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athy Enhancemen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164초

순환적 공감모형기반 유아 공감능력증진프로그램이 공감능력 및 또래 유능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yclical Empathy Model-based Young Children Empathy Enhancement Program on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강은희;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17-137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yclical empathy model-based empathy enhancement program on young children's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thods: A total of 4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rom 5-year-old children attending S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out of whom 20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20 to a comparative group (control group). The SPSS 21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hich showed that the cyclical empathy model-based empathy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young children's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f a young children's empathy enhancement program can be applied to child care sites to help the teachers in the field children can overcome empathy-related difficulties by themselves. This study also provides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have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s in young children's education institutions.

간호대학생의 도덕적자아, 도덕적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이 융복합시대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oral Self, Moral Behavior, Self-Control,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Age of Convergence)

  • 제남주;박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61-37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간호대학생 16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15일부터 4월 30일이며, IBM SPSS 21.0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사용하였다. 도덕적자아는 3.39점, 도덕적행동은 3.72점, 자기통제력은 3.68점, 공감은 3.53점, 대인관계능력은 3.69점, 간호전문직관은 3.90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 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은 전공만족도-만족함(β=.232, p=.002), 공감(β=.222, p=.003), 대인관계능력(β=.178 p=.016)순이었다. 설명력은 18.5%이었다(F=13.69, p<.001). 간호전문직관 향상과 올바른 확립을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공감,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성격과 학과적응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확인하는 추가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통증사진에 대한 반복적 통증평가가 의대생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peated Pain Measurement to Injury Pictures on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 Medical Students)

  • 이상권;천경주;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02-41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대생들의 공감능력 수준에 따른 타인의 통증인지 수준 평가와 공감능력의 변화를 파악하여 짧은 시간 내에 공감능력이 낮은 의대생들의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공감교육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총 145명 대상자들의 공감능력을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나누었다. 또한, 타인의 통증인지 수준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인 'Pain Assessment Computer Program(PACP)'을 사용하였다. PACP 수행 후 공감 고집단은 인지적 공감능력만 유의미하게 증가한 반면, 공감 저집단은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 모두 증가하였다. PACP 수행과정에서 두 집단 모두 인지적 공감능력이 공통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대상자들이 인지적 요소를 우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지적 공감이 상승된 것으로 보이며, '인지적 노력'에 따른 인지적 공감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PACP는 짧은 시간 내에 공감능력이 낮은 의대생들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 보조 수단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감향상훈련이 집단따돌림 가해아동의 공감과 가해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Program on the Enhancement of Empathy and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 정정분;김종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4권1호
    • /
    • pp.237-26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mpathy training program on the empathy and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The research hypotheses set to achieve this goal were as follows. 1. An experimental group that gets empathy training might make a better improvement in empathy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and the effect of the training might last till eight weeks later. 2. An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goes empathy training might show a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and the effect of the training might last till eight weeks lat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were designated as bullies when 40 fifth graders from Y Elementary school and 31 children from S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T, south Gyeongsang province, took K-PNI. Those children were asked to tell about who were attackers and who were victims, and 10 children each were selected from the two elementary schools as bullies, who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the empathy training programs developed by Shin Gyeong- il(1994). That program was prepared to be appropriate at fifth grader level. To assess how much the selected children bullied their peers, Kim Seok-jin(1999)'s School Bullying Inventory was utilized. Besides, Song Ho-yeon's revised version to assess the change of counselee empathy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e, ANOVA was implemented.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empathy of the bullies for the better, and their improved empathy remained the same eight weeks later. Second,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had an effect in reducing bullying's degree for bullies,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ir reduced bullying's degree eight weeks later. Third,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served to change their neglecting/ ostracizing and ridiculing/teasing behaviors. And the retention test that was implemented eight weeks later showed the effect of training remained unchanged. Fourth,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ir cursing/threatening actions according to the posttest results, but the retention test showed that its effect didn't keep on. Fifth,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didn't bring any changes to their robbing/striking actions either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or eight weeks later.

  • PDF

애니메이션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 인지적, 감정적 반응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연구 (The Mediating Roles of Empathy,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s to Animated Spokes-Characters)

  • 김운한;이현우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179-192
    • /
    • 2009
  • 본 연구는 광고에 등장하는 허구적 존재로서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 반응이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감정이입의 효과 과정에 있어 인지적, 감정적 반응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몇 가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감정이입은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은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인지적 반응이 미치는 영향력은 감정적 반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감정이입은 인지적 반응에 매개되어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정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허구적인 존재인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대해서도 실제 인물에 대해 느끼는 감정적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허구적인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이입의 강도를 높여야 하며, 인지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감정이입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PDF

일상 브이로그의 정보 속성과 출연자 유형에 따른 시청 몰입 및 자기향상 태도의 차이 (The Effects of Information Types and Players in Everyday Vlogs on Viewers' Empathy, Social Presence and Self-Enhancement)

  • 진낙;나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277-287
    • /
    • 2022
  • 일상을 기록하는 동영상 브이로그가 온라인 소통의 주요한 영상 콘텐츠 양식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 본 연구는 이러한 온라인 영상의 이용이 시청 몰입 심리 및 자기향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일상 공유를 통한 온라인 플랫폼 생산자 논의 및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유튜브 브이로그의 정보 속성별 그리고 출연자 유형별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의 분석 결과, 정보 속성(일과기록형 vs. 심층정보형) 및 출연자 유형(일반인 vs. 연예인)에 따른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일과기록형에 비해 심층정보형 영상을 시청할수록, 연예인 출연에 비해 일반인 출연 영상을 시청할수록, 수용자의 감정이입, 사회적 실재감 등의 시청 몰입이 높아졌으며, 자기성찰, 심리적 힘돋우기 등의 자기향상 태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Program for Children's Leadership Enhancement)

  • 정문자;김진이;김태은;김수지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9-244
    • /
    • 2007
  • A comprehensive program for children's leadership improvement by enhancing their self-esteem, empath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utilized core concepts and techniques or the Solution-Focused Model of Chung et al. (2005), Satir's Experiential Model(Chung, 2003), Cognitive-Behavioral Model (Kim, 2002) and problem-solving games (Chung & Kim, 2005). Twenty-six $3^{rd}$, $4^{th}$, and $5^{th}$ graders from public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six 2.5 hour session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wo 2.5 hour sessions. All subjects received pre-, post- and follow-up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elf-esteem, empath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increased as a result of this program and the effects lasted for at least three month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 PDF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umanistic Knowledge and Empathy Ability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김세영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5-104
    • /
    • 2020
  • 본 연구는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간호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의 간호대학생 250명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문화적 역량의 정도를 측정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문화적 역량 정도를 측정하였다. 평균 인문학적 소양 정도는 2.50점, 공감능력 평균 3.40점, 문화적 역량 평균 3.33점으로 나타났다.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 인문학적 소양과 문화적 역량,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도 약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학업성적,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은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인자로, 예측인자는 문화적 역량 변인을 40.0%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개선 및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의 공감수준이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oth Shift Work and Non-shift Work Nurses' Empathy on Life and Job Satisfaction)

  • 천경주;최주희;김유리;이상옥;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61-27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공감수준을 측정하고, 공감수준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공감수준, 삶의 만족도 그리고 직무만족도의 세 가지 요인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부산지역 소재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에게 실시하였다. 간호사는 근무형태에 따라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로 구분하여, 총 150개 중 144개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IBM SPSS Statistics 21로 분석하였다. 교대근무 간호사는 공감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비교대근무 간호사는 공감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흥미롭게도, 공감수준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beta}=.282$, p=.006), 비교대근무 간호사에게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beta}=.252$, p=.048).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공감수준은 간호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간호사의 공감 부족은 환자와의 갈등을 일으킨다는 사실에서 보듯이, 간호사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있어 공감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하려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n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67-374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문화적 역량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간호대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역량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문화적 역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r=.450, p<.001; r=.579, p<.001)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외국어 실력은 문화적 역량을 3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콘텐츠의 개발과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