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임광빈;강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7-479
    • /
    • 2018
  • 본 연구는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복지패널 11차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의 경제적 특성인 주택가격, 가구원당 주거면적 및 총생활비대비 광열수도비 비중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경제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의 지역적 특성인 거주 지역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지역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 등과 관련한 노인주거복지정책은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서도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거 빈곤 및 주거불평등 등으로 인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적인 고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역 특성이 지역 경제 성장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 분석 (Analyzing Factors and Impa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o Regional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 김근영
    • 도시과학
    • /
    • 제9권1호
    • /
    • pp.41-49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economic growth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industry and employment, housing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n economic growth by regi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employment growth rate, manufacturing employment growth rate, local election turnout and the level of party consensu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Second, according to the GWR analysis, the popul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and the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Finally, the voter turnout of urbanites is positively affecting economic growth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the southern coast, while North Jeolla and South Jeolla provin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as the partie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eq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ugges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중국의 주택상품화 과정이 주거 빈곤에 미친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Urban Housing Reform on Chinese Urban Housing Poverty)

  • 안창진;이원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36-751
    • /
    • 2009
  • 중국은 개혁 개방과 함께 사회주의 계획경제제도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제도로 이행중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주택의 상품화와 함께 빈곤의 문제가 수면위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적 빈곤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외 문헌을 통해 중국의 사회보장제도와 주택의 상품화 과정을 분석하고 파악된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의 주택상품화의 특징 및 문제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중국을 8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의 특성을 인구 사회적 지표, 경제적 지표, 주택지표로 고찰했다. 분석결과, 주택상품화 과정은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고 이었으며 권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지역별 상황이 매우 다양하므로 주거정책에서 일원적 방법이 아닌 다원적 방법으로 접근해야함을 제시한다.

  • PDF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와 주택시스템의 자본주의적 전환: 개혁개방 이후 중국 주택체제의 성격 분석 (Capitalistic Transition of Housing System Under Socialist Market Economy: Characteristics of Chinese Housing Regime After Reform and Opening-up)

  • 이성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43-763
    • /
    • 2016
  • 본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형성된 사회주의 시장경제 하 중국 주택체제의 성격을 중국의 공공주택 정책인 보장성 주택 정책을 중심으로 주택시스템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중국 주택시스템의 전환은 시장기능의 도입과 사회주의 토지공유제의 약화라는 점에서 차별적인 '사회주의 시장경제 주택시스템'의 형성이 아닌, 자본주의 주택시스템의 하위유형으로 전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기존 정부 공급형 계획의 사회주의 방식이 정부의 간접적인 개입과 조정에 따라 시장요소를 통해 주택이 공급되는 정부 주도형 시장화의 방식으로 전환한 것이며, 정부가 가지는 시장주도력은 사회주의적 토지소유의 유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신혼부부 가구는 왜 독립적이지 못하는가? - 주거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Why can't Newly-Married Household be independent of their Parents Household?)

  • 박종훈;이성우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31-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혼부부 가구가 주거경제적 측면에서 부모로부터 독립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주택 특성 및 주택 정책 변수를 활용하여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의 지원 여부와 생활비 지원 여부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항 로짓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신혼부부 가구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2015년도 신혼부부 가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높은 주택가격과 교통 접근성 선호는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에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대로 대출상품의 활용은 지원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생활비 지원은 주거지출 항목과 정(+)의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지출비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의 지원과 신혼부부 간의 주거경제적 연관성에 주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해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독립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는 데 있다.

모정건축이 갖는 건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eans of Mo-Jung)

  • 김학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65-76
    • /
    • 2001
  • The study background is that Mo-Jung happens as the produce of the agricultural society but it is not easy to find it beside Ho-nam area. Because of this, it results construction has. The study progress is to understand the happening time, and regional cause the Mo-Jung construction has. The study progress is to understand the happening time of Mo-Jung, constructional meaning, and the meaning of Mo-Jung with the investigation method of literature consideration of the village society, data of the existing study, survey investigation, interview, and question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ion of the village and Dure organization. 1. Mo-Jung construction has the meaning of vernacular construction reflecting the meaning of village community intensively as an element comprising the village, and the territory of Mo-Jung space is revealed as the male space. 2. The economic wealth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image reflecting the community sense are stood out. 3. It is the reason why Mo-Jung construction is limited to Ho-nam area and is explained as the life style difference each village community h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 difference Dae-dong play of Yong.Ho-nam areas have, etc. so to speak. 4. It is estimated that the happening time of Mo-Jung is after the 18th century when the agricultural As my suggestion, Mo-Jung construction is the construction phenomenon reflecting the phenomenon of social change directly and it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the regional housing construction as the life style difference the life community of each area has is reflected. production quantity was increased and Dure organization was activated.

  • PDF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선호하는 주택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지역 공동주택거주자를 대상으로 - (The Study on Housing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Babyboomer After Retirement - Focusing on Apartment's Residents of Gangnam Region in Seoul -)

  • 김혜연;이연숙;윤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83-92
    • /
    • 2010
  • The advent of an aging society has raised the necessity for housing development to meet the growing demands of baby boomers expected to act as the main consumers in the future housing marke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es favored by baby boomers in their post-retirement plan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study is targeted at a certain baby boom generation residing in mid- sized and large-sized apartments with a floor space of more than 30 pyeong in Gangnam, Seoul. The study reveals that baby boomers favor an active post-retirement life where they can enjoy proper leisure without considerable change in daily routines, and for that reason they choose an apartment house well equipped with neighboring,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ir post-retirement. Their housing size shows a downward tendency in response to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a comfortable natural environment and greenery also play a key role in their residence selection. Their regional preference is divided into the downtown and suburbs, and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satisfy the needs of these two consumer groups in the future housing market.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offering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apartment houses.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Population in Korea)

  • 최재헌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3-246
    • /
    • 2013
  • 본 논문은 2010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고령화 현상의 지역적 특성을 밝히고 고령화에 대한 등질지역 구분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고령화지수를 통해 경북의 내륙 산악지대와 전남의 해안 농어촌 지역은 높은 고령화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수도권과 지방대도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고령화 수준을 나타내었다. 고령화지수는 인구증가율, 유소년 인구비율, 아파트 비율, 신축건물 비율에 대해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단독주택 비율, 고령자 자가 비율,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노후주택 비율, 보건기관수 등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인자분석 결과 고령화 인자, 복지수준 인자, 제조업 및 경제활력도 인자, 신흥도시 인자의 4개 인자를 도출하였다. 반고령화적인 환경, 노인복지수준, 경제활력수준, 신흥도시적 특성이 강할수록 지역의 고령화 수준은 낮았다. 셋째, 군집분석 결과 농어촌 산간해안 유형, 비수도권 농어촌 유형, 대도시 유형, 대도시 인근 산업 지방중심도시의 4개 유형이 확인되었다.

  • PDF

주택시장의 구조변화요인과 공간적 패턴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Factors and the Spatial Pattern of the Housing Market Structure)

  • 김정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5
    • /
    • 2015
  • 주택시장은 다양한 사회 경제적 특성에 의해 변화하며, 지역별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지역별 주택시장의 구조변화요인을 추출하고, 추출된 요인의 지역별 분포패턴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전국 251개 시 군 구 단위지역을 대상으로 2005~2010년의 5년간의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 경제적 변수를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인자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공간통계인 크리깅기법을 이용하여 주택시장의 구조변화요인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파악하였다. 셋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집중 또는 분산되는 것인지, 아니면 무작위분포패턴을 보이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기법 중의 하나인 Moran I를 사용하였다.

도시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신도시 경제적 자족성 기준 연구 (Economic Self-Sufficiency Criteria for New Town Planning by Network Characteristics)

  • 송영일;임주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251-259
    • /
    • 2016
  • 공간구조가 다핵분산형으로 전환되면서 도시 간 네트워크적 연계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거점으로서의 신도시 역할, 특히 적절한 산업기능의 확보가 필요하지만 현행 신도시의 경제적 기준은 규모에 따른 일괄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권역 내 신도시의 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신도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신도시 유형을 구분하고 이러한 유형과 규모에 따른 경제적 자족성 계획기준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국 내외 신도시 산업용지에 대한 사례 분석 및 1, 2기 신도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네트워크 특성은 다양한 지표로 나타나는 바, 본 연구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지표를 활용하여 신도시의 네트워크적 위상에 따른 유형을 단핵집중형, 분산집중형, 모도시종속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유형구분을 바탕으로 신도시 규모별 자족시설용지 확보기준을 재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및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의 개선 및 개발계획 수립 변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