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검색결과 1,724건 처리시간 0.024초

교회 사회복지시설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Church)

  • 전명현;소준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111-116
    • /
    • 1997
  • For the purpose of easy approach,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have close relation to local society establish welfare facilities, as schools, religious faciliteis, town-block offices, libraries, etc. Especially the church neighboring the region can use regional resources in human power, facilities, financial power.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sort of religious facilities and regional connection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es plan through the case study of social welfare faciliteis performing public welfare work, attached to church.

  • PDF

소도시 사회복지관의 지역복지부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Community Servic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임상규;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87-94
    • /
    • 2007
  • The recent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figuration of space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the service function required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The social welfare center fills the role of family welfare, domiciliary care, community service etc. In such sense, this research explore the conditions of spatial configuration for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 unit of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space role and service function, the service program, the usage characteristics, the room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colligated by case study. It could be used in the basic design criteria of community service unit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PDF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Social Welfar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남희은;백정원;임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6-53
    • /
    • 2020
  • 최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4차산업혁명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분야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적용,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 등 선제적인 대비를 위한 연구들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역량, 교과과정 등 사회복지교육의 전반적인 방향과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교육적 차원을 논의하여 우리 삶의 많은 부분 연결되어 있는 사회복지의 미래 지향점을 찾는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사회복지교육 학술지에 2005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223편의 연구를 텍스트네트워크,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키워드 분석결과 사회복지교육(43), 연구방법(28), 사회복지현장실습(23)등이 영향력을 미치는 키워드로 분석되었고, 사회복지현장, 현장 실습이 주제별 분류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방향은 첫째, 사회복지교육의 전반에 있어 역량과 교육과정, 자격과정에 관한 방향, 둘째, 사회복지전문인력인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교육 방향, 셋째, 미래 사회복지의 윤리적 민감성, 넷째, 공유복지방향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계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the effect that the welfare field training reaches to the course selection - Around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

  • 이해경;조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17-223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계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복지 현장실습이 전문가를 양성시키는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지식, 가치, 실천적 기술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복지현장실습이 진로와 직결되기 때문에 사회복지학과의 교과수업 만족도, 기관 등 연계를 원하는 정도, 사회복지학과의 실습에 관한 요인인 실습의 만족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학과 실습생들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사회복지학과 요인과 진로선택의 관계를 규명한다. 셋째,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생들이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Contextu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A Cross-sectional Multilevel Study in Tehran, Iran

  • Sajjadi, Homeira;Harouni, Gholamreza Ghaedamini;Rafiey, Hassan;Vaez-Mahdavi, Mohammadreza;Vamegh, Meroe;Kamal, Seyed Hossein Mohaqeq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3호
    • /
    • pp.189-197
    • /
    • 2020
  • Objectives: Our aim wa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Can mental health variance be partitioned to individual and higher levels (e.g., neighborhood and district); (2) How much (as a percentage) do individual-level determinants explain the variability of mental health at the individual-level; and (3) How much do determinants at the neighborhood- or district-level explain the variability of mental health at the neighborhood- or district-level? Methods: We used raw data from the second round of the Urban Health Equity Assessment and Response Tool in Tehran (in 2012-2013, n=34 700 samples nested in 368 neighborhoods nested in 22 districts) and the results of the official report of Tehran's Center of Studies and Planning (in 2012-2013, n=22 districts). Multilevel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nswer the study questions. Results: Approximately 40% of Tehran residents provided responses suggestive of having mental health disorders (30-52%). According to estimates of residual variance, 7% of mental health variance was determined to be at the neighborhood-level and 93% at the individual-level. Approximately 21% of mental health variance at the individual-level and 49% of the remaining mental health variance at the neighborhood-level were determined by determinants at the individual-level and neighborhood-level, respectively. Conclusions: If we want to make the most effective decisions about the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in addition to considering the therapeutic perspective, we should have a systemic or contextual view of the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에 관한 반성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n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es in Korea)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153-180
    • /
    • 2015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첫째, 그동안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정리하였고, 둘째, '한국사회복지학' 학술지에 게재된(1998~2014)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사회복지학'에는 총 874편의 연구가 17년 동안 게재되었고, 이중 사회복지실천연구가 16.6%(145편), 실천과 관련된 경험적 연구가 40.5%(363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실천논문 145편에 대해 세부 분석결과, 연구주제별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가 26.2%, 사회복지사가 29%, 척도개발이 2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2007년 이후 증가양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업성은 교수가 84.6%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실무자는 8.6%에 불과하였다. 2006년 이후 공동연구비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연구는 44.8%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실천 전공교수 8명을 개별인터뷰 한 결과, 현재 실천연구는 경계, 위기, 그리고 혼돈사이에 서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연구가 위기와 기회 사이에 선 것으로 평가하며, 연구 환경, 실천현장, 한국적 사회복지학의 재구성에 대한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 PDF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경향 분석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A Review)

  • 박지혜;박은주;조상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33-55
    • /
    • 2009
  • 본 연구는 1980년 이후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성 연구를 다룬 논문 20편의 연구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현상에 대한 이해 도모, 조직관리에의 실천적 함의 제공 및 향후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사회복지관과 생활시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직효과성의 이론적 기반으로 내부과정접근모델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어, 향후 사회복지조직의 성장과 외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직과 지표 및 연구방법론의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직관리 측면에서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집단적 개발적 조직문화, 분권적 조직구조, 변혁적 리더십, 외부와의 개방적 관계 활용을 제안하였다.

  • PDF

Identifying, Measuring, and Ranking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or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Targeting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 Farhad Nosrati Nejad;Mohammad Reza Ghamari;Seyed Hossein Mohaqeqi Kamal;Seyed Saeed Tabatabae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27-337
    • /
    • 2023
  • Objectiv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Hs) in promoting the health of residents of informal settlements and their diversity, abundance, and breadth,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easure, and rank SDHs for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targeting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in a metropolitan area in Iran. Methods: Using a hybri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3 phases from 2019 to 2020. SDH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studies and using the Delphi method. To examine the SDHs among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searcher-made questionnaires. Multilayer perceptron analysi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used to rank the SDHs by priority. Results: Of the 96 determinants identified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43 were examined, and 15 were identified as high-priority SDHs for use in health-promotion interventions for informal settlement residents in the study area. They included individual health literacy, nutrition, occupational factors, housing-related factors, and access to public resources. Conclusions: Since identifying and addressing SDHs could improve health justice and mitigate the poor health status of settlement residents, ranking these determinants by prior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enable policymakers to improve the health of settlement residents through interventions targeting the most important SDHs.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Analyze on Research Trends of Social Welfare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From 2008 to 2017)

  • 허준수;김찬우;이민홍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725-74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에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 중에서 복지 분야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그동안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및 방향 정립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노년학에 2008년부터 2017년 동안 게재된 총655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전공 교수 3인의 지속적인 교차 확인을 통하여 노인복지분야에 해당되는 총 273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논문들을 생태 체계적 관점,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론 등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 연구실태 및 연구동향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은 3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거시적 체계(52편); 2) 중범위적 체계(120편); 3) 미시적 체계(101편). 분석결과 복지 분야의 중범위적 체계, 미시적 체계 및 거시적 체계 등의 순서로 연구가 되었다. 그러나 거시적 체계에 관련된 논문들은 19%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연구주제는 5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노인문제(151편): 2) 노인복지제도 및 정책( 38편); 3) 노인복지서비스(28편); 4) 노인이용시설 및 생활시설(39편); 5)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31편). 셋째, 연구방법론은 5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양적연구 (213편); 2)질적 연구(39 편); 3)문헌연구 (14편); 4) 메타연구(4편); 5) 혼합연구(3편). 그리고 양적연구 논문들 중에서 종단자료보다는 횡단자료가 더 많이 조사되었다.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서 점증되는 노인관련 복지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시급한 노인관련 문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제도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거시적, 중범위적 및 미시적 측면에서의 균형 있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노인복지 문제 및 이슈들 중에서 고령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연구주제 들을 보다 과학적인 절차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특히 근거기반(Evidence-based) 노인복지실천과 노인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특정연구방법에 의존하기 보다는 연구주제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하는 향후연구들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