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Job-based Skills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3초

Influence of Job Crafting on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of Dental Hygienists

  • Min-ji Kim;Kyu-ri Kim;Yun-ji Kim;Seo-yeon Im;You-bin Cho;Ru-by Choi;Hee-jung L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0-342
    • /
    • 2023
  • Background: As the medical knowledge base grows at an accelerating rate, evidence-based clinical performance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for providing quality care. Previous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need to promote job crafting to actualize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in the medical fiel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dental hygienists and assess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the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of dental hygienists. Methods: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between February 28 and April 6, 2023. The sample was comprised of 267 participants. The hypotheses were tested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29.0. Results: The degree of job crafting by dental hygienist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educational attainment, workplace size, and workplace type.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exhibited significant variations based on educational attainment and job position. All job crafting subfactors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The job crafting subfactors affecting the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of dental hygienists were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s' and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s,' which together explained 38.7% of the variance in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job crafting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vidence-based practical skills. To strengthen the job crafting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improv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foster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motivates continued participation in education is necessary.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programs that enable learning of the latest evidence should be actively pursued. Additionally, regular attendance at workshops and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PBL(Problem-Based Learning) 기반 교육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학교 시스템프로그래밍 수업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Essential Skills: Focused on Application Practices in Computer System Programming Education)

  • 이만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11
    • /
    • 2017
  • 본 연구는 문제 해결식 수업(PBL)을 대학교 컴퓨터 시스템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하고 이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직업기초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교과목 분석을 통해 과목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교육을 위해 한 문제씩을 출제하였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2014년 학생들과의 성적을 비교하였고,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주관중인 대학생 핵심역량진단시스템(K-CESA)를 활용하여 PBL 교육전과 후에 진단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와 직업기초능력 모두 유의미한 향상 효과가 있었다.

서비스화가 일자리 숙련구조에 미친 영향 - 인지적 숙련 및 상호적 숙련을 중심으로 - (Tertiarization and Changes in the Demand for Job-based Skills - Focusing on Cognitive Skills and Interactive Skills -)

  • 황수경
    • 노동경제논집
    • /
    • 제30권3호
    • /
    • pp.1-41
    • /
    • 2007
  • 우리나라는 2003년 '고용 없는 성장'을 경험한 이래 서비스 부문에서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고용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서비스 부문의 높은 고용 성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은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어 이로 인한 성장동력의 훼손을 우려하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서비스 부문의 노동의 질, 즉 숙련수요의 측면에서 서비스 부문 저생산성의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숙련수요 변화를 정확히 포착하기 위하여 인적 특성으로 파악되는 통상적인 숙련 개념 대신 일자리 숙련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직업사전"의 정보를 이용하여 공통요인 분석(common factor analysis)을 통해 상호독립적인 네 개의 일자리 숙련 지표-인지적 숙련, 육체적 숙련, 미세 숙련, 상호적 숙련-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우리 서비스업에서의 숙련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2~2006년 기간 중 우리나라 상품 부문에서는 인지적 요소의 증가, 작업의 소프트화로 대변되는 고숙련화가 진전되고 있는 데 반해, 서비스 부문에서는 비록 고학력 취업자는 증가하였지만 일자리 특성으로 보면 일정한 탈숙련화의 경향이 발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탈숙련화의 경향은 전반적인 양상이기보다는 한편에서 고숙련 일자리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 육체노동을 수반하는 저숙련 노동이 동시에 양산되는 복합적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PDF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진단 및 지원 프로그램 적용: D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iagnosis of General Job Skills for College Students and Application of Supporting Program: based on an Example Analysis of D College)

  • 오만덕;이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97-506
    • /
    • 2011
  • 직업소양능력은 산업분야에 진출하는 산업인력들이 자신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습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비산업인력인 전문대학 학생의 직업소양능력 수준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전문대학을 대표사례로 선정하고 직업소양능력 진단도구인 CCQB(Core Competency Questions using BARS)를 토대로 재학생, 교원, 현장전문가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소양능력 수준에 대해 학생과 교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능력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소양능력에 대한 산업현장의 높은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노력을 넘어 대학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지원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Study of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Self-Marketing based on Job Analysis

  • Ahn, Sang 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35-142
    • /
    • 2019
  • Given the ability and skills required by modern people, marketing can be divided into knowledge-related skill such as marketing plans, market segmentation, and marketing mix management and supportive skill such as communication, inter-organizational management, creativity, and decision making. Knowledge related skills can be nurtured in existing marketing classes, but it is recognized that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self marketing are needed to develop and train supportive skills regardless of education levels or major education. This paper is aimed to design for marketing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elf marketing. In this study, a DACUM method job analysis to extract contents by specialists such as model setting of task and job, job statement, job analysis,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and so on. In the first place, this report presents job analysis model by procedures for developing selection criteria of examination questions of the self marketing qualification. The first step is preparation for job analysis, the second step: the establishment of job models, the third step : the job specification and task analysis, the fourth step: the review of job model, the fifth step: the establishment of subjects for examination matrix table for making questions.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개인 혁신행동 영향요인: 개인차원, 직무차원, 조직차원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s of Tertiary Hospitals' Nurses: Focusing on the Individual,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 김지혜;김유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35-44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dividual,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s among tertiary care hospitals'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30 nurses who have worked more than one year in tertiary care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individual factors (self efficacy, and empowerment), job factors (knowledge and skills for evidence-based practice, and beliefs for evidence-based practice), organizational facto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The SPSS/WIN 25.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of individual,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knowledge and skills for evidence-based practice (β=.28, p<.001), self efficacy (β=.25, p=.002), gender (female, β=.23, p<.001), and beliefs for evidence-based practice (β=.17, p=.016)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nowledge, skills and beliefs for evidence-based practice, and self efficacy were linked to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s. Therefore,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mproving self efficacy, knowledge, skills and beliefs for evidence-based practice are needed to increase nurses'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s in tertiary care hospitals.

Internet based job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 for small IT business

  • Cho, Eun-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4호
    • /
    • pp.57-61
    • /
    • 2010
  • This paper designed and developed internet based competency developing system for small IT (Information & Technology)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ystem was to provide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to small IT business workers for their longstanding employment and self-improvement job skills. This study analyzed job competencies based on job descriptions from two IT compan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employees' self-assessed current job competency level and effective ways of improving their current level of competencies. From the results of survey, most of subjects indicated their job competencies were in between mid-level to low level, and they required the need of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ir job knowledge and experience. Based on the interview from field experts about job competency development, this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the internet based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 to provide effective and efficient way of improving job competencies and needed training programs for small IT business employees.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Employability of the College Stud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백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3-120
    • /
    • 2018
  • 본 연구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성별에 따라 취업가능성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기업가 정신이 구직기술,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성별에 따라 구직기술과 취업가능성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업가정신 상위 및 하위집단 각각에서 조절변인에 따른 두 집단 간 취업가능성(직업의식, 직업탐색, 구직기술)의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니 남자 대학생보다 여자 대학생의 평균이 현저히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를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Standard AI Developer Job Training Track Based on Industry Demand

  • Lee, Won Joo;Kim, Doohyun;Kim, Sang Il;Kim, Han 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51-25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이 교육과정의 특징은 산업체와 대학간의 AI 개발자 직무 역량의 미스 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산업체 현장에 재직중인 AI 개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NCS 기반의 5개 AI 개발자 직무 중 산업체 현장의 인력 수요가 많은 AI 개발자 직무를 도출하여 직무분석을 실시한다. 직무분석에서는 해당 직무의 핵심 능력단위요소를 선정하고, 그 핵심 능력단위요소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도구 등을 도출한다. 그리고 지식, 기술, 도구 등을 교육할 수 있는 핵심 교과목과 이수 체계를 도출하여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표준 AI 개발자 직무 교육과정을 활용한 효율적인 AI 개발자 직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디스플레이 산업의 직무기술요소에 대한 정성적 훈련수요 분석 연구 (A Qualitative Analytic Study on Job Skill Elements and its Training Demand of the Display Industry)

  • 이재원;윤석천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27-135
    • /
    • 2011
  • 기존의 과부족인원 중심의 정량적 분석을 위주로 하는 직업훈련 수요연구에서는 직무능력의 질적 불일치에 대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보완적 연구로써 특정한 산업과 관련한 직종 내 직무기술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산업을 대상으로 직종별 직무기술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격차를 이용한 시급성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성적 상향식 훈련 프로그램의 설계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특화된 직무기술요소 수요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직종과 직무, 그리고 각 직무기술요소의 정성적 수요를 분석하여 8개의 직종과 29개 세부직무별 직무기술요소들에 대해서 인력수준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기업의 직무기술의 확보방법을 분석하고 지역의 대표적 교육과정과 연계를 예시함으로써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적정한 공급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