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lation effect

검색결과 1,045건 처리시간 0.028초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mmon and separate ground systems in wireless power transfer

  • Park, Woocheon;Moon, Jung-Ick;Cho, In-kui
    • ETRI Journal
    • /
    • 제44권2호
    • /
    • pp.339-345
    • /
    • 2022
  • This article presents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n a grounding system of wireless power transfer (WPT) when transmitting over relatively far distances, that is, up to 1.25 m. Conventional two-coil WPT systems are sufficiently commercialized in strong coupling range, but it is important to accomplish the long-range WPT in weak coupling range for further various applications. This system depends on the coupling effect between the two coils that the grounds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s should be completely separated. However, whe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wo-coil systems with the instrument consisting of two ports and one common ground, undesirable problems occur in weak coupling ranges, for example, obtaining disagreeabl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degrading system stability/reliability. We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leakage power from common ground systems and provide a practical solution to obtain a reliable WPT system by using an isolation transformer. The usefulness of this approach is tha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with relatively far transmitting distances and to determine the exact transmission efficiency.

트렌치 산화막을 이용한 단결정실리콘 MEMS 구조물의 절연기술에 관한 연구 (Isolation Technologies for Single-crystalline Silicon MEMS Structures Using Trench Oxide)

  • 이상철;김임정;김종팔;박상준;이상우;조동일
    • 센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7-306
    • /
    • 2000
  • 최근 MEMS 소자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수십 ${\mu}m$의 두께를 가지는 고형상비 단결정실리콘 구조물 제작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형상비 단결정실리콘 구조물 제작 기술에서는 구조물의 구동 또는 전기신호의 검지를 위한 전극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 방법이 주된 문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형상비를 가지는 단결정실리콘 구조물 전극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고형상비 산화막으로 구성된 빔 및 측벽을 이용한 새로운 절연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절연 기술은 실리콘 구조물을 측면 또는 하부에서 산화막으로 지지하는 절연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트렌치 산화막은 그 깊이가 수십 ${\mu}m$이므로 산화막의 잔류응력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PECVD 방법으로 증착한 TEOS 산화막으로 절연 구조들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절연구조들의 잔류응력을 측정하고, 그 잔류응력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또한 공진자를 이용하여 개발된 절연 기술이 고형상비 단결정실리콘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진동대 실험 및 해석을 통한 고감쇠 고무받침의 면진성능 연구 (A Study on Isolation Performance of High Damping Rubber Bearing Through Shaking Table Test and Analysis)

  • 김후승;오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01-611
    • /
    • 2016
  •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크고 작은 지진에 대비하여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진격리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개발과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진격리시스템의 하나인 고감쇠 고무받침(HDRB)는 특수한 고감쇠 고무(HDR)를 이용한 적층형 고무받침으로서 유사 지진격리장치인 납 고무받침에 비해 감쇠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활용도가 높지 않았다. 그러나, 고감쇠 고무받침은 재료와 형상이 유사한 천연고무받침의 비해 우수한 감쇠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납 고무받침의 경우 납의 유해성이 문제되어 납을 사용하지 않은 고감쇠 고무받침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감쇠 고무받침을 대상으로 압축응력 의존성 및 주파수 의존성, 반복하중 의존성 등 다양한 특성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여러 계기지진파 상태에서 고감쇠 고무받침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진동대 실험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축소교량에 고감쇠 고무받침을 적용한 모델을 사용했고, 지진격리와 비 지진격리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감쇠 고무받침을 적용할 경우 비 지진격리의 경우에 비해 높은 감쇠효과를 보였으나 Mexico City와 같은 연약지반의 구조물에 지진격리를 적용할 경우 오히려 구조물의 응답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 지진격리장치 적용성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uppression Techniques of Subthreshold Hump Effect for High-Voltage MOSFET

  • Baek, Ki-Ju;Na, Kee-Yeol;Park, Jeong-Hyeon;Kim, Yeong-Seu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3권5호
    • /
    • pp.522-529
    • /
    • 2013
  • In this paper, simple but very effective techniques to suppress subthreshold hump effect for high-voltage (HV)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technology are presented. Two methods are proposed to suppress subthreshold hump effect using a simple layout modification approach. First, the uniform gate oxide method is based on the concept of an H-shaped gate layout design. Second, the gate work function control method is accomplished by local ion implantation. For our experiments, $0.18{\mu}m$ 20 V class HV CMOS technology is applied for HV MOSFETs fabrication. From the measurements, both proposed methods are very effective for elimination of the inverse narrow width effect (INWE) as well as the subthreshold hump.

산벚나무 수피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페놀성 화합물 분리 (Biological Activity Investigation, and Phenol Compounds Isolation from Barks of Prunus Sargentii R.)

  • 박정미;이진영;박태순;박근혜;박강수;김태훈;조영제;권오준;최경임;안봉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3-182
    • /
    • 2008
  • Prunus sargentii of Rosaceae familiy, has been reported to hav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n these fac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pharmaceutical activities of the bark extracts P. sargentii.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raction (Fr) -5${\sim}$10 isolated from P. sargentii was higher than 80% respectively at 10ppm.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Fr-5, 9 were about 97, 84%, respectively at 1,000 ppm.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Fr-9, 10 were about 75, 78%, respectively at 1,000 ppm.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related to skin-whitening was 72, 68% in Fr-2, 9 isolated from Prunus sargentii R. at 1,000 ppm.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y related to the anti-inflammation effect was 98% for Fr-8 at 500 ppm. Isolation of the methanol soluble fraction from P. sargentii yielded two major phenol compounds, (-)-epicatechin and taxifolin.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certainly determined by chemical analyses, as well as NMR and Mass spectroscop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a search for new cosmetic material from the bark from P. sargentii. and, (-)-epicatechin and taxifolin were isolated as active principles. So P. sargentii R. methanolic extracts may be used for the cosmetic material.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Increas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of Human Osteoblast-like Cells

  • Lyu, Ha-Na;Lee, Dae-Young;Kim, Dong-Hyun;Yoo, Jong-Su;Lee, Min-Kyung;Kim, In-Ho;Baek, Nam-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214-1220
    • /
    • 2008
  •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were evaluated for their proliferative effect on human osteoblast-like cells. 3-[4,5-Dimethylthiazole-2-y1]-2,5-diphenyl-tetraxolium bromide (MTT) assay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ssay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 those isolates on the human osteoblast-like cell line (Saos-2).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led to the isolation of ALP-activating phenolic compounds through the extraction of P. linteus, solvent partitioning, and repeated silica gel and octadecyl silica gel (ODS)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s. From the result of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mass spectrometry (MS), and infrared spectroscopy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4-(4-hydroxyphenyl)-3-buten-2-one(1), 2-(3',4'-dihydroxyphenyl)-1,3-benzodioxole-5-aldehyde (2), 4-(3,4-dihydroxyphenyl)-3-buten-2-one (3), 3,4-dihydroxybenzaldehyde (4), and protocatechuic acid methyl ester (5), respectively.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isolation of compounds 1-3 and 5 from P. linteus. In addition, all phenolic compounds stimulated proliferation of the osteoblast-like cells and increased their ALP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10^{-8}$ to $10^{-1}\;mg/mL$). The present data demonstrate that phenolic compounds in P. linteus stimulated mineralization in bone formation caused by osteoporosis. The bone-formation effect of P. linteus seems to be mediated, at least partly, by the stimulating effect of the phenolic compounds on the growth of osteoblasts.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브라켓의 방진라이너 적용효과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Application on Vibration Isolation Liner of Elevator Guide Rail Bracket)

  • 노승권;김은도;오종석;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5-15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층아파트 승강로 근접세대에 대한 진동 및 소음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승강기 가이드 레일 브라켓에 방진라이너를 적용하여 그 효과들을 분석하였다. 방진라이너 성능 분석결과, 카 측에서는 65.49%, 카운터 측에서는 90.05%의 방진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브라켓의 방진라이너의 진동저감 효과를 상당히 가지고 있다. 방진라이너 적용의 경우 제진빔 적용에 비해 승강기 운행통로(승강로) 면적은 7.26 ~ 22.22% 감소, 재료비와 설치비는 3,840,000원 ~ 9,780,000원의 절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량물인 제진빔에 비해 경량물인 방진라이너를 적용할 경우, 설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Investigation of Junction-les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JL-TFET) with Floating Gate

  • Ali, Asif;Seo, Dongsun;Cho, Il Hwa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56-161
    • /
    • 2017
  • This work presents a novel structure for junction-less tunneling field effect transistor (JL-TFET) with a floating gate over the source region. Introduction of floating gate instead of fixed metal gate removes the limitation of fabrication process suitability. The proposed device is based on a heavily n-type-doped Si-channel junction-less field effect transistor (JLFET). A floating gate over source region and a control-gate with optimized metal work-function over channel region is used to make device work like a tunnel field effect transistor (TFET). The proposed device has exhibited excellent ID-VGS characteristics, ION/IOFF ratio, a point subthreshold slope (SS), and average SS for optimized device parameters. Electron charge stored in floating gate, isolation oxide layer and body doping concentration are optimized. The proposed JL-TFET can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switching performances.

서두름 행동이 운전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steful Behavior on Aberrant Driving Behavior)

  • 김동우 ;박선진 ;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4호
    • /
    • pp.487-505
    • /
    • 2009
  • 본 연구는 서두름 행동의 확인생략행동 영역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서두름 행동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서두름 행동의 확인생략행동 영역이 운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88명을 대상으로 서두름행동질문지, 운전일탈행동조사지(DBQ), 운전경험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결측치가 많은 자료를 제외한 3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서두름 행동은 시간압력, 불편함, 고립, 지루함, 보상기대라는 5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운전일탈행동은 위반, 오류, 착오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두름 행동의 구성성분은 2차 요인분석과 상관계수 차이 검증을 통해 확인생략행동 영역과 성취욕구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서두름 행동의 확인생략행동 영역은 운전일탈행동의 오류와 착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일탈행동의 위반에 대해 확인생략행동 영역의 고립 요인은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나 불편함 요인은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오류와 착오에 대해 확인생략행동 영역의 시간압력 요인은 부적인 영향력을 보이는데 비해, 고립 요인과 불편함 요인은 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cloning에 의한 유전자 분리에 사용되는 target hook에 대한 GC content의 영향 (Effect of GC Content on Target Hook Required for Gene Isolation by 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Cloning)

  • 김중현;신영선;윤영호;장형진;김은아;김광섭;정정남;박인호;임선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28-134
    • /
    • 2003
  • 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TAR) 클로닝법은 목적 유전자를 포함한 게놈 DNA와 그 유전자의 5' 또는 3' 말단 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선형의 TAR vector를 동시에 출아효모의 spheroplast내로 co-penetration 시켜 상동부위에서 일어나는 재조합에 의해 환형의 Yeast Artification Chromosome(YAC)으로 분리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TAR 클로닝법에 의한 목적의 single-copy 유전자 분리 빈도는 전체 형질전환체의 0.01~1% 정도이다. 이러한 TAR 클로닝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Tg.AC transgenic mouse를 모델계로 사용하여 유전자 분리에 대한 target hook 내의 GC content 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한쪽에는 다양한 GC content(18~45%)를 지닌 transgene 특이적 hook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은 B1 반복서열을 가지는 radial TAR vector를 사용하여 transgene 분리 빈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target hook의 GC content는 23% 이하의 경우, ~40%인 경우에 비해 두 배 정도 클로닝 빈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TAR vector를 제작할 때, 유전자 분리에 이용되는 target hook의 GC content는 약 40% 일때 가장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target hook 내의 GC content(65%)위치분포에 의한 차이는 클로닝 빈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