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Cyclical Empathy Model-based Young Children Empathy Enhancement Program on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순환적 공감모형기반 유아 공감능력증진프로그램이 공감능력 및 또래 유능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9.10.15
  • Accepted : 2019.11.28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yclical empathy model-based empathy enhancement program on young children's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thods: A total of 4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rom 5-year-old children attending S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out of whom 20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20 to a comparative group (control group). The SPSS 21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hich showed that the cyclical empathy model-based empathy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young children's empathy,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f a young children's empathy enhancement program can be applied to child care sites to help the teachers in the field children can overcome empathy-related difficulties by themselves. This study also provides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have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s in young children's education institu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간명주 (2016).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조절전략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소미 (2007). 게임중심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교육관계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공귀숙 (2019).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5. 구이선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기남 (2017). 유아의 정서적.인지적 공감 및 또래유능성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8(1), 217-231. doi:10.5723/kjcs.2017.38.1.217
  7. 김광수, 김경집 (2008). 초등학생 용서 능력 증진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학연구, 46(4), 207-231.
  8. 김민선, 김진선 (2010).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2), 29-38.
  9. 김영옥, 홍지명, 이규림 (2010). 우정증진 활동이 유아의 친구관계 개념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79-301.
  10. 김은주, 김미정, 안세정 (2011).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 교사교육연구, 50(3), 119-135. doi:10.15812/ter.50.3.201112.119
  11. 김창순 (2013). 공감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태훈 (2015). 공감에 관한 연구. 초등도덕교육, 47, 1-28. doi:10.17282/ethics.2015..47.1
  13. 김형회 (2005). 게임을 활용한 공감훈련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4(1), 263-284.
  14. 류현강 (2015).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이 유아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서희 (2014).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성희 (200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17.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18. 오영희, 양승지 (2001). 동화를 통한 통합교육의 실제: 동화로 열린 생각을. 서울: 양서원.
  19. 유아영 (2012). 드라마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선미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오후 재편성 혼합연령 종일반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은희, 이효자 (2014).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상담심리교육연구, 1(2), 25-48.
  22. 이미상 (2017). 그림책을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병래 (1997). 정서지능 개념의 성립.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95-214.
  24. 이보영 (2016). 인성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공감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21, 7(6), 159-176. doi:10.22143/HSS21.7.6.10
  25. 이한종 (2015). 아동의 주장성과 공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6(3), 49-69. doi:10.15854/jes2015.09.46.3.49
  26. 임미혜, 문미옥 (1999). 생각하기 느끼기 행동하기 유아 정서교육과정의 효과연구. 아동학회지, 20(4), 213-229.
  27. 장문희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수경 (2000). 공감전달이 정서표현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승영 (2015). 동화를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하나, 지성애 (2015).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5(6), 5-31. doi:10.18023/kjece.2015.35.6.001
  31. 조수연 (2017).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수랑 (2002).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공감수준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지선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한유진 (2006).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6.
  35. 한보람 (2014). 유머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유머 이해, 또래 유능성,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종순 (2005).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준아, 김지현, 조윤주 (2017).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가 유아의 또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6), 227-244. doi:10.22251/jlcci.2017.17.16.227
  38. Barret- Lennard, G. F. (1981). The empathy scales: 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2), 91-100. doi:10.1037/0022-0167.28.2.91
  39. Batson, C. D., Fultz, J. & Schoenrade, P. A. (1987). Distress and empathy: Two qualitative distinct vicarious motions with different motivational consequences. Journal of Personality, 55(1), 19-39. doi:10.1111/j.1467-6494.1987.tb00426.x
  40. Broke, H. (1971). Interpersonal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Egocentrism or empathy? Developmental Psychology, 5(2), 263-269. doi:10.1037/h0031267
  41.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 in Psychology, 10, 85-103.
  42. Decety, J., & Jackson, P. L. (2004).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human empathy. Behavioral and Cognitive Neuroscience Reviews, 3(2), 71-100. doi:10.1177/1534582304267187
  43. Gopnik, A. and Schulz, L., eds (2007). Causal Learning: Philosophy, Psychology and Compu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4. Harter, S. (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 system. In E. M. He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4th ed., pp. 275-385). New York: John Wiley.
  45. Howe, D. (2013). Empathy: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공감의 힘(이진경 옮김). 서울: 지식의 숲.
  46. Krznaric, R. (2014). Empathy, 공감하는 능력(김병화 옮김). 서울: 샨티.
  47. Miller, P. A., & Eisenberg, N. (1988). The relation of empathy to aggressive and externalizing/anti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03(3), 324-344. doi:10.1037/0033-2909.103.3.324
  48. Petrides, K. V., Sangareau, Y., Furnham, A., & Frederickson, N. (2006).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relations at school. Social Development, 15(3), 537-547. doi:10.1111/j.1467-9507.2006.00355x
  49. Redmond, M. V. (1989). The Functions of Empathy(Decentering) in Human Relations. Human Relations, 42(7), 593-605. doi:10.1177/001872678904200703
  5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51. Shaffer, D. R. (2000). 발달심리학(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