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thnics in Central Asia

중앙아시아 한인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과제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ere are about 400, 000 Korean ethnics living in Central Asia. Most of Koreans in Central Asia are leading a stable middle class life mostly engaged in farm work. With increase of educational attainment of their children, a number of Koreans are launching into political and academic circles as well as in the cultural world or the press. In recent years, however, the countries in this area(Uzbekistan and Kazakstan) for this study advocate an ethnic united policy to stabilize the politics and society and to carry out efficient transformation from the former socialistic economy to a market oriented economy. In addition, they are trying to recover the culture and the language of each nation which has been forgotten in the assimilation of Russia policy. Koreans have difficulty in adaption to this kind of change. In fact, a number of Koreans lost traditional culture and could not speak their mother language - Korean. Although they more or less maintain national consciousness, they recognize Uzbekistan or Kazakstan as their nation politically. They associated with North Korea unilaterally before the launching of the Perestroika policy. But after the Seoul Olympics held in 1998, there was movement to know and understand South Korea. There has been increased in the investment by Korean companies in Central Asia. Now, what is an alternative idea for Korean community consciousness\ulcorner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crease of aid to Korean education institute : Considering the last few decades of Russia's strong racial assimilation policy, which leads most Koreans to lost their language and national culture, the priority should go to Koreans education. 2) Local Korean press support : Though Korean newspaper are published and Korean broadcasting is on the air currently in Uzbekistan and Kazakstan, they are suffering from qualified staff and poor financial status. Therefore, positive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se Korean mass communication media outlets to recover their own function and expand their dissemination powers quickly. 3)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Korean Community : It is essential to directly examine the local Korean community's regional distribution, population structure, Korean group's formation and operation,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racial consciousness, hope for their mother land and much more. 4) Increase of mother land and education opportunity : To stir up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 consciousness within the Korea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continuous opportunities for mother land visits and education training for local Koreans, especially for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생활 실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한인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특성과 문제점을 전반적인 사회변동의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한인 사회에 대한 현지조사를 기초로 진행되었다. 현지조사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타쉬켄트와 알마타에서 러시아어로 준비된 질문지를 통해 수행되었다. 이와 함께 한인 및 단체에 대한 방문, 면담, 관찰 등으로 얻은 질적 자료도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중앙아시아 한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구소련이 해체되면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체제변화 속에서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가라는 과제와 직결된다. 예컨대, 경제적 기반이자 정신문화의 구심점이었던 집단농장이 붕괴돼 가고, 한글을 모르는 세대가 성장하면서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정신적 보루였던 고려일보, 조선극장 등 각종 문화단체들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공화국의 자민족 중심정책에 따른 언어문제도 한인들에게 또 다른 적응의 고통이 되고 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한인들이 다민족 사회에서 자기의 말과 문화를 간직한 채 상당한 정도의 동질성을 유지해 가며 주위의 다른 민족과 잘 살아 나아가는 것이다. 현지어의 습득을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며 각 공화국 개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인역도 맡아야 한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한국인 및 한국정부도 이들에 보다 많은 관심과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정부 및 민간 차원의 경제적·문화적 교류 활성화와 그 결과로서 현지 한인들의 생활기반 안정과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제도적 지원, 그리고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른 한인들의 자부심 고양 등이 한인들에 대한 자극제로 작용할 때 한인과 한국인 사이의 인식의 공감대가커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조국과 민족의식을 되찾아 주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