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Jade(Amazonite) from the Sijeonri Site at Asan, Korea

아산 시전리 유적 출토 옥기(천하석)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재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나건주 (충청문화재연구원) ;
  • 김명진 (충청문화재연구원)
  • Published : 2006.12.26

Abstract

Quantitative analysi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raw materials for the jade (amazonite) excavated from the Asan Sijeonri site were studied. Geology of the Sijeonri site composed mainly of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and the alluvium ranges extensively. In the site, amazonite jade was excavated in the Bronze Age No. 4 circular-shaped resident site. The jade has a comma-shaped and shows light green color with so much cracks. The jade is silicate mineral of columnar habits that is shown white streak, and has fine cleavages with vitreous luster. As the analytical results, this jade was identified as a feldspar-group mineral gemologically called amazonite that is mineralogically microcline formed to intergrowth of albite and orthoclase. Internal textures of the amazonite present Na-end member of albite coexisting with K-end member of orthoclase that are replaced each other along the cleavages and twin planes with several ${\mu}m$ scales. Therefore, the amazonite is one mineral phase combined with albite and orthoclase by substitution of $Na_2O$ and $K_2O$, respectively. The Danyang are is an unique producing site of amazonite in South Korea, and Gongju Janggimyeon was known as microcline provenance to the utmost area from the Sijeonri site. In the marginal area of southern coast in Korean Peninsula, Bronze Age amazonite has been excavated in several sites, where original provenance of the raw amazonite is not identified. The Sijeonri site does not show any facilities of producing and processing traces for amazonite jade. Also, only one jade was collected in the Sijeonri site. Therefore, there is not possibility that the provenance of raw jade is the Sijeonri area. To explain original provenance of the amazonite jade, migration path, manufacturing process and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are required.

충남 아산시 시전리 유적에서 출토된 옥기를 대상으로 고고과학적 측면에서 재질분석 및 원료산지를 해석하였다. 시전리 유적은 북쪽에 평야와 하천이 발달된 남쪽의 구릉에 위치한다. 이 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인 편암 복합체가 주류를 이루며 충적층이 넓게 분포한다. 이 유적의 청동기시대 4호 원형 주거지에서 한 점의 천하석제 옥기가 출토되었다. 이 옥기는 곡옥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담녹색에 쪼개짐이 발달된 특징을 보인다. 또한 유리광택에 백색 조흔을 보이며 미세벽개 및 쌍정을 갖는 주상 형태의 규산염광물이다. 다각적인 정량분석 결과, 이 옥기는 광물학적으로 조장석과 정장석이 공생하는 미사장석이며, 보석학적으로는 천하석 또는 아마조나이트(amazonite)로 불리는 장석군 광물로 동정되었다. 이 천하석제 옥기의 내부조직은 Na-단종인 조장석과 K-단종인 정장석이 벽개와 쌍정을 따라 수 ${\mu}m$의 폭으로 교대조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정장석 내부는 $K_2O$의 함량에 따라 교호성장 조직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 천하석은 Na와 K가 상호치환과 교대 작용에 의하여 미사장석이라는 하나의 광물상을 이룬 것이다. 남한에서 천하석의 원산지는 충북 단양이 유일하며, 시전리 유적과 가장 근접한 미사장석 산지로는 공주시 장기면이 알려져 있다. 한편 청동기시대 천하석제 옥기가 다량 출토된 지역은 경남 서부 및 전남 동부의 남해안 연변으로서, 이 지역에서도 천하석의 원료가 될 만한 원광석의 산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청동기시대 천하석제 식옥은 부장품으로 출토되지만, 시전리 유적에서는 옥기의 생산 및 가공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유일하게 한 점이 주거지에서 수습된 것으로 볼 때, 시전리에 옥기 원료의 산지가 있거나 공방이 있었을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따라서 이 옥기의 원산지와 유입경로 및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고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