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presence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7초

이러닝의 특성과 유용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d Use of e-Learning)

  • 권순동;윤숙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7권1호
    • /
    • pp.35-54
    • /
    • 2010
  • Why does e-Learning service for individuals remain in the early development stage? To find the answers of this question, we adopt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continued use as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inferred convenience, cost-effectiveness, social presence, interactivity, concentration, and procrastin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e-Learning users. Convenience and cost-effectiveness of e-Learning tend to enhance usefulness and/or intention to continued use, while lack of social presence, inter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e-Learning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end to hinder usefulness and/or intention to continued use. To prove this research model, we used a data set collected from the survey. The respondents of survey were the undergraduate students who used voluntarily e-Learnin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75 respondents by partial least square. The analysis result of causal relation indicated that convenience and cost-effectiveness influenced both usefulness and intention to continued use, and that cost-effectiveness and concentration influenced only intention to continued use. But, interactivity and procrastination did not influence usefulness and intention to continued use.

  • PDF

e-러닝 콘텐츠의 정보제시방식이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Learning Contents'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on Teach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 김진하;김경희;이성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79-87
    • /
    • 2019
  • 본 연구는 이중부호화, 매체풍부성, 인지부하의 정도가 다른 e-러닝 콘텐츠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e-러닝 콘텐츠의 학습내용 요약과 설명의 정보제시방식을 정보 양과 종류에 띠라 분류한 후, 교수실재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요약 제시방식은 텍스트형과 텍스트+그림형으로, 설명 제시방식은 음성형과 음성+영상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방식 중 텍스트+그림형의 교수실재감이 텍스트형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 둘째, 설명방식 중 음성형의 학업성취도가 음성+영상형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 셋째, 요약방식과 설명방식 간에 교수실재감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이러닝 서비스의 e-CRM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CRM on the Reuse Intention of e-Learning Service)

  • 홍규정;강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83-396
    • /
    • 2021
  • 본 연구는 e-CRM이 이러닝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e-CRM과 이러닝 재이용 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CRM(e-마케팅, e-서비스, e-커뮤니케이션)은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재감의 하위요인들인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또한,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CRM이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이러닝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e-마케팅과 e-서비스는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쳤지만, e-커뮤니케이션은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재이용 의도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e-CRM이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e-마케팅과 e-서비스는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e-커뮤니케이션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교수 실재감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e-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이러닝 성과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였다.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여부와 발화속도가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cturer Appearance and Speech Rate on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in Video Learning)

  • 태효하;제혜금;김보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는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 여부와 교수자 발화속도가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의 효과에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실험 대상자는 중국 형태대학교 1학년 183명이며, 이들에게 교수자가 출연여부와 발화속도 고저의 4가지 동영상을 학습하도록 한 후,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수자가 출연한 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발화속도가 높은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이 낮은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출연여부와 발화속도의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강의 동영상을 개발할 때 교수자의 출연여부와 발화속도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제공한다. 즉 가급적 동영상에 교수자가 출연하여 표정,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방식으로 사회적 단서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수자는 동영상에서 약간 빠른 속도로 설명함으로써 학생이 학습에 더 집중하여 몰입하게 할 수 있다. 교수자 출연과 빠른 발화속도는 학습에 몰입하게 하고, 동영상에서 교수행위가 실재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주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amification E-Learning Classe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on University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Immersion, Teaching Presence)

  • 허명;진상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3-83
    • /
    • 2023
  •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기반한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3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G광역시 G대학교 학생 59명을 대상으로 강좌 전후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Win 26.0을 이용하였으며 서술통계, 분산분석(ANOVA),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결정성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수업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p<.0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사후 검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 실시한 결과, 성별이 학습몰입도의 사후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7.9%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수업이 학습자의 수업참여도, 학습몰입도, 교수실재감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대학에서 이러닝의요구가 확대되고 있으므로 자기결정성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이러닝 수업이 교양 및 전공영역에서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온라인 창업 교육의 사회적 현존감과 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학습 기대감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Expectancy in Social Pres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현선해;서문교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79-87
    • /
    • 2017
  • 기존 온라인 창업 교육 연구에서는 교육이 실제 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됐을 뿐 교육 효과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사회적 현존감을 이용해 학습 기대감과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했다. 또한 학습 기대감을 매개 변수로 활용해 사회적 현존감과 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전국 189명의 창업 관련 온라인 수업을 들은 대학원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 이론에 근거해 가설과 설문문항을 만들었으며, 교육 만족도의 경우 운영 만족도와 콘텐츠 만족도로 구분해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구분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 결과 사회적 현존감은 학습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학습 기대감은 운영 만족도와 콘텐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현존감이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학습 기대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콘텐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는 간접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온라인 창업 교육을 실시할 때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학습 운영의 만족도를 높일 때는 학습자의 부담감을 줄여 기대감을 높여야지만 효율적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모달리티가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ality and Smart Device on Learner's Interaction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 박세영;신동희;김태양;신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7-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기기의 유형 및 모달리티(modality)가 학습자의 주관적인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모달리티는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상호작용경험 평가, 다른 학습자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유형의 경우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모달리티가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변인으로서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양한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설계 원리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in Cyber Education utilizing Electronic Media)

  • 주영주;정애경;이상회;김선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8권2호
    • /
    • pp.71-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W사이버대학의 2010년 2학기 사회복지조사론학과 3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beta}$=.69, p<.05)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역시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beta}$ = .38, p<.05)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학습몰입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만족도를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의 성공적인 학습전략을 제공하는 운영전략을 제언하였다.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Presence, Rapport and Learning Satisfaction)

  • 송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59-267
    • /
    • 2020
  •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더불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근거하여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연계된 학습자의 학습과정 변인으로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경기지역 A대학교 및 대전지역 K대학교의 재학생 37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감성적 실재감은 라포와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라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중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영상 학습에서 교육 에이전트와 자막이 학습자의 사회적실재감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dagogical Agent and Redundant Text on Learners' Social Presence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Video Learning)

  • 박소연;한광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73-82
    • /
    • 2023
  • 본 연구는 2(교육 에이전트: 유 vs. 무) × 2(자막: 유 vs. 무) 피험자간 요인 설계를 사용하여 교육 에이전트와 음성 내레이션과 중복된 자막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진행했다. 자막이 없을 때는 교육 에이전트의 포함여부와 관계없이 사회적 실재감, 만족도 및 학습 지속의향에 차이가 없었으나 자막이 있을 때는 교육 에이전트가 있을 때 참가자의 사회적 실재감, 만족도 및 학습 지속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에서는 음성 내레이션과 중복된 자막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역중복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를 일부 지지하는 결과로 중복된 자막을 포함한다고 하여 반드시 학습 성과가 감소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동영상 학습은 대면 학습에 비해 높은 중도 이탈률을 보인다. 따라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지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에이전트와 자막이 동영상 학습에서 학습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요소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