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fting-stock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목본식물(木本植物)의 재유령화(再幼齡化) (Rejuvenation of woody plants)

  • 이재선;문흥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7-21
    • /
    • 1990
  • Without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phase change and the rejuvenation in woody perennials, many tree breeders have successfully rejuvenated and multiplied mature trees of some tree species, i.e., Eucalyptus, Pseudotsuga menziesii Sequoia sempervirens, Pinus radiata, Pinus pinaster, Quercus virginiana, Hedera helix, Juglans, apples, grapes, and so on. Practical techniques discussed to rejuvenate the old trees include grafting to younger stock, growth regulator treatment, pruning, repeated cutting, and in vitro culture. However, a combination of skills mentioned is recommended for rejuvenation of the mature propagation material. It is strongly required to develop a morphological and/or biochemical indicator system to judge the juvenility.

  • PDF

성숙기간과 후숙기간을 달리한 대목용 박(Lagenaria siceraria Standl.) 종자의 발아율 (Effects of Germination Rate of Grafting-Stock Gourd Seeds as Affected by Durations of Ripening and After-ripening of Fruits)

  • 오대근;우영회;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89-97
    • /
    • 2018
  • 대목용 박은 개화 후 50~70일 정도 지난 종과를 수확하여 10~15일 간 후숙한 후 채종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정 후 종과의 수확시기와 후숙기간에 따른 발아율(발현율)을 비교하였다. 실험재료로는 2010년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정식하여 채종한 대목용 박 5품종을 이용하였다. 채종과의 수확은 수분 후 각각 24, 31, 50, 70일에 하였으며 후숙 기간은 수확 후 5일과 수확일과 후숙일을 더하여 85일이 되도록 각각 62, 55, 35, 15일 후에 채종하였다. 수분 후 24일 후에 채종한 종자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으며, 31일과 50일째 수확한 것이 경제적인 발현율을 보였다. 24일째에 수확한 종과도 62일간 후숙하면 78% 이상의 발현율을 보여 미숙과실도 효과적인 후숙을 통해 채종이 가능함을 보였고, 50일 이상 성숙한 종과의 경우 10-15일 정도의 후숙 처리를 하여도 발아율이 높은 종자를 채종할 수 있을 것으로 추찰되었다. 종자에 대한 배의 비율과 유묘의 하배축 길이와 굵기로 본 종자의 성숙도에 있어서도 후숙의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24일째 수확하여 62일 후숙한 종자는 성숙한 종과에서 채종한 종자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였다.

Characterization of the Lsi1 Homologs in Cucurbita moschata and C. ficifolia for Breeding of Stock Cultivars Used for Bloomless Cucumber Production

  • Jung, Jaemin;Kim, Joonyup;Jin, Bingkui;Choi, Youngmi;Hong, Chang Oh;Lee, Hyun Ho;Choi, Youngwhan;Kang, Jumsoon;Park, Youngho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3호
    • /
    • pp.333-343
    • /
    • 2017
  • Bloomless cucumber fruits are commercially produced by grafting onto the pumpkin stocks (Cucurbita moschata) to restricted silicon ($SiO_2$) absorption. Inhibition of silicon absorption in bloomless stocks is conferred by a mutant allele of the CmLsi1 homologous to Lsi1 in rice.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Lsi1 homologs in pumpkin (C. moschata) and its cold-tolerant wild relative C. ficifolia ('Heukjong') in order to develop a DNA marker for selecting a bloomless trait and to establish the molecular basis for breeding bloomless stock cultivars of C. ficifolia. A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CM1-CAPS) was designed based on a non-sysnonymou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C>T) of the CmLsi1 mutant-type allele, and its applicability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was confirmed by evaluating three bloom and five bloomless pumpkin stock cultivars. Quantitative RT-PCR of the CmLsi1 for these stock cultivers implied that expression level of the CmLsi1 gene does not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the bloom/bloomless trait and may differ depending on plant species and tissues. A full length cDNA of the Lsi1 homolog [named CfLsi1($B^+$)] of 'Heukjong' (C. ficifolia), was cloned and sequence comparison between CmLsi1($B^+$) and CfLsi1($B^+$) revealed that there exists total 24 SNPs, of which three were non-synonymous. Phylogenetic analysis of CfLsi1($B^+$) and Lsi1 homologs further revealed that CfLsi1($B^+$) is closesly related to Nodulin 26-like intrinsic proteins (NIPs) and most similar to CpNIP1 of C. pepo than C. moschata.

Construction of Antibodies for Detection and Diagnosis of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from Watermelon Plants

  • Shim, Chang-Ki;Lee, Jung-Han;Hong, Sun-Min;Han, Ki-Soo;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21-27
    • /
    • 2006
  • We immunized BALB/c mice with purified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isolate HY1 (CGMMV-HY1). Through the selection of positive clones that were grown on the HAT medium, four sensitive monoclonal clones (CG99-01, CG99-02, CG99-03, and CG99-04) were selected from 500 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positive hybridoma cells. Four sensitive clones of CGMMV-HYI were determined as IgM type of the subclass of mouse immunoglobulins Ig group. The titer of monoclonal antiserum against CGMMVHY1 was estimated 1:12,800 by the indirect ELISA. Although monoclonal antibodies (MAbs) from CG99-01 and from CG99-04 cross-reacted with Zucchini green mottle mosaic virus and Kyuri green mottle mosaic virus, MAb from the cell line CG99-03 was highly specific to CGMMV. No MAbs cross-reacted with Cucumber mosaic virus-Fny. Only CG99-04 reacted with Pepper mild mottle virus weakly and CG99-02 reacted with both CGMMV and KGMMV. CGMMV was detected from the rind of watermelon fruit by DAS-ELISA of CGMMV-HY1, but not from the flesh of watermelon. Average seed transmission rate of CGMMV in watermelon was $24\%$ from symptomatic watermelon collected from 5 regions of Gyeongnam province. CGMMV was detected by DAS-ELISA with specific MAb of CGMMVHY1 periodically from root stock, during the sequential process for nursery seedling in Haman. Necrotic spots on cotyledons of root stock seedling progressed to reveal the typical symptomatology on the primary leaves of scion upon grafting. Here, we have established MAb based ELISA system, which could accurately detect CGMMV from watermelon seeds, nursery seedlings, transplants and field samples from greenhouse or open out door field as well.

Management of Severe Bone Defects in Femoral Revision following Total Hip Arthroplasty

  • Yicheng Li;Li Cao
    • Hip & pelvis
    • /
    • 제36권2호
    • /
    • pp.101-107
    • /
    • 2024
  • Treatment of femoral bone defects continues to be a challenge in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THA); therefore, meticulous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and surgical planning are required. This review provides a concise synopsis of the etiology, classification, treatment strategy, and prosthesis selection in relation to femoral bone loss in revision THA. A search of literature was conducted for identification of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classification of bone loss, management of femoral revision, and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stems. Findings of a thorough review of the included articles were as follows: (1) the Paprosky classification system is used most often when defining femoral bone loss, (2) a primary-length fully coated monoblock femoral component is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types I or II bone defects, (3) use of an extensively porous-coated stem and a modular fluted tapered stem is recommended for management of types III or IV bone defects, and (4) use of an impaction grafting technique is another option for improvement of bone stock, and allograft prosthesis composite and proximal femoral replacement can be applied by experienced surgeons, in selected cases, as a final salvage solution. Stems with a tapered design are gradually replacing components with a cylindrical design as the first choice for femoral revision; however, further confirmation regard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odular and nonmodular stems will be required through conduct of higher-level comparative studies.

접목 전후 대목과 접수의 상토 내 수분함량이 토마토 플러그묘의 접목 활착율과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Content in the Substrate of the Scion and Rootstock during Pre- and Post-Grafting Period on the Survival Rate and Quality of Tomato Plug Seedlings)

  • 넉탕부;최기영;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9-204
    • /
    • 2014
  • 본 실험은 토마토 플러그묘의 접목활착율과 묘소질 향상을 위한 적정 상토 내 수분함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접수와 대목의 상토내 수분함량을 각각 3처리구(고, 중 저)씩, 총 9개의 조합을 설계하여 각 처리구별로 접목활착율과 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접수의 상토내 수분 함량의 차이는 접목 활착율에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목의 수분함량은 접목활착율에 영향을 미쳐 수분함량이 낮아질수록 활착율도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함량에 따른 묘소질도 접목활착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접수의 수분함량차이는 생육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목에서는 잎(엽수, 엽장, 엽폭)을 제외한 초장, SPAD함량, 경경은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묘의 충실도는 상토내 수분 함량이 접수는 중간, 대목은 높은 조합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근권부의 생육에서도 대목의 수분함량이 주로 영향을 미쳐, 수분함량이 저하될수록 전 뿌리 표면적, 전 근장, root tip수 모두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operoxidase 변이형(變異型)에 의(依)한 소나무 Clone 감별(鑑別) (Use of Zymography for Identification of the Same Clone in a Clone Bank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 박용구;최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22
    • /
    • 1973
  • 생물체(生物體)가 가지고 있는 동위효소(同位酵素)는 그것을 지배(支配)하고 있는 유전자형(遺傳子型)에 의(依)해 여러가지 효소형(酵素型)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소나무 clone 보존원(保存園)과 같이 접목법(接木法)에 의(依)해 영양번식(榮養繁殖)된 경우에는 만약 대목(臺木)이 접수(接穗)의 동위효소형(同位酵素型)에 직접적(直接的)인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면 동위효소(同位酵素)를 이용(利用)하므로써 어떤 제한(制限)된 범위내(範圍內)에서는 감별(鑑別)이 가능(可能)할 것이다. 본(本) 연구(硏究)는 상기(上記) 가능성(可能性)을 확실(確實)히 알아내기 위하여 각(各) 개체(個體)마다 산지(産地)가 다른 소나무 수형목후보목(秀型木候補木)에서 접목법(接木法)에 의(依)해 조성(造成)된 clone 보존원(保存園)의 clone 중(中) 8개(個) clone의 48개(個) ramet에 대(對)한 과산화동위효소형(過酸化同位酵素型)을 조사연구(調査硏究)하였다. 8 clone 중 같은 효소형(酵素型)을 나다낸 것은 충북(忠北)3호(號)(CB-3)의 경기(京畿) 1호(號)(KK-l)였으나 이들도 평균활성도(平均活性度)에는 차이(差異)가 난다. 같은 clone 내(內)의 ramet 간(間) 효소형(酵素型)은 같이 나타나서 대목(臺木)이 접수(接穗)의 효소형(酵素型)에 직접적(直接的)인 영향(影響)을 마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48개(個) ramet 중 4개(個) ramet가 같은 clone 내(內)의 다른 ramet와는 그 효소형(酵素型)이 달랐다. 이상의 결과(結果) 소나무 접목(接木) clone을 과산화동위효소(過酸化同位酵素) 이용(利用) 감별(鑑別)할 수 있음을 시사(示唆)하였다.

  • PDF

호도나무 대목촉성재(臺木促成材) Plastic원통(圓筒)을 이용(利用)한 유경녹기(幼莖綠技) 접목(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Juvenile Grafts with Plastic Tubes for Forcing Stock Growth in Juglans sinensis)

  • 윤기식;구관효;조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89-197
    • /
    • 1989
  • 호두나무(Julans sinensis)의 접목묘(接木苗) 생산(生産)을 위(寫)하여 생장(生長)이 왕성(旺盛)한 유조직(幼組織)을 접합(接合)시키는 방법(方法)으로 종자(種子)에서 발아(發芽)된 유경(幼莖)을 태목(台木)으로 하고 접수(接穗)는 신초녹지(新稍綠枝)로 하여 영지(露地)에서 유경녹지접목(幼莖綠枝接木)을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띤 다음과 같다. 1. 태목(台木)의 유경(幼莖)을 비대(肥大)하게 육성(育成)코자 plastic 원통(圓筒)을 설치(設置)하고 파종복토량(播種覆土量)은 6cm높이로 하는 것이 유경(幼莖)굵기를 10.0mm까지 키우는데 효과(効果)가 있었다. 2. 접수(接穗)는 경화이전(硬化以前)의 유지(柔枝)로 정아(頂芽)가 달린 결과지(結果枝) 및 도장지(徒長枝) 8-12cm 깊이로 사용(使用)할 때 90%의 높은 활착율(活着率)을 얻었다. 3. 유경녹지접목(幼莖綠枝接木) 시기(時期)는 5월(月)20일(日)이 적기(適期)이고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은 평균(平均) 86.0% 높게 나타났다. 4. 접목묘(接木苗)의 초기발순(初期發荀)은 접목일(接木日)로부터 25일(日) 후(後) 6월(月)15일(日)에 전체(全體) 72% 활착(活着)하였다. 5. 접목묘고생장(接木苗高生長)은 7월말(月末)로 완료(完了)하고 비대생장(肥大生長)은 10월말(月末)까지 계속(繼續)하였다. 6. 묘고(苗高)와 근원직경간(根元直徑間)의 정(正)의 상관(相關)(r=0.276**)이 있었다. 7. 휴안지접목(休眼枝接木)은 2년간(年間)에 걸쳐 생산(生産)하나 유경녹지접목묘(幼莖綠枝接木苗)는 작업방법(作業方法)이 쉽고 당년(當年)에 생산(生産)되므로 경제적(經濟的)인 효과(効果)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모단(牡丹)(Paeonia moutan Sim) 접목(接木)이 작약(芍藥)(Paeonia albiflora Palls) 근(根)의 유효성분(有效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Graft of Paeonia moutan into Paeonia albiflora on Pharmaceutical Components)

  • 장기운;김필주;정하일;문창식;안병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6-209
    • /
    • 1991
  • 농가에서 3년간 재배중인 작약(芍藥), 목단(牧丹), 모단(牡丹)을 접붙인 작약(芍藥)(목단(牧丹)/작약(芍藥))근(根)을 수집해서 외형적(外形的)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목단(牧丹)/작약(芍藥)을 접목(接木)한 지하부(地下部)의 외형적 생육상태(生育狀態)는 작약(芍藥)의 특성과 같았으나, 달관(達觀) 조사(調査)에 의하면 목단(牧丹)/작약접목근(芍藥接木根)이 작약(芍藥)에 비해 2~3배의 증수량(增收量)을 나타냈다. 2. 목단속(牧丹屬)(Paeonia linne) 식물의 주요(主要) 유효성분(有效成分)인 Paeoniflorin은 목단(牧丹)/작약근(芍藥根)이 0.98%로 작약(芍藥) 0.78%, 목단(牧丹) 0.46%보다 0.2%에서 0.5%까지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목단(牧丹)에 다량 함유된 Paeonol은 목단접목(牧丹接木)으로 인해 목단(牧丹)/작약(芍藥) 접목근(接木根)에서 함량(含量)이 증가되지는 않았다. 3. 결과적(結果的)으로 수량(收量)과 유효성분(有效成分) 측면을 종합비교(綜合比較)해 볼 때, 작약(芍藥)의 뿌리를 대목(臺木)으로 하여 모단경(牡丹莖)을 접수(接穗)로 접목(接木)함으로서 근생육(根生育)이 괄목할만하게 증대되었고, 약효성분(藥效成分)은 작약(芍藥) 고유의 함량비(含量比)를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향후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다.

  • PDF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stage 3 거대세포종의 치료 (Treatment of stage 3 giant cell tumor around the knee)

  • 박원종;이승구;강용구;권오수;정양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4-129
    • /
    • 2003
  • 목적: 슬관절부에 발생한 제 3 기 거대세포종에 대해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슬관절부에 발생한 제 3기의 거대세포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기간은 최단 1년 최장 9년으로 평균 5.7년이었다. 수술방법으로11명에서 병소내 소파술 및 액화 질소 냉동 요법 후 시멘트 충진술을 시행하였고, 7명에서 병소내 소파술 시행 후 냉동 요법 없이 시멘트 충진술 또는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관절면의 파괴가 심했던 3명에서는 광범위 절제술 후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첫 수술 후 기능적 평가는 우수 및 양호가 13례, 보통이 4례, 실패가 4례였다. 국소 재발이나 감염으로 인해 실패로 판정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4례에서 최종 추시시 기능적 결과는 우수 3례, 보통이 1례로, 전체적으로는 우수 및 양호가 16례, 보통이 5례였다. 소파술, 냉동요법 및 시멘트 충진술을 시행한 11명의 환자 중에는 1명(9.1%)에서 재발하였으며, 1명(9.1%)에서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보였으며, 냉동요법 없이 소파술 및 시멘트 충진술 또는 골이식을 받은 환자 7명중 2명(28.6%)에서 재발하였고, 1명에서(14.5%) 슬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결론: 철저한 소파술 및 냉동 보조요법은 슬관절부의 제 3기 거대 세포종 치료에 있어 유용한 방법이며, 광범위 절제술 및 재건술은 병변이 거대하고 관절면이 상당히 파괴되었거나, 수술 후 국소 재발로 인해 골파괴 및 관절 침범이 심한 경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