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9초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 평가 및 취약성 기반 소방 대응 활용 연구 (Study of a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Climate Change and Utilizing the Vulnerability-based Disaster Response in Jeju-do)

  • 임채현;박용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64-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VESTAP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제주도 홍수 취약성은 현재(2010년대)보다 미래(2020년대, 2030년대, 2040년대)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2030년대를 기준으로 이전에는 제주시의 취약성이 서귀포시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이후에는 서귀포시의 취약성이 제주시보다 높게 나타나 제주도 전반에 대한 취약성의 증대와 함께 지형 상 남북 간인 서귀포시와 제주시 간의 취약성 변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농업생산기반의 재해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김성재;김성민;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1호
    • /
    • pp.3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over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n terms of flood and drou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ulnerability was assessed using vulnerability resilience index (VRI) which combines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Ten flood proxy variables and six drought proxy variables for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selected by opinions of researchers and experts. The statistical data on 16 proxy variables for the local governments (Si, Do) were collected. To identify major variables and to explain the trend in whole data se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conducted. The result of PCA showed that the first 3 principal components explained approximately 83 % and 89 % of the total variance for the flood and drought, respectively. VRI assessment for the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PCA results indicated that provinces where having the relatively large cultivation areas were categorized a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사회적 평가 지표를 반영한 도시 홍수취약성 평가 (A Study on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Social Impact)

  • 이규민;최진원;전경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9-11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approach to assess urban flood vulnerability by identifying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oad transportation and the vulnerable groups. Assessment procedures comprise three steps as: (1) composing the assessment criteria to reflect the urban characteristics; (2) calculating the weight; and (3) evaluating the vulnerability. The criteria were adopted by Delphi survey technique. Four criteria as land cover, residents, vulnerable areas, and disaster response were adopted in the current study. To determine the weight set of criteria, subjective and objective methods were combined. The weight set was determined using the combined method which reflects the Delphi method and Entropy analysis. In the process of data-based construction, GIS tools wwere used to extract administrative unit materials such as land cover, road status, and slope. Data on population and other social criteria were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Seoul Metropolitan statistical data. TOPSIS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echnique, which uses materials from cell units in order to rank the closest distance to the best case and the farthest distance from the worst case by calculating the distances to the area of assessment, was applied to assess. The study area was the Dorimcheon basin, a flood special treatment area of Seoul city.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the established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approach is able to predict the inherent vulnerable factors in urban regions and to propose the area of priority control.

홍수피해저감지수(FDRRI) 개발 및 시범적용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 문승록;양승만;최선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69
    • /
    • 2014
  • Community-based disaster preparedness approach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elements of vulnerability reduction and disaster strategies. They are associated with a policy trend that values the knowledge and capacities of local people. In this research, we describe the community diagnosis method and develop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FDRRI) for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FDRRI is composed of four indicators such as Flood Exposure Indicator(FEI), Sensitivity Indicator(SI), Risk Reduction Indicator(RRI), and Community Preparedness Indicator(CPI). We anticipate to present the guideline for selection national preparedness projects and uplift community's preparedness capacity.

Reliability-based approach for fragility assessment of bridges under floods

  • Raj Kamal Arora;Swagata Banerjee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8권4호
    • /
    • pp.311-322
    • /
    • 2023
  • Riverine flood is one of the critical natural threats to river-crossing bridges. As floods are the most-occurred natural hazard worldwide, survival probability of bridges due to floods must be assessed in a speedy but precise manner. In this regard, the paper presents a reliability-based approach for a rapid assessment of failure probability of vulnerable bridge components under floods. This robust method is generic in nature and can be applied to both concrete and steel girder bridges. The developed methodology essentially utilizes limit state performance functions, expressed in terms of capacity and flood demand, for probable failure modes of various vulnerable components of bridges. Advanced 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AFORM), Monte Carlo Simulation (MCS), and Latin Hypercube Simulation (LHS) techniques are applied for the purpose of reliability assessment and developing flood fragility curves of bridges in which flow velocity and water height are taken as flood intensity measures. Upon validating the proposed method, it is applied to a case study bridge that experiences the flood scenario of a river in Gujarat, India. Research outcome portrays how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proposed reliability-based method can be applied for a quick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of bridges in any flood-prone region of interest.

우리나라 홍수 취약성 평가를 위한 Fuzzy TOPSIS 접근법 (Fuzzy TOPSIS Approach to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in Korea)

  • 김영규;정은성;이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901-913
    • /
    • 2012
  • 본 연구는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홍수 취약성 평가를 정량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실 세계로부터 얻는 많은 정보들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간적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기 위해 Fuzzy TOPSIS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Fuzzy TOPSIS의 결과를 TOPSIS 및 가중합계법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부지역의 취약성 순위가 큰 폭으로 역전되는 현상을 보였다. Spearman 순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TOPSIS와 가중합계법의 순위는 높은 일치성을 보였으나 Fuzzy TOPSIS의 순위와는 상당히 일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즉, Fuzzy 개념을 반영하여 지역별 취약성을 산정할 경우 우선순위의 변동이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도 하나의 취약성 평가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서울 지역의 미래 홍수취약도 평가 (The Assessment of Future Flood Vulnerability for Seoul Region)

  • 성장현;백희정;강현석;김영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41-3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확률강우량을 통계적으로 전망하고 홍수취약도 모형을 통하여 미래 서울 지역의 홍수취약도를 정량적으로 가늠해 보는 것이다.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을 고려한 확률강우량 전망을 위하여 서울 지점의 연최대 일강우량을 초기 30년 자료 이후로 1년씩 누적하며 General Extreme Value (GEV) 분포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시간 대 위치, 규모 및 형상 매개변수의 선형정도를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위치 매개변수의 선형회귀식을 구성하고, 선형회귀분석에 의한 위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2030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 확률강우량을 장옥재와 김영오 (2009)가 제안한 홍수취약도 분석의 모델의 입력자료로 하여, 2030년 서울지역의 홍수취약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2030년에 재현기간 100년의 강우가 발생한다면 현재에 비해 지역 평균 5 %정도 취약도가 증가하리라 전망되었다.

지역별 홍수피해주기를 고려한 홍수위험잠재능 평가 (Assessment of Potential Flood Damage Considering Regional Flood Damage Cycle)

  • 김수진;배승종;김성필;배연정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4호
    • /
    • pp.143-151
    • /
    • 2015
  • Recently, flood has been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resulting in numerous damages for humans and properti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ology to estimate the flood vulnerability using Potential Flood Damage (PFD) concept. To evaluate the PFD at a spatial resolutions of city/county units, the 19 representative evaluation indexing factors were carefully selected for the three categories such as damage target ($F_{DT}$), damage potential ($F_{DP}$) and prevention ability ($F_{PA}$). The three flood vulnerability indices of $F_{DT}$, $F_{DP}$ and $F_{PA}$ were applied for the 162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for the pattern classification of potential flood damage. It is expected that the supposed PFD can be utilized as the useful flood vulnerability index for more rational and practical protection plans against flood damage.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홍수 취약성 평가 (Kore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 Climate Change)

  • 이문환;정일원;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8호
    • /
    • pp.653-66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 평가기법을 제안하고 국내 5대강 유역에 적용 및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Multi-Model Ensemble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평가 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취약성 평가를 위해 우선 유역의 기상, 수문 자료를 비롯한 지형, 인문 사회 정보를 수집, 지표를 산정하여 현재 기후상태 하에서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에 3개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 13개 GCMs (Global Climate Models), 3개 수문모형(2~3개 증발산량 산정방법)으로 생산된 39개 미래 기후시나리오 및 312개 미래 수문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기준 S0 (1971~2000년) 기간 대비 미래 S1 (2010~2039년), S2 (2040~2069년), S3 (2070~2099년)기간의 홍수 취약성의 시공간적 변화 및 불확실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현재 기후상황에서 홍수에 취약한 지역은 한강, 섬진강, 영산강 하류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결과 낙동강, 금강, 한강 권역에서의 민감도가 가장 크게 변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본적으로 섬진강 유역의 적응능력이 낮기 때문에 미래에도 섬진강 유역이 홍수에 가장 취약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홍수 취약성 평가를 위한 그룹 의사결정 접근법 (Group Decision Making Approach to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 김영규;정은성;이길성;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99-109
    • /
    • 2013
  • 유역 환경에 대한 복잡성의 증가는 단일 의사결정자들이 의사결정문제의 모든 부분을 고려하는 것을 점점 더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불확실성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룹의사결정기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공간적인 홍수 취약성을 정량화하는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개인의 선호도를 분석하기위해 Fuzzy TOPSIS를 사용하였고 개인선호도의 통합을 위해 Borda count, Condorcet 그리고 Copeland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Fuzzy TOPSIS 및 TOPSIS의 결과와 비교하였고 스피어만 순위상관계수와 켄달의 순위상관계수, Emond와 Mason이 제시한 순위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순위의 일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일부 지역의 취약성 순위가 큰 폭으로 역전되는 현상을 보였다. 그룹의사결정 개념을 반영하여 지역별 취약성을 산정할 경우 우선순위의 변동이 클 수 있으므로 홍수 취약성 산정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