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Thinking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초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추론 능력 및 함수적 사고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Functional Thinking Based-Teaching on Algebraic Reasoning and Functional Thinking Level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은미;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55-676
    • /
    • 2016
  • 본 연구는 대수적 사고 중 하나인 함수적 사고에 기반 한 수학 수업이 6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추론 능력 및 함수적 사고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12차시의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수업에 비해 대수적 추론 능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대수적 추론 능력의 하위요소인 일반화된 산술로서의 대수적 추론 및 함수적 사고로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함수적 사고 기반 수업은 5가지 유형별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 수준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타 교과와 연결된 상황 설정을 통한 함수적 사고 지도 방안 (Teaching Method for Functional Thinking by Situation Posing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 나경수;최성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651-674
    • /
    • 2011
  • 함수적 사고는 학교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고 함수적 사고 지도의 목적은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할 때 초등학교에서 함수적 사고를 지도한다는 것은 함수적 사고의 속성인 지정과 종속의 연관이 내재된 현상을 의미하는 함수적 사고이다. 함수적 사고를 습득했는지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함수적 사고의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함수적 사고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학생들의 활동이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함수적 속성을 갖는 타 교과의 내용과 관련된 함수적 상황의 형태의 전형적인 예(paradigm)을 제공하고, 적절한 발문을 통해 안내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 교과와 연결된 상황 설정을 통한 함수적 사고의 지도 방안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보다 발전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도 방안은 함수적 상황의 준비단계, 적용단계, 반성단계의 3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지도해야 할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중등 예비교사의 함수 관계 상황 표현 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

  • 차인숙;한정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99-210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s 55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 Functional thinking is fundamental and useful because it develops students' quantitative thinking about the world and analytical thinking about complex situations throug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interdependent factors. Functional thinking is indispensable for understanding natural phenomena, for investigation by science, and for the technological inventions in engineering and naviga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functional relationships to develop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llustrates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able to appropriately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Additionally, it shows that most preservice teachers hav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eaching function.

  • PDF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Third Graders' Functional Thinking)

  • 김정원;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105-119
    • /
    • 2008
  • 함수적 사고(functional thinking)는 대수적 사고의 주요 요소로써 둘 또는 그 이상의 다양한 양들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사고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함수적 상황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함수와 관련된 대수적 사고를 어떻게 구성해 나가는지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함수적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술, 그림 등을 사용하여 양들의 대응 값에 대한 기록을 창안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패턴을 찾고 일반화하는 활동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한다.

  • PDF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기 위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 분석: 수학 과제 및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of Functional Thinking for Teaching: Focused on Mathematical Task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43-364
    • /
    • 2017
  • 초등학교 수학에서 함수적 사고는 매우 중요하지만,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기 위한 수학 과제 및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검사 도구를 개발한 후 초등학교 교사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부분 곱셈 관계와 덧셈 관계의 과제를 적절하게 개발할 수 있었고, 비연속적인 대응표의 활용과 같은 수업 전략에 대하여 함수적 사고 지도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었다. 반면 일부 교사들은 함수적 사고에 대한 중요한 아이디어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기 위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에 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개편" 정책의 문제 및 원인 분석 (Analysis of Problems and Causal Relations of Functional Changes of Local Educational Authority Policy(FCLEAP)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 하정윤;나민주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5권2호
    • /
    • pp.75-9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unctional changes of local educational authority policy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diagrams. In the past, the main function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y was to manage and supervise schools. Through this policy, local educational authority would be transformed into a support agency. However, this policy did not achieve the goal, was to cause confusion and require improvement. This study shows structured causes of the problem based on systems thinking. These diagrams make it possible for educational policy makers to provide ideas, although they have some complicated environm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based on systems thinking in this policy can help those who related to policy decision than existing diagnosis method.

  • PDF

브랜드 위기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고방식, 자기감시성,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on the Brand Crisis Form toward a Brand Attitud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inking Style, Self-monitoring, and Product Type)

  • 서경도
    • 산업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57-7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oderate effects of self monitoring and the ways of thinking on the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e effects of brand credibility and brand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and the customer attitude holistic and analytic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and customer attitude.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divided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into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research also divided product type into functional product and symbolic product. participants are classified as having Low or High self monitoring. and the ways of thinking divided into holistic and analytic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brand and customer attitude.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hypothesis test: (1)the consumers with low(high) level of self monitering are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negative information of corporate ability. (2)the consumers with analytic(holistic) ways of thinking are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negative information of corporate ability. (3)the consumers with low(high) level of self monitering are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functional product. (4)the consumers with analytic(holistic) ways of thinking aren't more likely to reveal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functional(symbolic) product.

  • PDF

종합적 사고자의 감성적 광고에 대한 태도 : 호텔 브랜드확장광고를 중심으로 (Holistic Thinkers' Attitude toward the Emotional Ads. : Focused on Hotel Brands' Extension Ads.)

  • 김귀곤;도현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179-189
    • /
    • 2012
  • 본 연구는 브랜드 컨셉(상징적 vs. 기능적)과 사고방식(종합적 vs. 분석적)이 호텔브랜드의 확장광고(이성적 vs. 감성적) 및 확장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고방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 브랜드 컨셉이 상징적인 경우 소비자들의 확장광고 및 확장제품에 대한 태도는 이성적 광고보다 감성적 광고에서 높게 나타나거나 차이가 없게 나타났으며, 브랜드 컨셉이 기능적인 경우 감성적 광고보다 이성적 광고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또한 종합적 사고자의 확장광고 및 확장제품에 대한 태도는 이성적 광고보다 감성적 광고에서 차이가 없게 나타났으며, 분석적 사고자의 경우 감성적 광고보다 이성적 광고에서 높게 나타났다. 3) 마지막으로 브랜드 컨셉에 따른 확장광고 및 확장제품에 대한 태도는 예상한 바와 같이 소비자의 사고방식에 의해 조절되었다(이성적 광고: 상징적<기능적, 감성적 광고: 상징적>기능적).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사고방식을 소유한 글로벌 호텔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론적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초등학생의 함수적 사고 신장을 위한 기하 패턴 지도 사례의 분석 (An Analysis of Lessons on Geometric Patterns for Developing Func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방정숙;선우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769-789
    • /
    • 2016
  • 패턴 활동은 어린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신장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구체적으로 패턴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함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한 기하 패턴의 지도 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초등학교 수학 수업으로 구현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3개 학급을 선정하였고, 동일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바탕으로 세 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각 학급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크게 공통성을 인식하는 과정, 공통성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는 과정, 공통성을 표현하는 과정으로 구성하였으며, 분석 결과 기하 패턴의 구조를 분석하는 활동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패턴의 일반화된 규칙을 추론하고 표현하는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함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한 기하 패턴의 지도 방안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인식 및 사고 과정 분석 - 기하 패턴 탐구 상황에서의 사례연구 - (An Analysis on Sixth Graders' Recognition and Think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s - A Case Study with Geometric Growing Patterns -)

  • 최지영;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05-225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기하 증가 패턴을 탐구하는 상황에서 함수적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일반화하며 표현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처음에는 학생들이 그림에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후속 항들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일반화에 대한 시도가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또한, 패턴 탐구의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는지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이 표현 방식은 패턴을 일반화하고 유사 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도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초등학교에서의 함수적 사고의 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