농도, 이온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블로킹 시약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150 mM NaCl 및 0.05% Tween-20을 포함하는 10 mM Tris 완충용액(pH 7.4)에서 0.6 M 에탄올아민을 블로킹 시약으로 사용하였을 때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도포된 압타머와 레티놀 결합 단백질 4 항원 및 탄소나노점@실리카 나노입자로 레이블링한 항체가 결합하여 최적의 형광분석신호를 내는 것을 확인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진단검사 키트로 현재 각광을 받고 있는 측면 유동 면역 형광 분석법에서 항체 대신 압타머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고정함으로써 좀 더 경제적이며, 장기간 보관이 용이한 측면 유동 면역 형광 분석 칩을 제작하여 폐암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폐포대식세포의 부착에 의한 산소유리기 분비능 활성화 및 그 기전 (Adhesion-induced generation of oxygen free radical from human alveolar macrophages and its mechanisms)

  • 정만표;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210-220
    • /
    • 1996
  • 식세포인 호중구나 단핵세포는 생체외실험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분리법인 플라스틱 표면부착만으로도 세포활성화가 일어나 이후의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고 이 과정에 부착분자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의 주된 면역세포인 폐포대식세포도 대부분 플라스틱 표면부착에 의해 세포를 분리하므로 사람의 폐포대식세포가 표면부착 자체에 의해 활성화되는지 알아보고 세포활성회에 부착분자와 같은 기전이 관여하는지 밝히기 위해 적어도 한 쪽 폐가 정상인 사람에서 기관지폐포세척술을 통해 얻은 폐포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표면 부착이 미치는 영향을 과산화수소 분비량 측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포대식세포는 플라스틱 표면에 부착되면 부착 자체에 의해 과산화수소 분비능이 증가하고 이런 상태에서는 PMA나 fMLP와 같은 추가적인 화학자극물질에 의해 과산화수소 분비가 증가되지 않았다. 2) 여러가지 표면중 A549세포단층에 부착될 경우에만 이후의 PMA와 fMLP자극 모두에 의해 과산회수소 분비가 증가하였다. 3) PMA는 세포 부착여부에 관계없이 과산화수소 분비를 자극하지만 fMLP는 폐포대식세포가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만 자극효과가 나타났고 이런 부착세포에서의 fMLP에 의한 과산회수소 분비 효과는 단백합성억제제인 cycloheximide, G단백차 단제인 일해독소와 $\beta_2$ integrin 부착분자에 대한 항체인 항CD18 단세포항체 3가지 모두의 의해 차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사람의 폐포대식세포는 플라스틱 부착자체에 의해 활성화되므로 부착 이후의 자극물질에 대한 효과가 반감되지만 폐포상피세포와 같은 생물학적 표면에 부착될 경우에는 이후의 세포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PMA는 세포 부착여부에 관계없이 세포를 자극하는 반면 fMLP는 세포 부착상태에서만 자극효과가 나타나며 이런 부착세포에서의 fMLP에 의한 산소유리기 자극효과는 G단백결합 수용체를 통한 새로운 단백합성 과정으로 이루워지면서 $\beta_2$ integrin을 통한 폐포대식세포와 폐포상피세포의 부착에 의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