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agnosis of General Job Skills for College Students and Application of Supporting Program: based on an Example Analysis of D College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진단 및 지원 프로그램 적용: D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3.18
  • Accepted : 2011.04.05
  • Published : 2011.04.28

Abstract

General job skills are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any work personnel regardless of areas of expertise. This case study applied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in order to identify the necessity finding general job skills of D college students and search levels of general job skills of D college students. In detail,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various data from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graduates of D college, field experts using both CCQB(Core Competency Questions using BARS) and the focus-group interviews. The study results report that there are considerable gap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field experts in terms of the levels of general job skills.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eges should provide the supporting systems and educational programs as a way of improving general job skills for students.

직업소양능력은 산업분야에 진출하는 산업인력들이 자신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직업소양능력 습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비산업인력인 전문대학 학생의 직업소양능력 수준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전문대학을 대표사례로 선정하고 직업소양능력 진단도구인 CCQB(Core Competency Questions using BARS)를 토대로 재학생, 교원, 현장전문가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소양능력 수준에 대해 학생과 교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능력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소양능력에 대한 산업현장의 높은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노력을 넘어 대학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지원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동열, 최동선, 정윤경, 이광용, 수원여자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8.
  2. G. Hayward and R. M. Fernandez, From core skills to key skills: Fast forward or back to the future? Oxford Review of Education, Vol.30, No.1, pp.117-145, 2004. https://doi.org/10.1080/0305498042000190087
  3. 이종범,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제66차 KRIVET 포럼 보고서, 2008.
  4. 민선향,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세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73-97, 2004.
  5. 박성종, 주문식 교육혁신을 위한 전문대학 직업기초능력 평가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보고서, 2006.
  6. 이정표, 대학생의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주요국의 직업기초능력 지원 실태 비교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Working paper, 2005.
  7. 정기섭, 장영수,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통한 대학생 취업능력 향상 방안: 덕성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pp.109-139, 2008.
  8.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직업기초 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8.
  9. D. Curti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generic skills. In J. Gibb(Ed.), Generic skill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Research readings, NCVER, Adelaide, pp.19-37, 2004.
  10. 이종성, 정향진,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3.
  11. 박동열, 김은실, 황영아, 전문대학생 직업기초능력진단 결과보고서: CCQB(Core Competency Questionnaire using Bars),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2. 오만덕, 이승희, 직업소양능력 지원 프로그램 운영 결과 보고서, 동아방송예술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연구보고서, 2011.
  13. 오만덕, 이승희, 미디어 및 아트 분야 진출을 위한 직업소양능력 향상, 동아방송예술대학 연구보고서,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