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a Backje Gilt-Bronze Cap from Bujang-ri Site in Seosan

서산 부장리 백제 금동관모의 제작기법 연구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 이수희 (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 김경택 (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유적학과)
  • Published : 2006.12.26

Abstract

At the Bujang-ri Site, Seo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round 220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ing semi-subterranean houses and pits of Bronze Age and semi-subterranean houses, pits, and burials of Baekje period had been identified and investigated. In Particular, mound burials No. 5 of 13 of Baekje mound burials yielding a gilt-bronze cap along with other valuable artifacts drew international scholarly attention. The gilt-bronze cap from the mound burial No. 5 is a significant archaeological data not only in the study of Baekje archaeology but also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exchange at that time. At the time of exposure, the gilt-bronze cap was already broken into a number of pieces and seriously damaged by corrosion, and hardening and urethane foam were necessary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its pieces. Ahead of main conservational treatments on cap, X-ray photograph and CT(computerizes tomography) were taken in order to examine interior structure of the cap and to decide appropriate treatments. In the five layers identified in the profile of cap, a textile layer was set between a metal and a layerof bark of paper birch for avoiding direct contact of the metal and the bark of paper birch. Analyses were executed for examining textile layer and a layer of fibroid material. According to microscopic analysis, while the textile layer consisted of the simplest plain fabric with one fold among three kinds of textile structures, the layer of fibroid material was mixed with two or three kinds of fiber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standard sample using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nounced that both textiles and fabrics were hemp. Analysis of kind of the paper birch resulted in barks of paper birch with 15 fold. A metallographic microscope, SEM, and W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microscopic structures of plated metal pieces. While amalgam plating was treated as a plating method, the thickness of the plated layer, a barometer of plating technique, was ranged from $1.72{\mu}m$ to $8.67{\mu}m$. The degree of purity of gold (Au) used in plating was 98% in average, and less than 1% of silver (Ag) was included.

서산 부장리 유적 백제시대 분구묘 5호분 출토 금동관모는 백제시대의 고고학적 자료로서 당시 국제적 교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본 논문은 금동관모를 보존처리하는 과정 중에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금동관모의 제작기법을 연구한 결과이다. 관모의 단면은 총 5개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단면 중 직물층이 백화수피층과 금속층 사이에서 발견되었는데, 금속과 백화수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은 단면 중 2개의 층인 직물층과 섬유질층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직물층은 가장 간단한 조직인 평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 겹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조직의 꼬임, 미세조직 구조상 몇 가지 직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섬유질은 두 세 개의 섬유가 혼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T-IR 분석 결과 직물층과 섬유질층은 모두 마섬유로 확인되었다. 또한 백화수피는 자작나무껍질 15겹을 붙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도금편의 미세조직 관찰을 위해 금속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 및 파장분산형X선 분석기(WD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말간도금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도금기술의 척도를 알 수 있는 도금층 두께는 최소 $1.7{\mu}m$부터 최대 $8.7{\mu}m$이었다. 금의 순도는 금(Au)이 98%, 약 1% 이내의 은(Ag)이 함유되어 있었다. 위 금동관모의 과학적 보존처리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향후 제작기술의 비교연구 뿐만 아니라 복원품의 제작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Cited by

  1. 광학식 표면스캐닝 및 X-선 CT를 활용한 유물의 3차원 융합모델 제작: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삼총통 vol.22, pp.None, 2006,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9.22.0015
  2.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금동관의 원형과 의미 vol.53, pp.3, 2006,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3.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