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manage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일반건설업체 여성 현장관리자의 업무수행능력 분석 (An Analysis for Work Performance of Female Field Manager of General Construction Company)

  • 신원상;이동은;손창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4-196
    • /
    • 2013
  • Recently, It is a fact that the percentage of female field managers has increa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ntage of female construction site managers by conducting a survey of current male and female construction site managers and then analyzed the workload, work difficulty, work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female employees in charge of public affairs, which is the most common tasks.

  • PDF

여자의 적은 여자인가?: 상사 성별이 여성 근로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Female Leadership on Job Stress and Promotion of Female Workers)

  • 정하나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4호
    • /
    • pp.61-89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를 이용하여 한국 여성 근로자의 직장 내 스트레스 및 승진에 상사의 성별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직속 상사가 여성일 때 여성 근로자의 직장 내 스트레스는 높았고, 사원 및 대리 직급 여성의 승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왕벌 현상과 역할일치이론에 따르면 한국과 같이 유리천장이 견고하고 상위 직급의 남성 밀집도가 높은 구조에서는 여성 리더십의 긍정적인 특성이 발휘되기보다 다른 여성에 대해 높은 인정 기준을 요구하거나 경쟁적인 모습을 보여 여성 상사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 내 스트레스는 높고 낮은 직급의 여성 승진확률은 낮추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가족친화제도와 조직문화가 여성관리자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Willingness of Female Managers to Have a Child)

  • 고선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53-36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workplace polici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willingness of married female managers to have a child. The analysis includes 353 married female managers from the $6^{th}$ survey of the 2016 Korean Women Manager Panel. Factors that are found to influence the respondents include ag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job position, promotional goals, accessibility to family leave, accessibility to shorter work hours during the child-rearing period, and organizational culture. Female managers who can easily use family leave or who have shorter work hours during the child-rearing period show a higher willingness to have a child. By contrast, those whose work places employ a fair an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are less willing to have a child. The introduc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a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s of female managers' willingness to have a child. We find that influencing family-friendly polic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hildbirth differ. The accessibility of family-friendly policie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female managers to have a child when they have no child include parental leav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and childcare subsidies. For improving their willingness to have a second child, accessibility to both family leave and shorter work hours during the child-rearing period are effective.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should strongly consider micro-personal factors, such as family-friendly workplace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when executing policies to reverse the current trend of low fertility.

조직문화가 여성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력개발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Female Entrepreneurship: The Moderating Role of Career Self-Management Behavior)

  • 안혜성;오혜미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97-107
    • /
    • 2024
  • 최근 들어 여성 특유의 여성기업가정신(female entrepreneurship)이라는 개념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존 문헌은 여성이 창업한 기업 혹은 여성창업가 중심으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데 그쳤고 무엇보다 여성의 전반적인 수준의 여성기업가정신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업차원에서의 조직문화가 여성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조직문화의 특성 중에서 수평 정도에 주목하여 수평적인 조직문화가 여성기업가정신을 증대시키는지 연구하였다. 나아가 수평적인 조직문화에 있는 여성 조직구성원이 개인 차원에서 설정된 경력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취하는 경력관리 관련 행동에 적극적인 경우, 수평적인 조직문화가 여성기업가정신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강화되는지 살펴보았다. 제시된 연구모형의 검증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 Women Manager Panel: KWMP)의 2022년 3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에 따르면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다. 따라서,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가진 기업일수록 여성기업가정신이 증대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나아가 경력개발행동에 적극적인 여성일수록, 기업의 조직문화의 수평 정도와 여성기업가정신 간의 정(+)의 관계는 강화되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전반적인 수준의 여성기업가정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선행요인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독일의 가족기업 실태 및 특성 분석 -가족기업종사 기혼여성과의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Work and Family Characteristics of Family Business in Germany -based on the interview with female business manager in the family businesses-)

  • 김지희;문숙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8권2호
    • /
    • pp.77-9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document the current research trends, significance, and actual situation of family business in Germany, an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business work, workers, and interactions influencing work and family functioning in German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sate of family business in Germany through out theoretical approach and secondary national data. In addition, this study collected in 1998 data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female family business managers in German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family busines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conomy of Germany. More than 85% of all companies are family businesses, which produce over 60% of GDP in Germany. The notable characteristics of family business households were the high proportion of home owners, high education level of the family business manager, high involvement of family members in family business. Also the high work sati faction among the family members who worked in family business, the effect of family business work on family life, and effect of the family on business success were extremely positive.

  • PDF

Analyzing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Field Managers Employed by General Contractors

  • Son, Chang-Baek;Shin, Won-Sang;Lee, Dong-Eun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41-448
    • /
    • 2013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female workers pursuing careers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field has increased, despite the fact that the job positions have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retaining job functions and/or qualities that are more appropriate to male than female.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positions also require delicate and/or detail-oriented job functions, which can be successfully performed by female. It is important for project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field managers by analyzing their job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s expert opinions regarding female's managerial performance on job site.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wo focus groups, male and female field managers who work for general contract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encouraging female's social and economic involvement by investigating the challenges they face in the workplace, and provides measures to respond to such challenges.

재택가족기업의 가정경제기여도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Economic Contributions of Home-based Family Businesses)

  • 김현정;정순희;여윤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4호
    • /
    • pp.85-9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contributions of home-based family busines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ositive effect on direct contributions of home-based family businesses was associated with a male manager, more family members, more employees, non-family employees in the business, engaged in food and restaurant business, located in Seoul area, and higher perceived success of the business. Positive effect on indirect contributions of home-based family businesses was associated with a female manager, a child under age 6, only family members as employees, and greater initial investment in the business. Working hours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indirect contributions. Greater total economic contributions of the home-based family businesses was associated with a male manager, more family members, more employees, non-family employees in the business, engaged in restaurant business, located in Seoul, and higher perceived success on the business.

여성 관리자의 교육훈련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An Analysis of a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of Female Managers and Life Satisfaction)

  • 송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5-321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교육훈련,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훈련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Survey) 6차 자료를 활용하여 총 1,381명의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선형회귀분석, Baron &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교육훈련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여성근로자의 교육훈련, 직무만족, 삶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여성근로자의 선순환적 교육, 일, 삶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기업, 사회 및 국가의 제도와 정책을 개선해야할 것이다.

조직문화와 리더십 역량, 영향력 수단이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Competency, and Means of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정희수;조상미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
    • 제21권2호
    • /
    • pp.141-169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여성정책연구원이 구축한 여성관리자 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Survey) 6차 자료를 사용하여,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조직문화와 리더십 역량, 영향력 수단을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보았으며, 이를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조직문화는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에 매개하여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을 높여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여성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은 직무만족을 매개해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 관리자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직무 만족이 바로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삶의 만족, 직무 만족을 이루기 위해서는 여성 관리자의 리더십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교육과 지원이 강화되어야 하며, 조직과 기업 차원에서 합리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성 평등한 문화를 위한 적극적인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워라벨(Work Life Balance), 즉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는 현재, 여성 관리자의 경력이 멈추지 않고, 개인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 중 개인과 가정에 관한 구체적인 영향 요인과 내재적, 외재적 직무만족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부족하였고, 영향력 수단에 대한 추가논의가 좀 더 필요하여 후속 연구로 남겨둔다. 또한 횡단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 연구를 통해 진전된 인과적 관계를 밝혀내고, 남녀 차이분석을 통한 다양한 영향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성 관리자가 경력단절의 고비를 넘어 조직 내 경력을 유지하며 기업 내 핵심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모색하며,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과 직무 만족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과 후속출산계획 간의 관계: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 및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and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Female Managers: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 강하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2호
    • /
    • pp.25-39
    • /
    • 2021
  •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데이터의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는 여성 관리자 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은 후속출산계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이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는 것에 더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