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임광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강동훈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Received : 2018.03.12
  • Accepted : 2018.03.28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ife satisfaction and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how their self-esteem mediates the effects of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housing prices, occupancy area per resident, and ratio of utility cost to total living cos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the elderly's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econd, residential area, a regional characteristic of hous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area on the life satisfaction. Thus, because elderly housing welfare policies related to housing econom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 a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self-esteem.

본 연구는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복지패널 11차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의 경제적 특성인 주택가격, 가구원당 주거면적 및 총생활비대비 광열수도비 비중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경제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의 지역적 특성인 거주 지역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거의 지역적 특성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거의 경제 및 지역적 특성 등과 관련한 노인주거복지정책은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서도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거 빈곤 및 주거불평등 등으로 인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적인 고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주,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5호, pp.129-142, 2008.
  2. 김철수, 유성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4호, pp.51-73, 2009.
  3. 정영해, 조유향,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과 성별 차이,"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9권, 제3호, pp.176-186, 2014.
  4. 통계청, 2016 고령자 통계, 2016.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2014.
  6. S. Tuljapurkar, N. Ogawa, and A. H. Gauthier, Ageing in Advanced Industrial State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2010.
  7. OECD, Health at a Glance 2015, Paris: OECD Publishing. 2015.
  8.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 general/765948.html#csidxa14cb8b06adfee8a9a72 7a013954eab, 2018. 2. 26.
  9. 통계청, 2015 고령자 통계. 2015.
  10. 김영주, "Aging in Place 활성화를 위한 노인가구의 주택개조실태 및 요구조사," 생활과학논집, 제23권, pp.13-35, 2006.
  11. 김현중, 강동우, 이성우,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농촌지역 고령자의 주거수준 변화와 지역 간격차 1995-2005," 농촌계획, 제16권, 제1호, pp.49-62, 2010.
  12. 김동배, 유병선, 신수민,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4호, pp.1041-1061, 2012.
  13. 김윤옥, 박병남, 김갑열, "주거환경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부동산학보, 제64권, pp.227-240, 2016.
  14. 주거학연구회,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2013.
  15. 최성재, 노인주택 개발과 노인주택 정책. 고령화 사회의 노인주택정책 및 개발방향 설정, 한국노인 문제연구소, 경춘사, 1993.
  16. 임선미, 이보영, "중장년층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1호, pp.49-63, 2016.
  17. L. Sousa and S. Lyubomirsky, Life satisfaction. In J. Worell. (Ed.), Ency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Vol.2, pp.667-676,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1.
  18. 강민규, 김준형, "주택에 의한 자산효과가 가구 소비에 미치는 영향," 제10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논문집, pp.931-949, 2009.
  19. 허문종, "주택가격 변동의 소비에 대한 자산효과 추정 및 시사점," 부동산포커스, pp.54-62, 2013.
  20. K. E. Case, J. M. Quigley, and R. J. Shiller, "Comparing wealth effects: The stock market versus the housing market," NBER Working Paper, p.8606. 2001.
  21. J. Y. Campbell and J. F. Cocco, "How do house prices affect consumption? Evidence from micro data,"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54, pp.591-621, 2007. https://doi.org/10.1016/j.jmoneco.2005.10.016
  22. S. M. McKernan and M. Sherraden, Asset Building And Low-Income Families. Washington, DC: The Urban Institute Press, 2008.
  23. 천현숙, 이재춘, 이길제, "가구원수별 주거사용면적 차이와 시사점," 국토정책Brief, 제592권, 국토연구원, 2016.
  24. 김현경, "에너지 빈곤의 실태와 정책적 함의," Issue & Focus, 제281권, pp.1-8, 2015.
  25. 홍경숙, 전대성, "생태체계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265-297, 2010.
  26. 정재훈, "주거환경이 도시와 농촌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1권, 제60호, pp.121-128, 2012.
  27. 도나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28. J. Rodin and Z. Langer, "Aging labels: The decline of control and the full of self-esteem,"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6, No.2, pp.12-29, 1980. https://doi.org/10.1111/j.1540-4560.1980.tb02019.x
  29.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2nd edition), New York: Haper and Row Publishers, 1970.
  30. 서인균, 이연실,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2호, pp.371-399, 2014.
  31. 권치영, 김선웅, 엄중철, 이홍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2호, pp.427-443, 2007.
  32. 김소향, 이신숙,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09-327, 2009.
  33. 윤명숙, 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2권, 제2호, pp.397-413, 2012.
  34. 김명숙, 고종욱,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46-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35. 이설림,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아존중감,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제8권, 제1호, pp.51-68, 2016.
  36. 황희원, 박오장, "노인의 동거형태에 따른 생활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간호과학논집, 제12권, 제1호, pp.71-85, 2007
  37. G. W. Evans, N. M. Wells, E. Chan, and H. Saltzman, "Hous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8, No.3, pp.526-530, 2000. https://doi.org/10.1037/0022-006X.68.3.526
  38. 김소희,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1호, pp.117-142, 2009.
  39. 최말옥, 문유석, "부산지역주민의 행복감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1호, pp.277-297, 2011.
  40. J. R. Dunn, "Housing and inequalities in health: a study of socioeconomic dimensions of housing and self reported health from a survey of Vancouver residents,"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6, pp.671-681, 2002. https://doi.org/10.1136/jech.56.9.671
  41. 최병숙, 박정아,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3권, 제5호, pp.75-86, 2012. https://doi.org/10.6107/JKHA.2012.23.5.075
  42. 김봉임,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와 자가간호에 관한 비교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제7권, 제2호, pp.140-148, 2004.
  43. M. N. Zhao, The Effects of Chemyon (Social-Face) Sensitivity, Vanity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n Brand Attitude toward Fashion Luxury Good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5.
  44. 박은아, 자기존중감, 사회적 인정욕구, 돈에 대한 태도에 따른 현시적 소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45. 장서윤, 하규수, "주거용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0권, 제6호, pp.107-119, 2015.
  46. V. Satir, Peoplemaking, London: Souvenir Press, 1972.
  47. 김현순, 김병석,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23-37, 2007.
  48. 이수희, 사회 환경적 요인이 노인의 심리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9.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