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Subject Study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4초

고등학교 통합교과형 논술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 (A Study on Realities and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n High School)

  • 강버들;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110-112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on realities and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n high school. Based upon teachers' perception,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 on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measures to promote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n high school as follows. First, focused on realitie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integrated-subject essay start from the first grade. Second, focused on objective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and assessment be executed to meet students' demand. Third, focused on content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f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 in essay examination questions and marking exams and essay examination questions is set within range of high school curriculum, it will contribute to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Fourth, focused on method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teachers have to reconsider active perceptions to take a specialized essay training and to reduce a heavy workload to teachers, to develop guide book for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to consult integrated-subject essay class, to develop specialized essay training program liking universities, to construct a specialized classroom for team teaching and debate class, to reduce students per class etc. are required. Fifth, focused on effect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be executed for all students and in all subjects.

STEAM 기반 통합교과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EAM-Based Integrated Subject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 권순범;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9-86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STEAM기반 통합학습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습과 STEAM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후 통합학습 프로그램의 모형을 적용하여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콘텐츠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t-검정을 적용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STEAM 기반 통합교과 학습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과학 교육과정의 연구 - 통합과학적 측면의 과목 신설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Common Science subject - the background for newly formed subject and the focus of the side of integrated science -)

  • 이규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8-209
    • /
    • 1993
  • This paper was mad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for newly formed of Common Science subject and setting up for Common Science subject's place. For this purpose, I 1) reviewed the bacground of curriculum revision and newly formed Common Science subject. 2)reviewed the change of the curr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study of Common Science subject in Korea. 3) examined Common Science subject as integrated sc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l.Newly formed of Common Science subject motivated by current of science education in the wordwide, direction of the 6th curriculum in Korea and the actual condi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foreign country. 2.1t emphasize on learning of inquiry method than system of knowlege,introduction to material connected with real life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in the Common Science subject. In principle,the level of concept in Common Science subject keep within level of Science subject in middle school. 3.Common Science subject is characterized by integrated science. And Common Science subject have to become more integrated science in the textbook and the teaching-learning as well as in curriculum.

  • PDF

전문교과의 효과적인 통합교육 수업설계를 위한 사례 분석 연구 (A Case Study for Effective Course Plan of Integrated Education with Specialized Subject)

  • 전종호;정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20
    • /
    • 2012
  • 교육분야에서 창의와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통합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통합교육 모형, 교육내용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고 수업설계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통합교육 수업설계를 안내하기 위한 통합교육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성공적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합교육의 세 가지 교과의 수업 유형과 네 가지 교사의 수업 참여 유형의 관계와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에 중심을 둔 네 단계의 통합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각 단계별 주요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산업DESIGN의 학문적 위상정립을 위한 고찰 (A Study on the Scientific Phase of Industrial Design)

  • 전성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69-76
    • /
    • 1992
  • INDUSTRIAL DESIGN(1.D) has been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ubject for 30 years 10 KOREA and 70 years in the worldwide. Though the beginning of the 1.D is extend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rt, history of 1.D is still 150 years, and very short compared to the those of other subject. The scientific identity of 1.D has to be established to prepare the role of 1.0 for the information society and industrial society of the 21 century. 1.D contains the essence such as integrated and $$\mu$titude character and two lineaments( Analytic science and Synthetic science-objective and subjective) 1.D has undergone confusion and fallacy in society and educational system. To develop achieve the goal of design education and to the competItIve design country in the world market, the scientific status of I.O has to be established as a integrated and independent subject. This study generally reviewed 1.0 to find the essence and scientific status of subject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ward the next century in the view of intellectual structure and system.

  • PDF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의무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ementary·Middle integrated school -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ese Integrated Schools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32
    • /
    • 2019
  • 본 연구는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일본의 초·중 통합학교 형태인 의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 배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중학교 발달단계별 학급교실의 공간 구성과 배치 특성을 도출하였고, 초·중 통합 활용전용 공간과 공동 활용 교과교실을 도출하였다. 또한 초·중학교 급별 학년별 교과교실 연계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과교실 배치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내 초·중 통합학교 공간 배치 구성 방향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인문고등학교 물리와 지구과학 통합 과정의 한 모형 (A method to integrate physics and earthscience in high school course)

  • 최병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30
    • /
    • 1980
  • In is a recent trend of the world to study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aims at pursuing how to integrate physics and earthscience in high school course and forming a tentative plan as to an integrated process between both the subjects. The one was compared with the other accor ding to the basic concepts and theteaching objecties. The contents of these two subjects were analysed, the overlapping parts being chosen, and so in the hierachy of the curriculum, some mistakes were found in eaching these two two subjects. It proved valid to in tegrate these two subject. A concrete scheme was offered to in tegrate these two subjects-physics and earthscience, when a tentative plan concerning, the integra ted process was made. This new plan can make the time required for teaching decrease by 5% The better study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integrated concepts between these two subjects will go on further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train again the teachres concerned with this new subject and to put an emphasis on the elective course between physics and earthscience in the teacher's college curriculum.

  • PDF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화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5학년의 실제적인 교과수업 방안 (Practical Strategies of 5th Grade Subject Class Using Movie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 홍기천;남은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68-77
    • /
    • 2006
  • 영화의 교육적 효과는 매우 높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중 우리가 손쉽게 대할 수 있는 영화를 초등학교 교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영화교육은 크게 통합교과 형태의 교육, 독립교과 형태의 교육, 그리고 전문교과 형태의 영화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통합교과 형태의 교육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이거나 어느 한 교과에서만 시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 5학년을 대상으로 여러 교과 내에서 영화 자료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영화와 밀접한 국어 사회 과학 도덕 미술을 중심으로 수업계획을 세우고 수업에 영화자료를 활용하여 보았다. 그리고 학습지를 통해서 학생들의 흥미와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통합분류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Archives of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 박성우;정대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73-403
    • /
    • 2017
  • 본 연구는 5 18민주화운동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의 측면에서 5 18민주화운동 기록물 분류원칙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5 18민주화운동 기록물 통합분류체계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록물 분류에 관한 선행연구 및 기관 사례분석을 실시하였고, 광주지역 5 18민주화운동 대표 기관 3곳에 소장 중인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5 18민주화운동 기록물에 적합한 출처 기반 통합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분류체계는 '출처-자료-시기-매체-주제', 형태의 패싯기반으로 제안하였고, 또한 아키비스트의 역할의 확장과 시대성을 반영한 컬렉션 기반 통합분류체계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