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Volume 21 Issue 2
- /
- Pages.141-169
- /
- 2019
- /
- 1598-5555(pISSN)
- /
- 2734-0058(eISSN)
DOI QR Cod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Competency, and Means of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조직문화와 리더십 역량, 영향력 수단이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19000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competency and means of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female workers in terms of personal and family life taking into account job satisfaction as a mediator vari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female managers to overcome the crises of career interruption and grow to be key leaders in respective organization maintaining their career. For this study, 1,384 female managers from the 6th Korean Women Manager Panel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job satisfac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and leadership compet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w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rational and egalitarian directly enhance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raise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an environment supportive of practical and concrete policie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should be created so that female managers can continuously develop their career in workplace and play their roles at home. It is also suggested that female workers are provided with education and support for leadership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is created on the level of organizations and companies and active measures are sought after to create a gender equal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d work-life balance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female managers and considered aggressive action plans to realize them.
본 연구는 한국 여성정책연구원이 구축한 여성관리자 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 Survey) 6차 자료를 사용하여,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조직문화와 리더십 역량, 영향력 수단을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보았으며, 이를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조직문화는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에 매개하여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을 높여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여성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은 직무만족을 매개해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 관리자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직무 만족이 바로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삶의 만족, 직무 만족을 이루기 위해서는 여성 관리자의 리더십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교육과 지원이 강화되어야 하며, 조직과 기업 차원에서 합리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성 평등한 문화를 위한 적극적인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워라벨(Work Life Balance), 즉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는 현재, 여성 관리자의 경력이 멈추지 않고, 개인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 중 개인과 가정에 관한 구체적인 영향 요인과 내재적, 외재적 직무만족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부족하였고, 영향력 수단에 대한 추가논의가 좀 더 필요하여 후속 연구로 남겨둔다. 또한 횡단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 연구를 통해 진전된 인과적 관계를 밝혀내고, 남녀 차이분석을 통한 다양한 영향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성 관리자가 경력단절의 고비를 넘어 조직 내 경력을 유지하며 기업 내 핵심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모색하며,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과 직무 만족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