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t pape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2초

Manufacturing Technique of Gilt-Bronze Objects Excavated from Tomb No.1(Donghachong) in Neungsan-ri, Buyeo

  • Shin, Yong-bi;Lee, Min-hee;Kim, Gyu-ho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453-457
    • /
    • 2020
  • Tomb No. 1 (Donghachong) of the Buyeo Neungsan-ri Tomb complex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 is a royal tomb of the Baekje Sabi Period. One wooden coffin unearthed there is an important relic of the funerary culture of the Baekje. This study examines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gilt-bronze objects attached to the wooden coffin excavated from Donghachong. The base metal of the gilt-bronze object is pure copper, with single α phase crystals in a heterogeneous form containing annealing twins; Au and Hg are detected in the gilt layer. We suggest that the surface of the forging copperplate is gilded using a mercury amalgam technique; it is thought that the annealing twins of the base material formed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for the sheet metal. The gilt layer is three to five times thicker for the gilt-bronze objects found near the foot of the coffin than those near the head. We estimate the plating process is carried out at least three times because three layers are identified on the plate near the head.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 materials and methods used to construct the gilt-bronze objects found in different parts of the coffin are the same, but the number of platings is different. This research confirms the metal crafting techniques used in Baekje by the examination of production techniques of these gilt-bronze objects. Further, our paper presents an important example of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for a museum exhibition, through effective use of scientific analysis and investigation.

경상북도 안강 행주 기씨 묘 출토 직금단 치마와 저고리 보존처리 - 직금단 편금사의 금박 재접착을 중심으로 - (Conservation of Golden Decorative(Jikgeumdan) Jeogori and Chima of Costumes Excavated from Hangju Gi' Tomb of Angang, Kyungsangbukdo Province - Re-adhesion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

  • 오준석;노수정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67-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erve of golden decoration(Jikgeumdan) of Chima(skirt) and Jeogori(Korean jacket) of the costumes excavated from Hangju Gi' tomb(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1392{\sim}1910)$ an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on skill to prevent flaking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Up to the present, in case of golden decorations of costumes excavated from tombs of Joseon dynasty, some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costumes were flaked away by deterioration of adhesives in tombs. However, most of gold leaves were flaked away and totally lost by wet cleaning for eliminating contaminants after excavation. In order to prevent flaking, preliminary experiments for re-adhesion of gold leaves have been carried out. Firstly,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gold leaf which was available in the market. Adhesives used in this research were water-soluble adhesives(hide glue(cow, rabbit), glue made from air bladders of sciaenoid fish and Primal AC-3444 of acrylic emulsion) and solvent-soluble adhesives(acrylic adhesive Paraloid B-67 and B-72). Because of difficulty in wetting and spreading of adhesive solutions into the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water-soluble adhesives were not proper for adhesion of gold leaf and Korean paper. Solvent-soluble adhesives were easily infiltrated into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and the adhesive force was also satisfied. From this result, the researchers chose more flexible Paraloid B-72$(Tg\;40^{\circ}C)$ 1% solution than Paraloid B-67$(Tg\;50^{\circ}C)$ for adhesion of gold leaf and Korean paper. Secondly, using Paraloid B-72 1% solution, the estimations of re-adhesion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Jeogori were carried out. When Paraloid B-72 1% solution was injected three times into the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the re-adhesion was most effect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ese preliminary experiments, re-adhesion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Chima and Jeogori were carried out on condition of three times injections of Paraloid B-72 1% solution before wet cleaning. After wet cleaning, the most of the gold leaves were survived, which was confirmed by both the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and the microscopic examination.

홀로렌즈 2 기반의 백제 금동대향로를 위한 증강 현실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based on HoloLens 2)

  • 윤영석;김동명;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4-586
    • /
    • 2022
  • 본 논문에서 스마트 안경을 이용하여 한국의 국보중 하나인 백제 금동대향로를 위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안했다. 제안한 증강 현실 서비스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홀로렌즈 2와 MRTK, 그리고 Unit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발했다. 사용자는 홀로렌즈 2를 착용하고 전시된 백제 금동대향로의 옆에 QR 코드를 바라보면 제안한 서비스가 시작된다. 다음으로 제안한 서비스는 백제 금동대향로의 역사적 설명과 그 안의 오브제들을 사용자들에게 증강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제안한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백제 시대의 연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금동대향로의 가상 오악사들을 증강한다. 따라서, 우리는 가상의 오악사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현재의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어, 백제 시대 문화 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확장된 경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 유산인 백제 금동대향로와 제안한 증강 현실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어울려 홀로렌즈 2를 통해서 사용자들에게 제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부여 규암리 출토 금동관음보살 입상의 형상과 제작기법 (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hvara from Gyuam-ri, Buyeo: The Structure and Production Technique)

  • 신용비;김지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3권
    • /
    • pp.1-16
    • /
    • 2020
  • 이 논문에서는 부여 규암리 출토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제293호, M335번)' 1점을 현미경으로 확대 관찰하여 제작기법을 확인하였고, XRF 성분분석과 Hard X-선 조사로 구성 성분과 불상 표면 처리 방법, 주조법을 확인하였다. 이 불상은 연화대좌 위에 직립하는 보살상이다. 불상 양 측면으로 흘러내린 천의와 대좌에 표현된 연화문의 모양을 볼 때 7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불상의 특징을 하고 있다. 대좌 안쪽에서 내형과 외형을 고정시키기 위한 틀잡이와 주물의 주입 흔적이 관찰되었다. 또한, 주조기법은 팔과 대좌 부분에 청동 주물시 형성된 기포가 확인되어 이를 종합해 볼 때 고대 중소형 금동불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밀납주조법으로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성분분석 결과, 불상 내부에서는 시기적으로 6~7세기에 많이 나타나는 구리(Cu)-주석(Sn)-납(Pb) 계열의 3원계 합금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금속을 합금하여 주조를 쉽게 하고 불상에 표현된 문양 및 장식을 선명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로 추정된다. 불상 표면에서는 수은(Hg)이 검출되어 금(Au)을 수은(Hg)에 용해시켜 도금하는 방식인 아말감도금기법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도금방법은 고대 한반도에서 제작된 소형 금동불에서 주로 확인되는 불상의 도금 방식이다.

삼국시대 금동신발 문양의 의미와 상징성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Patterns on Gilt Bronze Shoes from Three Kingdoms Era)

  • 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18-630
    • /
    • 2018
  • 현대 신발디자인은 형태적 변화뿐만이 아니라 문양을 통한 다양한 디자인 전개가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문양이 일시적인 유행에 그치지 않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닌 디자인으로서 지속적인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문양을 개발해야할 것이며, 이것은 전통문양에 대한 분석이 선행됨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문양은 집단적 가치의 상징으로, 전통문양은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면서 소속된 사회구성원의 철학적인 사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신발 중 문양이 특징적 디자인 요소로 활용된 삼국시대의 금동신발을 분석했으며, 그 문양의 상징성은 시간과 공간의 초월(超越), 정신과 물질의 조화(調和), 지역과 종교의 융합(融合) 등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의 선조들이 자연의 한계를 인간 중심으로 해석, 극복하고, 현실을 넘어 이상을 추구하였으며 다양한 사상을 수용했다는 측면에서 인간중심주의, 이상주의, 포용주의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서산 부장리 백제 금동관모의 제작기법 연구 (Manufacturing Techniques of a Backje Gilt-Bronze Cap from Bujang-ri Site in Seosan)

  • 정광용;이수희;김경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243-280
    • /
    • 2006
  • 서산 부장리 유적 백제시대 분구묘 5호분 출토 금동관모는 백제시대의 고고학적 자료로서 당시 국제적 교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본 논문은 금동관모를 보존처리하는 과정 중에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금동관모의 제작기법을 연구한 결과이다. 관모의 단면은 총 5개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단면 중 직물층이 백화수피층과 금속층 사이에서 발견되었는데, 금속과 백화수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은 단면 중 2개의 층인 직물층과 섬유질층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직물층은 가장 간단한 조직인 평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 겹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조직의 꼬임, 미세조직 구조상 몇 가지 직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섬유질은 두 세 개의 섬유가 혼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T-IR 분석 결과 직물층과 섬유질층은 모두 마섬유로 확인되었다. 또한 백화수피는 자작나무껍질 15겹을 붙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도금편의 미세조직 관찰을 위해 금속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 및 파장분산형X선 분석기(WD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말간도금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도금기술의 척도를 알 수 있는 도금층 두께는 최소 $1.7{\mu}m$부터 최대 $8.7{\mu}m$이었다. 금의 순도는 금(Au)이 98%, 약 1% 이내의 은(Ag)이 함유되어 있었다. 위 금동관모의 과학적 보존처리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향후 제작기술의 비교연구 뿐만 아니라 복원품의 제작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어보 보수(寶綬)의 재료학적 분석 (Material Analysis of Bosu of the Royal Se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Empire)

  • 이혜연;김주영;조문경;김민지;박대우;이정민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4-166
    • /
    • 2021
  • 조선의 어보는 국가 왕실을 상징하는 인장이다. 보수(寶綬)는 어보에 달린 붉은 끈으로, 어보의 품격을 높여주는 장식의 목적과 취급의 편리를 위해 제작되었다. 보수는 끈목과 방울술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1441년부터 1928년까지 제작된 조선 왕실 및 대한제국 황실 어보의 보수 총 318점을 대상으로 형태 조사, 색상, 재질, 성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끈목은 시기가 후반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얇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방울술은 1800년대 중후반부터 방울목이 대부분 사라지고 술 끝에 고리가 나타난다. 보수의 색상은 대부분 다홍색이지만 주황색과 자주색도 확인된다. 보수의 재질은 대부분 실크로 확인되지만 1900년대 제작된 어보의 보수 5점과 1740년대에 제작된 어보의 보수 1점은 레이온으로 추정된다. 1740년대에 제작된 어보의 보수는 1900년대에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방울술을 장식하는 금지의 주요 성분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1800년대 중반까지는 술과 방울에 금(Au)이 주요 성분인 금지를 사용하지만 1800년대 중반 이후부터 술에는 금(Au), 방울에는 황동(Cu-Zn)이 주요 성분인 금지를 사용하다가, 후반 이후 술과 방울에 황동이 주요 성분인 금지를 사용하였다. 보수는 어보의 한 부속품이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제작 기법과 재질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감은사지(感恩寺址) 동탑(東塔) 사리용기(舍利容器) 양식(樣式)에 반영된 복두형(覆斗形) 천장(天障)에 대하여 (About the Ceiling with Bokdu(覆斗) Design Reflected on the Sarira Casket Discovered from a East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 이난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3권
    • /
    • pp.136-161
    • /
    • 2000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gilt-bronze sarira caskets discovered in 1959 and 1996, from a east and a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which was built in 682. One of the most interesting discoveries is the ceiling with Bokdu(覆斗) design which can be seen in Dun-Huang grotto of China, reflected upon the ceiling structure of the cover (outer casket) and the square box (inner casket). The structure of these sarira caskets, as art crafts, directly represents architectural structure of Dun-Huang grotto that was made during the early T'ang period of China. Moreover, the sarira caskets are decorated with ornate designs and these designs also can be seen on the murals of Dun-Huang grotto. Accordingly, those sarira caskets tell us creative ability and international taste of Silla's craftsmen. By tracing the origin of structure and design pattern of the sarira caskets to Central Asian and Chinese architectures, it is able to understand international style of the sarira caskets of Gameunsa Temple site.

발굴현장 수습 유물 보존처리 (On-site conservation of a gilt bronze crown)

  • 유재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0호
    • /
    • pp.49-64
    • /
    • 1999
  • According to damage of papers by the chemical cause, papers become to acidify. Among the 3 kinds of method measuring the acidity of paper, one was nondestructive method measuring the surface of the paper by flat type electrode and the others were destructive methods measuring directly by cold water extract method and hot water extract method. In case of the cellulolytic cultural properties, the latter methods were not applied because those methods must bedissociated papers. To measure the paper acidity nondestructivel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of the nondestructive method and the destructive method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n the relationship of the cold water extract method and the hot water extract method, It was indicated that the pH measured by the hot water extract method was high quality printing paper 0.08, rough printing paper 0.13, and Korean paper 0.29 higher than that by the cold water extract method.2) In the relationship of the cold water extract method and the surface measurement method, It showed that the pH value measured by the cold water extract method was high quality printing paper 1.86, rough printing paper 0.80,and Korean paper 0.58 higher than value that by the surface measurement.3) In the relationship of the hot water extract method and the surface measurement method, It showed that the pH value measured by the hot ABSTRACT water extract method was high quality printing paper 1.78, rough printing paper 0.66, and Korean paper 0.29 higher than that by the surface measurement. From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pH value measured by the surface measurement was need to high about 1.78∼1.86 in high quality printing paper, 0.66-0.80 in rough printing paper, and 0.29∼0.58 in Korean paper and the surface measurement with flat type electrode was very available to measure the acidity of Korean papers actually.

  • PDF

중국과 한국 전통금사 금속의 과학적 분석 연구 (Scientific Analysis of Metal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Gold Thread)

  • 정선혜;유지아;정용재;심연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64-771
    • /
    • 2013
  • The metal component of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gold thread was analyzed nondestructively using P-XRF and classified morphologically. In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22 Chinese and Korean artifacts, there were 10 gold threads made up of Au in China and 7 in Korea; in addition, there were 4 silver threads made up of Ag in Korea and 1 copper thread made up of Cu in China. I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7 gilt paper strips were confirmed in China and Korea and 4 wrapped threads were identified in China and Korea. Zn, Sn and Fe (minor components of the threads) were detected. These components were assumed to be transferred from the metal found in burial g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