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seeking Self-efficac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초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job-seek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이혜경;김남송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27-334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esteem and job-seek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career guidance,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employment programs by colleges, as self-esteem seemed to be one of integral variables to affect job-seeking efficacy.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ree different colleges in South and North Jeolla Provinces. After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562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Results : 1. The students investigated got a mean of 2.43 in self-esteem, which was not a high score. The sophomores had a better self-esteem than the freshmen and juniors, and the gaps among the respondents in each subfactor of self-esteem were significant($p^*$ <0.01, $p^{**}$ <0.05). 2. The students got a mean of 3.12 in overall job-seeking efficac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in each subfactor of job-seeking efficacy($p^*$ <0.01). 3. The freshmen were ahead of the sophomores and juniors in job-seeking efficacy, and the gap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significant($p^*$ <0.01). 4.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perceived self-esteem and job-seeking efficacy of the students. A higher self-esteem led to a better job-seeking efficacy(p<0.01).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a higher self-estee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job-seeking efficac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geared toward boosting the self-esteem of dental hygiene students is required,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quality self-esteem programs for students to plan and prepare for their future, to make the right career choice, to improve their vocational adjustment, to keep pursuing self-development and to build the right values.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대학생(4년제) 및 전문대학생(2-3년제) 간의 다집단 분석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Focus on Multi Group Analysis between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97-20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job seeking stres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We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We selected 292 university students and 285 junior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from Daegu and Gyeongsangbuk-do. All participants completed surveys on the measurement of parental attachment,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job seeking stres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and Sobel test with SPSS software ver. 18.0 and Amos software ver. 18.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parental attach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eeking stress. Second,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mediated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job seeking stress. Junior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hat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to addres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re important to resolve college students' job seeking stress; in addition, school type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job seeking stress.

교육서비스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진로성숙과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eaching self-efficacy and self-service resilient impa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stress)

  • 이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40-7050
    • /
    • 2014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생의 진로성숙도는 5점 척도에서 중간점수인 3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하게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 자체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역시 취업스트레스를 낮추어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가 단일차원의 직접적 영향력만 다루었던 점과는 차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Ego 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Seeking Str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 채명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9-238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간호대학생 3, 4학년 175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학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3.5%였다. 그러므로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룰 고려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융복합적인 중재를 통해 간호대학생 고학년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장현정;이정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62-7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재학 중인 228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첫 희망진로, 취업준비정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순이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예방, 대처 및 완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가를 위한 차별화된 취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me Dental Hygiene)

  • 지민경;이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자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구축과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까지 충청·전라도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연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작성하였다.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자아효능감,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역량 집중강화를 위해 올바른 미적 가치관에 기반한 긍정적인 외모 수용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융합한 실제적인 상담프로그램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기공과 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연관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 강월;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job seeking stres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Method: For this, the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daegu and daejeon and wonkwang university selected at May 2016. A question investigation was used in a entry method of self-estimation. Furthermore a total of 151 person was used as final analysis data. Sta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22.0. An analysis of frequency,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Results: Firstly,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Job Seeking Stress(p<.05). Secondly, sex, Score, Major satisfaction,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5). Thirdly,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the Job Seeking Stres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hoice target). Conclusion: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when increased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Job Seeking Stres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decreased. So the study proved that when helping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is important to decreased their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간호대학생의 그릿,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 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93-20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G광역시 일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2일부터 11월 13일까지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그릿 정도는 5점 만점에 3.21±0.50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정도는 3.65±0.51점, 진로준비행동 정도는 5점 만점에 2.57±0.48점, 취업스트레스 정도는 2.07±0.64점으로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는 그릿(r=-.308, p=.000),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336, p=.000)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진로준비행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214, p=.002).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340, p=.000), 진로준비행동(β=.302, p=.000), 그릿(β=-.175, p=.010) 순이었고, 이러한 변수들은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 영향 요인 정도를 22.1% 설명하였다(F=20.605, p=.000).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그릿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적용과 진로지도 및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개인 수준에 맞는 단계별 진로준비행동의 실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로마테라피 교육 프로그램이 취업준비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on Stress, Self-efficac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 이은주;임은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23
    • /
    • 2023
  • Purpose : The stress of job-seeking college students is gradually worsening due to the continuing recession in the job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intervention with an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which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has greater effect on stress, self-efficac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than simple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in female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Methods :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with 29 female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Interventions included essential oil inhalation combined with an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experimental group(EG), n=14) and essential oil inhalation alone (control group(CG), n=15);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2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job-seeking stress scale, stress VAS, self-efficacy scale, and a pulse-wave measuring instrument.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G and EG groups with repeated measurements of job-seeking stress (p=.003), cognitive stress (p<.001), and self-efficacy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G and EG in term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changes stress index(p=.047), total power(p=.029), high frequency(p=.036), and low frequency/high frequency ratio(p=.049).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 frequenc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The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job-seeking stress, cognitive stress, self-efficac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than simple essential oil inhalation. For the aromatherapy education program to be useful as a complementary intervention for stress management in job seekers, it will be necessary to gather additional evidence of its efficacy by conducting follow-up studies with diverse participants and expanding the numbers, and durations, of the interventions.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융합적 관점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on Senior Nursing Students' Job Seeking Stress-Perspectives of Convergence)

  • 안은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65-372
    • /
    • 2018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일 대학 간호학과의 4학년 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전문직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취업스트레스의 18%를 설명하였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취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조절을 위해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초점을 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