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 Dynasty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3초

수업설계론과 수업구조화 - 일본 고등학교 도시단원을 사례로 - (The theory of lesson plannig and the instructional structuration : A case study for urban units in Japanese high school)

  • 심광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6-18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지리수업이 안고 있는 대학입시 지도와의 관련성, 기초개 념의 중복성, 수업시간의 제한 등 세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업을 구조화하여 고등 사고 기능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행동이론과 구조분석 을 통합한 지리수업 설계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우선, 제 1 단계로서, 학습자는 경험적인 현상의 기술인 자료를 조사하고, 과학자의 시점에 따라서 객관 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가설-검증의 과정을 통하여 說明的 知識에 이른다, 제 2단계에 서는, 추론적인 진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통하여 공간구조를 분석하는 것으로 槪念的 知 識을 이론적으로 설명한다. 제 3단계에서는, 지역주민의 행위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을 파악 하기 위해 자료를 비판적으로 다시 검토하여 사회 제도 간의 관계까지 實踐的 解釋에 이른 다. 제4단계로서는,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事例地域 學習에 대해 주체적으로 참여한다. 따라서, 행동이론과 구조분석의 통합을 통한 지리수업의 설계에서 본다면, 수업이 구조화되고 실증론에 대한 인식론적 입장에서 전개될 것이다.

  • PDF

『춘추』 경문에서의 묘(廟)·궁(宮) 언급을 통한 주대(周代)의 그 쓰임 사례 일고찰 - 주대의 묘수제(廟數制) 실재 여부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 【1/2】- (A Study on the Usage of Miào(廟) and Gōng(宮) in Zhou Dynasty through the Mentions to Them in the Scripture Sentences of 『Chūn-qiū(春秋)』 -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Existence of Zhou Dynasty's System to Regulate the Number of Zōng-miào(宗廟) 【1/2】)

  • 서정화
    • 한국철학논집
    • /
    • 제57호
    • /
    • pp.57-90
    • /
    • 2018
  • 본 논의에서는 주대(周代) 묘수제(廟數制)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편으로 "춘추"의 기록 속에 나타나는 '묘'와 '궁'에 대한 집중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경문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은 부분들은 "좌전"의 글과 기타자료들을 통해 사건의 맥락을 확인하였다. "춘추" 경문에서의 '묘(廟)'자의 쓰임 사례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다. 노나라의 태묘에서는 범국가적인 행사[事]와 제왕의 정치적인 제사 의례인 체(?) 의례를 이행하였고, 또 그와 같은 의례에 쓰이는 화려한 예기(禮器)를 구비하였다. 당대 군주의 종묘에서는 조정 의례인 조(朝)의례를 이행하였다. '궁(宮)'자의 쓰임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군주 개인의 가족이 기거했던 궁에서 그를 위한 가족 제사를 이행하였다. 노나라 삼환씨(三桓氏)의 정치적 거점이라 할 수 있는 환궁(桓宮)을 화려하게 장식한 기록이 눈에 띈다. 희공(僖公) 재위 시에 있었던 서궁(西宮)과 성공(成公) 3년에 화재로 소실된 신궁(新宮) 등은, 그것이 예궁(?宮)일 것이라는 한대 이후에 형성된 관점과는 달리, 양공(襄公)이 좋아했던 초궁(楚宮)과도 같은 군주의 또 다른 집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무궁을 세우고'[立武宮] '양궁을 세웠다'[立煬宮]고 하는 기록은, 어떠한 건축물에 '무(武)'와 '양(煬)'이라고 하는 상징성을 부여해 설립하여 제후가 그곳의 위(位)에 서는 행사가 이어진 것임을 논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무공(武公)이나 양공(煬公) 등의 선군을 위한 당대 군주의 효성스러운 제사 이행이 주된 목적이 아니라, 그 의례를 통해 얻는 특정의 정치적 상징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었다. 이러한 상징성은 환궁(桓宮)과 희궁(僖宮)에서 가장 극명하게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경문에서의 모든 묘와 궁들은 일정 부분 사당(祠堂)의 기능이 있긴 하지만, '천자7묘'나 '제후5묘'라는 묘수제의 규정에 맞추기 위해 사당으로서 조성한 건축물이 결코 아니었음을 확인하였다.

에셀나무(Tamarix aphylla)의 명칭문제에 대한 고찰 (An Investigation of Local Naming Issue of Tamarix aphylla)

  • 김영숙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6-67
    • /
    • 2019
  • 성경에 쓰인 에셀나무(Tamarix aphylla)의 올바른 명칭문제를 고찰하기 위해서 식물의 형태분류학적인 특성 분석, Tamarix속에 대한 상징성 고찰, 한국고전과 중국고전에서의 용례 분석, 그리고 한중일 성경에 나타난 에셀나무 번역상에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물분류학적으로 Tamarix속 유사종의 구별은 잎과 꽃의 형태로 구분하지만, 그 크기가 2-4mm 정도로 매우 작기 때문에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스라엘 광야에 분포하는 T. aphylla와 중국과 한국의 T. chinensis는 가지가 처지는 모양이나 개화기간에서 확연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Tamarix속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한(漢)나라에서는 궁궐 안뜰에 심을 정도로 귀한 나무였고, 고대 이집트에서는 죽은 사람에게 생명을 주는 나무로 여겼다. 또한 성경에서는 아브라함이 하느님께서 함께하심을 드러내는 계약의 표지로, 예언자 사무엘을 상징하기도 하고 사무엘의 법정을 상징하였다. 한국고전 용례를 통해서 볼 때 Tamarix속은 이미 조선시대에 일반화된 용어로 쓰였는데 '정류(檉柳)'는 의학적인 용어로 많이 쓰인 반면에, '위성류(渭城柳)'는 문학적 용어로 쓰였다. 중국의 본초서 가운데 정류(檉柳)와 관련된 문헌들의 연대와 명칭을 고증한 결과에 의하면 모두 16개 용어가 쓰였는데, 이 용어들 가운데 중국 성경에 쓰였던 '수사류(垂絲柳)'라는 단어는 없었다. 또한 당나라 왕유(王維 699-759)의 시 때문에 생겨난 '위성류(渭城柳)'라는 단어도 없었고, 오히려 주나라와 관계있는 '하류(河柳)'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런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국의 학술용어를 조사해 보면 '수사류(垂絲柳)'와 '정류(檉柳)'가 대등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중국성경에서 에셀에 관한 번역은 '수사류(垂絲柳)'로 하던지 '정류(檉柳)'로 하던지 문제가 없어 보인다. 일본성경은 명치역 "구신약전서(舊新約全書)(1887)"에서 'やなぎ(버드나무)'로 번역하는 오류가 있었는데, "구어역(口語譯) 성서(聖書)(1955)"부터 'ぎょりゅう(정류(檉柳))'로 번역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 'ぎょりゅう(정류(檉柳))'는 야생종이 아니라 에도시대 도입종이라는 주장이 있기 때문에 용어 설정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고전 용례분석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한국의 T. chinensis는 약용 및 관상용으로 일찍부터 한반도에서 생육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한국 성경에서 의약학 용어인 '정류(檉柳)' 사용하거나 혹은 문학적인 용어인 '위성류'를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위성류'라는 용어는 중국에서 조차 사용빈도가 극히 낮은 용어이고, 조선시대 문학하던 분들의 모화사상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 용어 사용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성경에서는 논란이 있는 용어를 사용하기 보다는 히브리어로 음역하여 '에셀나무'라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

소설 삼국지 등장인물 네트워크의 동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Network Dynamics from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이윤경;신현일;구자을;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64-371
    • /
    • 2009
  •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한 인간관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분석한 결과, 실제 사회 인간관계 및 사회 네트워크의 특성과 마찬가지로 척도 없는 네트워크 및 계층적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지금까지 대부분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는 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왜냐하면, 네트워크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 및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동적인 면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소설 삼국지는 비교적 짧은 역사 속에서 다양한 등장인물(1,119 노드)과 인물들의 이합집산에 의한 다양한 인간관계(3,604 링크)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동적 네트워크의 분석을 위한 좋은 모델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형성되는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등장인물들의 상관관계와 등장인물의 가중치를 분석하여 연결망의 동역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인간관계 및 사회 네트워크나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들의 네트워크에 관한 동역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조선시대 교직물 연구 (A Study on the Blended Tabby of the Chosen Dynasty)

  • 장현주
    • 복식
    • /
    • 제52권5호
    • /
    • pp.145-154
    • /
    • 2002
  • 1. The blended tabby whose warp and weft each employs a different kind of thread had been weaved since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in this nation and since the period of Han in China. Especially in the 15th century. very finely weaved fabrics as the specialty of Chosun were exported to China. In the 16th century. blended tabby weaved with silk and cotton were often used for clothes as cotton was produced around the nation. And in the 17th century. blended tabby employing high quality Chinese raw silk other than existing ones were weaved. 2. It has been found in literature review that Honpo, one of Chosun's blended tabby. was manufactured mainly in Hamkyung, Cholla and Kyungsang provinces and mostly distributed through markets of Chungchong and Cholla provinces. 3. Out of the total 19 fabric pieces. 13 employed silk thread as the warp and cotton thread as the weft. Compared with the weft. in general. the warp is given more tension when weaved and more friction by spindles, being more likely to be twisted than the weft. In addition to starching, a stronger thread is requested as the warp. It is natural that in the Chosun period, silk thread more stronger than cotton thread was used as the warp to make more durable fabrics. For the weft requiring lots of threads when weaved. cotton thread was mainly used in the 17th century because the thread could be easily obtained at that time. 4. So far the study has made an empirical review of Chosun's blended tabby. especially those of the 15th∼17th century, in terms of thei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indings from the study have some limit because they have been made focusing on the 15th∼17th century not the whole period of Chosun. Therefore it is needed to complement those findings through further studies.

최경선(1561~1622) 묘 출토복식 연구 (Excavated costume from the tomb of Choi Kyung Sun (1561~1622))

  • 송미경;진덕순;김진경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149-162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costume artifacts discovered in the burial site of Choi Kyung Sun(1561~1622), which was moved from Gangwon in Gangrung Province. About 30 artifacts, including costumes, were recovered from Choi Kyung Sun's grave. The collection of men's coats discovered in the grave consisted of a Dallyeong (Official's robe), Jing-nyeong(Man's coat), Jungchi-mak(Man's coat), Cheolrik(Man's coat), Chang-ui(Man's coat), Gwang-su-ju-ui(Man's coat), and Do-po(Man's coat). Han-sam(Undershirts), Jeo-go-ri(Jacket), and trousers were also recovered, along with several items made of textiles, such as the cloth used to shroud and wrap the body. The costume artifacts recovered from Choi Kyung Sun's grave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m from other early 17th-century costume artifacts. Firstly, the body had a hairband made from horsehair. Secondly, the men's trousers were of the type worn before the Japanese Invasion(1592~1597). Thirdly, the style of the coats' sleeves, when compared with artifacts from other regions, was from an earlier era. Through these costume artifacts, it can be inferred that people who lived in the Gangwon Province, which was far away from Seoul, continuously wore outfits from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and trends spread slowly.

오령산(五笭散) 및 가미오령산(加味五笭散)이 가토이뇨작용(家兎利尿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iuretic Action of Oryeongsan and Kami-Oryeongsan)

  • 이상인
    • 생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43
    • /
    • 1981
  •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yeongsan reputed to have diuretic action since Han Dynasty and possible synergetic action of Dianthi Semen, Polygonum avicularis Herba, Kochiae Fructus and Akebiae Lignum, herbs with similar reputation, when added to the above prescription, their decoction powders were solved into distilled water and injected into rabbits through the ear vein. Upon the treatment, the excretion of sodium, potassium and chloride ion together with urine volume was kinetically determined. At the same time the clearance of plasma creatinine and sodium ion was determin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Every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diuretic action, though feable, of relatively long duration. The diuretic mechanism in the case of Oryeongsan made up by mixing the seperate extract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was found to be inhibitory effect of renal tubular reabsorption in contrast to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Polygonum avicularis Herba, Kochiae Fructus or Akebiae Lignum in which case the diuretic mechanism was found to be glomerular vascular dilatation. The urinary excretion of potassium ion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Kochiae Fructus of Akebiae Lignum whereas in the other cases no similar change was registered. The diuretic action was most remarkable in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Polygonum avicularis Herba followed by Oryeongsan(A) plus Kochiae Fructus,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extract mixture of individual component of Oryeongsan, Oryeongsan(A) and Oryeongsan(A) plus Akebiae Lignum decreasing order. The duration of diuretic action was found to be 90 minutes in the case of Oryeongsan and mixture of individual component of Oryeongsan, and 60 minutes in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Kochiae Fructus or Akebiae Lignum in contrast to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Polygonum avicularis Herba which lasted up to 120 minutes.

  • PDF

금원수학여전진도(金元数学与全真道) (Jin-Yuan Mathematics and Quanzhen Taoism)

  • 곽서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325-333
    • /
    • 2016
  • Chinese Mathematics during the period of Jin (1115-1234) and Yuan (1271-1368) is an integral part of the high achievements of traditional mathematics during the Song (962-1279) and Yuan dynasties, which is another peak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following the footsteps of the high accomplishment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475-221 BCE), the Western Han (206 BCE-24 ADE), Three Kingdoms (220-280 AD), Jin dynasty (265-420 AD),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20-589 AD). During the Jin-Yuan period, Quanzhen Taoism was a dominating branch in Taoism. It offered certain political protection and religious comforts to many during troubled times; it also provided a relatively stable environment for intellectual development. Li Ye (1192-1279), Zhu Shijie (fl. late 13th C to early 14th C) and Zhao Youqin (fl. late 13th C to early 14th C), the major actors and contributors to the Jin-Yuan Mathematics achievements, were either heavi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Quanzhen Taoism, or being its followers. In certain Taoist Classics, Li Ye read the records of the relations of a circle and nine right triangles which has been known as Dongyuan jiurong 洞渊九容 of Quanzhen Taoism. These relation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the study of the circles inscribed in a right triangle, the reasoning of which directly led to the birth of the Method of Celestial Elements (Tianyuan shu 天元术), which further developed into the Method of Two Elements (Eryuan shu ⼆元术), the Method of Three Elements (Sanyuan shu 三元术) and the Method of Four Elements (Siyuan shu 四元术).

"상한론(傷寒論)"에 수록된 탕제(湯劑)의 전탕법(煎湯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Decocting and Taking Prescriptions in SANGHANRON)

  • 김영균;조수인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7
    • /
    • 2000
  • This is a study on the methods of decocting prescriptions in SANGHANRON (傷寒論), and after this, numbers of results have been obtained. SANGHANRON was written by Chang-Ki (張機) in the 2nd century, so it reflexes the usage of prescriptions of previous age indirectly. And gave affects on the methods of decocting prescriptions to the oriental medicine doctors of next generation.Berore Han-DYnasty(漢代), there were not so many publications connected with Oriental Medicine. Besides, some books couldn't hand down to next generation due to the gap of time and space. As time goes by, letters in medical books changed little by little, so contents connected with decocting methods changed too. The effects of decoction and herb tea can be changed by the flexibility of methods of decocting medicines, so we have to decide what kinds of decocting methods should be taken and adapted to patients by the most effective way.In SANGHANRON, there are many kiny kinds of boiling methods, so DHAMG-Ki selected the most appropriate method considering deree and position of disease and condition of patient. But nowadays, due to inconvenient procedure of boiling and taking medicines, some methos are not in common in clinical medicin. So this study was started to look back upon the changes of decocting prescriptions and gave deffort to find out the propriety of variation of boiling prescriptions.The common method of decocting prescriptions in SANGHANRON is boiling down all the herbs at the same time. Except the commom method, there are some kinds of other methods - boiling down twice the prescription, boiling down some special herbs earlier of later than other herbs, complicated or special boiling methods of extract, etc. These kinds of decoting methods simplified as time pass by, but this expected therapeutic value. So we have to distinguish the methods -though complicated and troublesome- in clinical medicine to make perfection more perfect in treating patients, and further studies have to be followed to prove the propriety of these complicated methods.

  • PDF

"기사망자(其死亡者) 삼분유이(三分有二) 상한십거기칠(傷寒十居其七)"에 대한 소고(小考) - 상한(傷寒)에 의한 질환(疾患)-특이(特異) 사망률(死亡率을 중심(中心)으로 - (On Estimation of the sentence "Two thirds of them died and seven out of ten died of cold damage")

  • 엄석기;김세현;어완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5-83
    • /
    • 2008
  • Based on the sentence "The number of my family member and relatives reached around 200, but since the first year of Geonan(建安) era, two thirds of them died and seven out of ten died of cold damage in less than ten years" in Sanghanjapbyeongron(Treatise on Cold Damage and Miscellaneous Diseases), which is allegedly known to be written by Jangnunggyeong(張仲景), we analyzed the sentence by three factors of time, location and people. These factors are use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disease outbreak, and through this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Approximate 10 year crude mortality rate since A.D 196(the first yea of Geonan era) in Jangsa(長沙) province was 67 out of 100 in the population. Approximate 10 year disease-specific mortality rate of cold damage since A.D 196(the first yea of Geonan era) in Jangsa(長沙) province was 47 out of 100 in the population. Regardless of age, gender or other demographic variables, approximate 10 year proportionate mortality ratio since A.D 196(the first yea of Geonan era) in Jangsa province was 70.2%, which lead to the assumption that 70% of death is cold-damage related. 2. Increased disease-specific mortality rate by cold damage in Jangsa(長沙) province for about 10 years since A.D 196(the first yea of Geonan era), and followed increased crude mortality rate in the population, threatened the stability of nation or local government. This is due to the repeated war in late Han Dynasty with political chaos and repeated flood caused by geographical disadvantage in Jangsa provi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