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s in Central Asi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러시아 극동 지역 귀환 이주 (The Return Migration of Koreans in Central Asia to the Russian Far East)

  • 이채문;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59-57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이동에 대한 배출-흡입 모형에 근거하여 러시아 극동 지역으로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귀환 이주하는 현상을 미시 거시적 관점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고려인들의 귀환 이주는 배출과 흡입 지역에서의 미시 거시적 요인들에 의해서 설명되었다. 배출 지역의 거시적 요인으로 국가의 언어 정책 그리고 내전과 민족 갈등을, 미시적 요인으로 교육열과 신분 상승 욕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흡입 지역에서 작동한 거시적 요인으로 군 주둔지의 시설과 토지 이용의 허가 그리고 복권과 명예 회복법치 제정을, 미시적 요인으로 가족 혹은 친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고려인의 귀환 이주와 관련된 두 가지 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귀환 이주는 민족 친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둘째, 귀환 이주와 관련한 한인 자치주 수립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우즈베키스탄 거주 고려인의 주생호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wellings of the Korean Diaspora of Uzbekistan)

  • 이영심;이상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18
    • /
    • 2004
  • Most of the Korean diaspora who lived in Yunhaeju moved to Central Asia in 1937 following the policy of deportation of Russia. Uzbekistan is the representative place for Korean diaspora to have settled down in Central Asia at that time and mort Korean diaspora in Central Asia are living in Uzbekistan now. Korean diaspora have maintained a traditional way of living for 140 years without a deep relationship with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dwellings of the Korean diaspora of Uzbekistan in Central Asia by visiting their houses and conducting interviews.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ing: 1) The houses of the Korean diaspora in Uzbekistan in early times consisted of 2-3 bedrooms with Gudle. Gudle is the most traditional element of the Korean diaspora's house and it has been used as a place for gathering family members. 2) Korean diaspora's houses in Uzbekistan were built according to Russian and Uzbek style but most of the Korean diaspora's have a mixed style with traditional Korean elements of living.3) The changing process of planning and building codes of apartments in Uzbekistan is similar to that in other CIS nations and all of Russia. 4) Korean's food style is a mixture of Korean, Russian and Central Asian foods. Kimchi and Jang (bean paste) are essential for most Koreans and most Koreans are making these at home. 5) Most Koreans have maintaine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Uzbek people and Koreans are very active in gelling along well with all. This enables them to exchange their culture eventually in various parts. This study could be the first step to supply basic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the Korean diaspora in Uzbekistan. Deeper research over a wider range is needed in Russia.

중앙아시아에 거주하는 고려인의 주생활에 관한 연구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wellings of Korean Diaspora of Kazakhstan in Central Asia)

  • 이영심;조재순;이상해;정재국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95-112
    • /
    • 2004
  • Most of the Korean Diaspora who lived in Yunhaeju moved to Central Asia in 1937 following the deportation policy of Russia. The Korean Diaspora has maintained the traditional way of living for 140 years without a deep relationship with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dwellings of the Korean Diaspora of Kazakhstan in Central Asia through visiting their houses and conducting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houses of the Korean Diaspora in Kazakhstan in early times consisted of Jungjigan which has Gudle and one bedroom. Gudle is the most traditional element of the Korean Diaspora's house and it is generally used as a place to gather family members. 2) The Korean Diaspora's houses in Kazakhstan were basically built according to Russian style but with a slightly different way of living inside. 3) The changing process of planning and building code of apartments in Kazakhstan is similar to that in Russia and other CIS nations. 4) Korean's food style is one mixed with Korean, Russian and Central Asian foods and Kimchi and Jang(bean paste) are the essential elements for most Koreans. 5) Koreans are very active to develop a relationship with Kazaks, Uighurs, and Russians and this enables the exchange of their culture eventually.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to supply basic information for study of the Korean Diaspora in Central Asia and deeper research is necessary with a wide range in Russia.

옛 소련 지역 한국인 동포의 주거건축에 관한 연구 - 단독주택 평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wellings of Korean Diaspora in Russia and Central Asia)

  • 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4호
    • /
    • pp.19-34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dwellings of the Korean diaspora in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and Kazakhstan and Uzbekistan of Central Asia to find the gist of the residence transformed as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culture to accept Russian foreign culture. Through the examination,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dwellings of the Korean diaspora was found as follows: - 1st Period(1864-1937): The Korean diaspora who Immigrated to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built traditional houses of Korean style and few of them lived in Russian style houses. - 2nd Period(1937-1955): The Koreans who immigrated to Central Asia from Maritime Provinces under compulsion built 'ground house' by digging the earth and installed gudeul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heating system and roofed with reed. - 3rd period(1955-1991): The Koreans built straight lined '-' shape houses with two or three rooms wherein most of them were installed with gudeul to heat the room. Around the 1940s as they economically got well, the Koreans started to build houses with Russian style with one or two rooms with gudeul or a separate building with gudeul. - 4th period(1991-present): Houses of the 3rd period are still used by being enlarged or remodeled with less use of gudeul which is well reflected on Ujeong-maul village in Russia Maritime Provinces. As can be found above, the dwellings of the Korean diaspora in Russia Maritime Provinces and Central Asia are on the process of being transformed into Russian style to adapt to Russian culture.

  • PDF

중앙아시아 지역 한인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유형의 국제 비교 - 연변, 몽골, 우즈베키스탄 지역을 중심으로 - (Identifying Perceptional Dimensions and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in Central Asia - Comparisons Among Koreans Living in Yanbian, Mongolia, and Uzbekistan -)

  • 박영선;정영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57-46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dimensions and patterns of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food for Koreans living in Yanbian, Mongolia and Uzbekistan. Items representing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food were combined into a dimension and a pattern based on underlying perception of the Koreans living in the area. An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Koreans living in these areas likely reflects their different dimensions and patterns. Thu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if Koreans living in Yanbian, Mongolia and Uzbekistan should be treated as a homogeneous group when defining their perceptional structure of traditional food. Factor and cluster analysis of the data generated in this study revealed two different dimensions and patterns for each group of Koreans living in Yanbian, Mongolia and Uzbekistan.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dimensions and patterns of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food differed, indicating that Koreans within and between the countries are not a homogeneous group.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al dimensions and patterns among Yanbian, Mongolian and Uzbekistan-Koreans are also discussed. Moreover, future implications for food and nutrition specialists, especially for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food in Asia and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re provided.

해외 한인의 지역별 특성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s)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21권1호
    • /
    • pp.105-128
    • /
    • 1998
  • 그동안 해외 한인에 대한 관심은 주로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삶에 그 초점이 주어졌다. 이주 지역에서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오늘의 삶의 터전을 이룩하였으며, 한인 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반해 해외 한인들의 삶과 의식을 서로 비교, 분석하려는 시도는 자료수집의 어려움 때문에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해외 한인들의 삶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은 무엇보다도 해외 한인의 특성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지역적 편차를 조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결과는 해외 한인들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성공적인 해외 교포 정책 수립에는 전체적인 시각과 함께 지역적 편차를 고려하는 노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한인의 해외이주 유형을 살펴보고 해외 한인의 생활 양식의 특성을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 일본, 중국,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사회, 경제적 상황과 문제점 등을 추출함으로써 향후 한민족 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주 유형은 최악의 삶을 벗어나고자 했던 농업이민, 망명이민, 노동이민의 성격이 강한 구이민과 1960년대 산업화시기에 미국과 남미를 중심으로 가족이민과 투자이민의 성격이 강했던 신이민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해외 지역 한인들의 생활 가치관, 생활상의 문제점, 현지 적응력 등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 PDF

중앙아시아 한인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과제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thnics in Central Asia)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20권2호
    • /
    • pp.161-180
    • /
    • 1997
  •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생활 실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특성과 문제점을 전반적인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한인 사회에 대한 현지조사를 기초로 진행되었다. 현지조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타쉬켄트와 알마타에서 러시아어로 준비된 질문지를 통해 수행되었다. 이와 함께 한인 및 단체에 대한 방문, 면담, 관찰 등으로 얻은 질적 자료도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중앙아시아 한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구소련이 해체되면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체제변화 속에서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가라는 과제와 직결된다. 예컨대, 경제적 기반이자 정신문화의 구심점이었던 집단농장이 붕괴돼 가고, 한글을 모르는 세대가 성장하면서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정신적 보루였던 고려일보, 조선극장 등 각종 문화단체들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공화국의 자민족 중심정책에 따른 언어문제도 한인들에게 또 다른 적응의 고통이 되고 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한인들이 다민족 사회에서 자기의 말과 문화를 간직한 채 상당한 정도의 동질성을 유지해 가며 주위의 다른 민족과 잘 살아 나아가는 것이다. 현지어의 습득을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며 각 공화국 개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인역도 맡아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한국인 및 한국정부도 이들에 보다 많은 관심과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정부 및 민간 차원의 경제적·문화적 교류 활성화와 그 결과로서 현지 한인들의 생활기반 안정과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제도적 지원, 그리고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른 한인들의 자부심 고양 등이 한인들에 대한 자극제로 작용할 때 한인과 한국인 사이의 인식의 공감대가커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조국과 민족의식을 되찾아 주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PDF

러시아 거주 고려인의 주거에 관한 연구 -연해주 (Yunhaju: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wellings of Korean Diaspora in Yunhaju of Russia)

  • 이영심;조재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1-62
    • /
    • 2004
  • Koreans had started moving to Yunhaju in Russia for escaping from the tyrannical rule and famine in 1860's in Korea. It had been veiled and nearly known about Korean's life there because of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Russia until the Perestroyka. This study examined the dwellings of Korean Diaspora in Yunhaju through visiting their houses and having an interview.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ing: 1) Russian traditional houses which Koreans built was followed by Russian style basically and Koreans used the space slightly different way. Korean Diaspora have been adopted Russian life style with keeping their own traditional way of living. 2) Some Korean Diaspora still have been kept traditional heating system 'Ondol' in their houses until now in Yunhaju. Moreover over, it is known that people of Central Asia prefer to set 'Ondol' recently as a very specific and expensive heating system. 3) Korean's food style in Yunhaju is the one mixed with Russian, Korean, and Central Asian foods. This study could be a first step to supply for a basic information for studying of Korean Diaspora in Russia and it is needed to take more deep research in other areas in Russia.

코호트 사이즈가 경력-임금 곡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hort Size on Male Experience-Earnings Profiles in Korea)

  • 신영수
    • 한국인구학
    • /
    • 제10권1호
    • /
    • pp.50-69
    • /
    • 1987
  •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생활 실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특성과 문제점을 전반적인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한인 사회에 대한 현지조사를 기초로 진행되었다. 현지조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타쉬켄트와 알마타에서 러시아어로 준비된 질문지를 통해 수행되었다. 이와 함께 한인 및 단체에 대한 방문, 면담, 관찰 등으로 얻은 질적 자료도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중앙아시아 한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구소련이 해체되면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체제변화 속에서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가라는 과제와 직결된다. 예컨대, 경제적 기반이자 정신문화의 구심점이었던 집단농장이 붕괴돼 가고, 한글을 모르는 세대가 성장하면서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정신적 보루였던 고려일보, 조선극장 등 각종 문화단체들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공화국의 자민족 중심정책에 따른 언어문제도 한인들에게 또 다른 적응의 고통이 되고 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한인들이 다민족 사회에서 자기의 말과 문화를 간직한 채 상당한 정도의 동질성을 유지해 가며 주위의 다른 민족과 잘 살아 나아가는 것이다. 현지어의 습득을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며 각 공화국 개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인역도 맡아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한국인 및 한국정부도 이들에 보다 많은 관심과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정부 및 민간 차원의 경제적·문화적 교류 활성화와 그 결과로서 현지 한인들의 생활기반 안정과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제도적 지원, 그리고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른 한인들의 자부심 고양 등이 한인들에 대한 자극제로 작용할 때 한인과 한국인 사이의 인식의 공감대가커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조국과 민족의식을 되찾아 주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PDF

The Legacy Goes on: Ethnobotanical Knowledge of Uzbekistan Koryoin (ethnic Koreans)

  • Aleksey L. Kim;Hyeon Jin Jeong;Ju Eun Jang;Hyeok Jae Choi;Chang-Gee Jang;Hee-Young Gil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22
  • Ethnobotany is an interdisciplinary science at the intersection of botany and ethnology. Currently, there is a sharply increasing need for the study and conserv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bout plants. The loss of traditional sources, knowledge, and practices in using plants is caused by the growth of technologies in all branches of production, widespread urba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This study was been conduct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Koryoins (Koryo saram) traditional ethnobotanical knowledge, living in Uzbekistan, whose number 174,200 people. They are the descendants of Korean immigrants to the Russian Far East, who ended up in Central Asia as a result of the forced resettlement in 1937. In the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four main categories of uses were defined - Alimentary, Medicinal, Household/Handicraft, and Others.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synthetic indices were used - RFC (Relative Frequency of Citation) and CI (Cultural Importance Index), which are commonly applied to assess the importance of plants. The respondents mentioned 72 plants belonging to 28 botanical families. A significant part of them was cultivar plants. The category that had the largest number of plants mentioned by the respondents was the Alimentary use category (51). According to quantitative indices rates, the most important plants are traditionally used for food. A comparison of ethnobotanical knowledge was made with the collected data of this study and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