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ukryang Ba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전남 남부 반폐쇄적인 내만 갯벌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ediment in the Semi-enclosed Bays of the Southern Region of Jeollanam Province)

  • 황동운;김평중;전상백;고병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8-648
    • /
    • 2013
  •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ediment in a semi-enclosed bay, we measured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grain size,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cid volatile sulfide (AVS), and trace metals (Al, Fe, Cu, Pb, Zn, Cd, Hg, and As), in intertidal sediment from three bays (Deukryang Bay, Yeoja Bay, and Gamak Bay) in the southern region of Jeollanam Province. The intertidal sediment in Deukryang Bay consisted of various sedimentary types, such as sand, gravelly muddy sand, mud, and silt, whereas the intertidal sediments in Yeoja and Gamak Bays were composed mainly of mud. The concentrations of IL, COD, AVS and trace metal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the three study regions were relatively high near areas affected by input of stream waters and/or shellfish farming waste.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Gamak Bay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Deukryang and Yeoja Bays, which appears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anthropogenic pollutants, originating from the city and the industrial complex near Gamak Bay. The evaluation results of organic matter and metal pollution using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howed that the intertidal sediments in the three study regions were not polluted in term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future, sustainable management for source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 is necessary to conserve a healthy benthic ecosystem in intertidal sediments.

Simulation of Sea Water Response in Deukryang Bay to Typhoon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

  • Hong, Chul-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3호
    • /
    • pp.53-63
    • /
    • 1998
  • The Princeton ocean model (POM) with free surface in sigma-coordinate, governed by primitive equations, is used to examine the response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to a typhoon. The model reproduces reasonably well the main features in the wind-driven dynamics due to passing of a typhoon. In response to the wind, the coastal jet develops and the upwelling(or downwelling) occurs dominantly in both sides of the ba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an overturn in the bay water with the passing of typhoons. Numerical results of POM are also compared to those of a depth-averaged model. From the comparison, it is postulated that the bottom drag coefficient conventionally used for the two-dimensional flow models is inadequate due to overestimation of the computed current field.

  • PDF

EMERGY 분석법에 의한 득량만의 환경용량 산정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Deukryang Bay by EMERGY Analysis)

  • 엄기혁;손지호;조은일;이석모;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29-636
    • /
    • 1996
  • 득량만의 양식업에 대한 EMERGY분석결과 연안해역에 대한 영속성 에너지원의 EMERGY 유입은 $54.60\times10^{18}sej/yr$, 비영속성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유입은 $1.50\times10^{18}sej/yr$ 그리고 재화와 용역에 의한 유입은 $13.55\times10^{18}sej/yr$이고, 자연환경으로부터의 유입이 전체 에너지원의 $78\%$를 차지하고 있어 환경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1차 산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Net EMERGY yield ratio는 4.63으로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음을 나타내고, EMERGY investment ratio는 0.28로 주 경제로부터 유입된 에너지의 약 3.6 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자연환경으로부터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4년 득량만의 환경용량은 영속성 에너지원에 근거하여 유입된 EMERGY량이 모두 현재의 EMERGY 생산비대로 생산이 된다면 득량만 전체에서는 어류; 1,140ton/yr, 갑각류; 110ton/yr, 패류; 1,553ton/yr, 해조류; 9,074ton/yr이며 1994년 생산량은 환경용량의 $80\%,\;92\%,\;80\%,\;84\%$를 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면적이 6,617ha(전체면적의 $17.67\%$)인 양식장만을 고려하여 유입된 EMERGY가 전부 패류의 생산에 이용된다면 패류양식장의 생산용량은 1,195ton/yr로 산출되었다.

  • PDF

득량만에서 조개류 자원 분포 (Distribution of the Bivalve Resources in Keukryang Bay)

  • 김철원;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9-260
    • /
    • 1998
  • 득량만의 조개류 자원의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5년 5월, 8월, 11월, 1996년 2월까지 4회에 걸쳐 득량만내에 29개의 정점에서 채집된 조개류를 조사하였다. 득량만에서 조사된 조개류자원의 출현종의 총개체수는 95년 5월에 3.7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총중량은 11월에 379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장 우점적으로 출현한 종은 키조개로서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는 5월,2.5개, 총중량은 11월에 333g으로 가장 높은 밀도로 나타났으며 8워에 총개체수와 총중량이 각각 1.41개와 155g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득량만에서 조개류 자원의 출현은 정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만 안쪽해역의 정점 G1에서 개체수와 총중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위면적당 (1$m^2$)개체수는 5월에 38개, 총중량은 11월에 2.790g으로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1992년 하계 득량만 서부해역의 조류 특성 (Tidal Current in the Western Part of Deukryang Bay in Summer 1992)

  • 이재철;노홍길;조규대;신상일;김상우;김상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
    • /
    • 1995
  • 1992년 7월 1일부터 8월 7일까지 득량만의 수문리와 득량도 사이의 수심 약 5m 되는 천go역에서 2.5m의 수심에 자기 기록식 유속계를 계류하여 유속관측을 하였고 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관측기간 동안 바람은 매우 약했으므로 조류의 성질을 연구하는 데 적합한 자료가 획득되었다. 항류성분은 0.8cm/sec의 속도로 남남동 방향으로 흐르며 이는 득량도 동부 수로를 통하여 북향류가 필요하고 따라서 반시계 방향의 느린 순환이 일어난다는 것을 암시한다. 조류의 주축 방향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이며 전체 분산의 $98.7\%$가 이 방향에 집중되어 있다. 이 유속의 역학적 에너지의 $91.2\%$ 정도는 반일주조이며 일주조 이상의 장주기 성분은 $2.5\%$ 에 불과한 반면에 비선형효과에 기인하는 천해조 성분은 $6.3\%$ 정도를 점유하였다.

  • PDF

득량만에서 키조개 Atrina pectinata 자원과 유생 출현 분포 (Stock Density and Larval Occurrence of Penshell Atrina pectinata in Deukryang Bay)

  • 김철원;권승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2-238
    • /
    • 2007
  • 득량만에서 생산되는 키조개 Atrina pectinata 성체와 부유유생의 출현 분포를 조사하였다. 채집시기별 정점에 따른 키조개의 출현량은 8월에 만의 가장 안쪽 정점 G1에서 18개체/$m^2$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전중량은 11월에 정점 G1에서 $2,790\;g/m^2$으로 가장 높았다. 수심이 낮은 내만과 서쪽 해역은 수심이 깊은 만 입구와 동쪽해역에 비하여 자원량이 많았다. 키조개 유생 출현량은 8개체/$m^3$ 이하로 매우 적었다. $7{\sim}8$월의 경우, 음력 $3{\sim}4$일경을 중심으로 유생 출현량이 peak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으며, $9{\sim}10$월에는 유생 출현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유생의 경우도 수심이 낮은 만의 안쪽과 득량도 서쪽 해역이 수심이 깊은 만입구와 동쪽해역에 비해 출현량이 많았다. 득량만에서의 키조개 유생의 출현량은 자원량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자원량과 유생의 지리적 분포 특성은 서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수심이 낮고 육수의 유입이 많으며 유속이 약한 내만은 키조개 모패 자원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산란된 유생이 분산되지 않아 유생의 서식과 성장에도 가장 적합한 해역이었다.

득량만과 가막양 패류양식장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s)

  • 조창환;박경양;양한섭;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3-240
    • /
    • 1982
  • 남해안 서부에 위치한 득량만과 가막양에서 1981년 하계 중 해수의 클로로필-a양과 저이 중 COD, 강열감대, 파오파이틴양 그리고 황화물양을 측정하였다. 노경노은 약 $300km^2$로서 근래 피조개의 채묘 및 양성이 급증하고 있고, 가업양은 약 $150km^2$로서 수하식에 의한 굴 선성이 많다. 득량만 해수 중 클로로필-a양은 9월에 많아 $1.0\sim5.0{\mu}g/l$로서 평균 $2.5{\mu}g/l$이었다. 양적인 분포에선 득량만의 서북쪽에서 많았다. 저이 중 유기물양은 양서 모두, COD$5.0\sim10.0mg/g$, 강열감양$5.0\sim9.0\%$,체페오파이틴양 $2.0\sim 5.0{\mu}g/g$ 건이이었으며 황화물양은 $0.1\sim0.3mg/g$ 건이이었다. 유기물과 황화물양 모두, 득량만에서는 만입구에서 깊숙히 들어갈수록 증가하였고, 가막양에서는 만의 서편과 서북쪽에 많았다. 상기의 모든 양은 낙산$\cdot$거제만의 양들과 비슷하거나 약간 적었다. 클로로필-a양에 의한 해수의 부영선화는 제산$\cdot$거제만과 같이 중간 수준인데 비해, 저이의 부영양화는 초기단계이었다. 저이중 COD와 페오파이틴양으로부터 산출한 저오염도는$6\sim11$로서, 낙산$\cdot$거제만의 $7\sim18$, 진해서의 $11\sim30$에 비해 낮았다. 이는, COD양이 적다는 이유도 있지만, 굴 양성을 많이 하는 낙산$\cdot$거제만이나 진해만 서부해역과는 달리 페오파인틴양이 COD양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 PDF

득량만의 열수지 계절 변동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Heat Budget in Deukryang Bay)

  • 주용환;조규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73
    • /
    • 1998
  • Surface heat budget of the Deukryang Bay from July 1, 1992 to September 12, 1993 is analyzed by us- ing the meteorological data (by Changhung Observatory and Mokpo Meteorological Station) and oceanogaphical data (by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Each flux element at the sea surface which has annual variation Is derived with application of an aerodynamical bulk method and empirical formulae. The solar radiation Is the maximum In spring and sensible heat are the maximum in autumn and water. and minimum in summer The heat .storage rate is calclilated by using the rate of water temperature variation according to the depth. The oceanic transport heat is estimated as a residual. The net heat flux, the heat storage rate are positive In spring and summer, while they are negative in autumn and winter. The oceanic transport heat Is convergence In winter and divergence In the rest of seas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