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p-sea fish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부산지역 중학생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학교 급식에서의 수산물 이용정도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nd Its Use in Foodservice in Busan)

  • 류은순;이혜경;신은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9-19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eafood as well as their eating experiences and favorite cooking methods for seafood. It also examined the frequency and use of seafood on school lunch menu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39 students in 5 middle schools in the Busan area. On a scale of 5.00, the average scores for perceptions toward seafood were as follows: 3.67 for health & nutrition, 3.53 for taste, 2.53 for smell, 2.77 for convenience. The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_(p<0.05) higher perception scores for health & nutrition, taste, and smell than the female students. Among 38 types of seafoods, the highest percentages for eating experiences included seaweed_(99.2%), anchovies_(99.1%), fried fish paste_(98.6%), shrimp_(98.4%), crab_(98.2%), squid_(97.9%), sea mustard_(97.8%), mackerel_(97.7%), dried squid_(97.3%), and hair tail_(96.9%). However, the majority of students had eaten a limited amount of seafood. The degree of seafood intake at home was significantly_(p<0.01) higher than at school. The students' favorite cooking methods for seafood were in the order of grilling, stir-frying, steaming, deep-fat frying, and soup. However, the middle school lunch programs primarily served as soup, seasoning, stir-fried, braised, deep-fat fried, and grilled, respectively. The main reasons for leaving seafood on a plate were inconvenience due to the fishbones_(62.7%), tasteless_(45.4%), and disliking the smell_(35.7%). Improvements that students wanted for seafood on school lunch menus included removal of fishbone for convenience_(67.0%), taste_(52.0), and increased variety of seafood types_(38.2%).

한국산 환태평양 볼락속(Genus Sebastes), Sebastes glaucus의 최초 보고(쏨뱅이목: 양볼락과) (First Record of the Trans-Pacific Sebastes, S. glaucus(Scorpaeniformes: Scorpaenidae) in the Korean Waters)

  • 정문경;지환성;김진구;이수진;황선재;황강석;박정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3-286
    • /
    • 2016
  • 쏨뱅이목 양볼락과에 속하는 Sebastes glaucus 1개체(표준체장 276.9 mm)가 독도 북서쪽에서 자망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황갈색 체색, 높은 체고, 전두부와 목덜미 부분은 볼록하고 후두부는 넓다. 또한 14개의 등 지느러미 극조 및 주상악골에 비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환태평양 볼락속인 이 어 류의 국명으로 NFRDI(1999)에 따라 "청회볼락"을 제안한다.

수치모의를 통한 원자력 발전소 심층 취·배수 구조물 유·출입구 주변에서의 수리학적 흐름특성 고찰 (Investigation of Hydraulic Flow Properties around the Mouths of Deep Intake and Discharge Structures at Nuclear Power Plant by Numerical Model)

  • 이상화;이성면;박병준;이한승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A호
    • /
    • pp.123-130
    • /
    • 2012
  •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turbine)을 회전시키는 화력 및 원자력 발전 계통에서 냉각시설은 필수적인 구조물이며, 냉각수 순환 계통은 일반적으로 해수를 취수하여 발전소 내의 복수기까지 유입시켜 증기와 열 교환 후 다시 외해로 배출시키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최근 냉각수 취 배수 방식을 표층 취 배수 방식이 아닌 심층 취 배수 방식으로 변경하고 있는데, 기존 원전의 재순환 온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고, 온배수 방류시 밀도차로 인한 부력으로 온배수 혼합효과를 높여 온배수에 의한 환경피해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하절기에 저층의 저온 냉각수를 취수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향후 계획되는 발전소들도 심층 취 배수 방식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시설 중 심층 취 배수 구조물의 입구 주변을 3차원 전산유체역학 코드인 $FLOW-3D^{(R)}$로 모사하여 그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취수구(intake)의 경우 연직취수 조건에서 유속 덮개(Velocity cap), 배수구(diffuser)의 경우 방류수의 분사방향에 변화를 주어 모의하였으며, 그 결과 취수구의 경우 유속덮개에 의한 연직 유속성분의 현저한 감소로 인한 어류 유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배수구 희석효과는 Jirka 및 Harleman이 제시한 2차원 온배수 프룸(frume)과 잘 일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치 유자망 어구의 선택성에 관하여 (SELECTIVITY OF DRIET NET FOR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 김동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16
    • /
    • 1972
  • 1969년 $6\~11$월까지 삼치를 대상으로 Multi-f.망과 Mono-f.망을 사용하여 시험 조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0mm에서 115mm까지 7가지 망목으로 된 유자망에서 어획된 삼치의 어체는 $500\~2,900gr$의 범위였다. 이중 가장 많이 어획되는 체중은 1,000gr 1,300gr 및 1,500gr으로서 그 빈도는 각각 $21%,\;15%$$19%$였다. 2. 상기 세군의 삼치를 어획하기 위한 적정 망목은 Multi-f.망은 80mm 이상 105mm 이하의 망목이고, Mono-f. 망은 80mm보다 약간 작은 망목에서부터 105mm이하의 망목이다. 3. 어체의 헝태가 방추형이고 크기가 거의 동일한 단일 어종을 어획 대상으로 할 때는 Mono-f. 망이 Multi-f. 망의 약 1,5배 정도의 어획 효과를 나타내고, 기타 잡어에 대해서는 Multi-f. 망이 어획이 좋다. 4. 동일한 망목에서는 multi-f. 망은 소형어의 어획율이 높고, Mono-f. 망에는 대형어의 어획율이 높은 경향이 있다.

  • PDF

기후변화로 인한 신지도 근해 해양먹이망 변동예측 (Predict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Sinjido Marine Food Web)

  • 강윤호;주세종;박영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239-251
    • /
    • 2012
  • The food web dynamics in a coastal ecosystem of Korea were predicted with Ecosim, a trophic flow model, under various scenarios of primary productivity due to ocean warming and ocean acidification. Changes in primary productivity were obtained from an earth system model 2.1 under A1B scenario of IPCC $CO_2$ emission and replaced for forcing functions on the phytoplankton group during the period between 2020 and 2100.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species were represented in the model for gastropoda, bivalvia, echinodermata, crustacean and cephalopoda groups with effect sizes of conservative, medium and large. The model results show that the total biomass of invertebrate and fish groups decreases 5%, 11~28% and 14~27%, respectively, depending on primary productivity, ocean acidification and combined effects. In particular, the blenny group shows zero biomass at 2080. The zooplankton group shows a sudden increase at the same time, and finally reaches twice the baseline at 2100. On the other hand, the ecosystem attributes of the mean trophic level of the ecosystem, Shannon's H and Kempton's Q indexes show a similar reduction pattern to biomass change, indicating that total biomass, biodiversity and evenness shrink dynamically by impacts of climate change. It is expected from the model results that, after obtaining more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species level,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food web dynamics in the open seas around Korea.

Diverse and predominantly sub-adult Epinephelus sp. groupers from small-scale fisheries in South Sulawesi, Indonesia

  • Nadiarti Nurdin Kadir;Aidah A. Ala Husain;Dody Priosambodo;Muhammad Jamal;Irmawati;Indrabayu;Abigail Mary Moor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380-392
    • /
    • 2023
  • Groupers (Family Epinephelidae) are commonly caught in data-poor small-scale multi-species fisheries for sale on both export and domestic markets. This study presents data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ize/life-stage structure of Epinephelus spp. groupers caught by small-scale fishers and sold locally in the Indonesian province of South Sulawesi. Data were collected from fishing ports and local markets at 12 sites representing the three seaways around South Sulawesi (Makassar Strait, Flores Sea, Gulf of Bone). Each specimen (n = 3,398) was photographed alongside an object of known length, and total length (TL) was obtained using the Rapid Scaling on Object (RASIO). Of the 23 species identified, four (Epinephelus areolatus, Epinephelus ongus, Epinephelus quoyanus, and Epinephelus fasciatus) collectively comprised 69% of the catch, while the 13 least abundant species contributed less than 5%. The catch was dominated (67%) by the subadult life-stage, with just under 20% in the adult class. Juveniles dominated the catch of Epinephelus fuscoguttatus, a valuable export commodity. Observations of early maturity as well as the sizeable gap between length at first capture (Lc) and length at first maturity (Lm) indicate recruitment overfishing of most species, with the notable exception of Epinephelus rivulatus. The proportion of adult fish was low (≈5%-30%) for the twelve most abundant species (E. areolatus, E. ongus, Epinephelus quoyanus, E. fasciatus, Epinephelus coioides, Epinephelus faveatus, Epinephelus sexfasciatus, Epinephelus maculatus, Epinephelus bleekeri, Epinephelus corallicola, E. fuscoguttatus, Epinephelus polyphekadion). For two moderately abundant species (E. faveatus and E. malabaricus), TL < Lm for all specimens. The limited data available indicate spawning ratio is lower than reported from deep-water fisheries of E. areolatus and E. coioides. The results call for targeted research to fill knowledge gaps regarding the biology and ecology of groupers exploited mainly for domestic markets; highlight the need for species-level data to inform management policies such as minimum legal size regulations; and can contribute towards species-level status assessments.

부가중량추에 따른 모형 정치망의 형상변화 - 운동장이 湖上側인 경우 - (Net Shapes of the Model Pound net according to Added Sinker - In case of the upperward flow with fish court net -)

  • 윤일부;이주희;권병국;유제범;조영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1호
    • /
    • pp.17-26
    • /
    • 2005
  • 본 연구는 현용 정치망에서 나타나는 급조시의 심한 망형상과, 그물의 파망 및 유실에 의한 조업부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의 근해어장용 양식 가두리시설에서 사용한 부가중량추의 이용방법을 도입하여 국내 정치망으로의 적용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 부가중량추의 무게가 1.3${\sim}$5.2gf으로 증가할 때 장력은 기준형보다 약 10${\sim}$25% 증가하였다. 부착위치에 따라서는 A-type과 B-type은 기준형과 비슷하였고, C-type과 D-type은 기준형보다 약 10${\sim}$15% 증가하였다. 2. 부가중량추의 무게가 1.3${\sim}$5.2gf으로 증가할 때 운동장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sim}$70$^{\circ}$, 비탈그물의 섶장은 약 0${\sim}$64$^{\circ}$, 조하측인 제 2원통의 섶장은 약 0${\sim}$46$^{\circ}$까지였고, 유속이 0.0${\sim}$0.6m/s로 증가할 때 제1원통고 제2원통 까래의 깊이는 정조시 보다 약 50% 감소하였다. 3. 부가중량추의 부착위치에 따른 운동장 섶장의 깊이는 A-type은 기준형보다 약 25%, B-type은 약 10% 감소하였고, C-type은 기준형과 비슷하고, D-type은 약 15% 증가하였다. 비탈그물의 까래의 깊이는 A-type이 가장 깊었고, 다음으로 B-type, C-type, D-type 순이었다. 제2원통 까래의 깊이는 4종류의 실험망이 기준형 보다 약 10${\sim}$15% 증가하였다. 유속이 0.0${\sim}$0.6m/s로 증가할 때 비탈그물의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sim}$63$^{\circ}$, 제2원통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sim}$44$^{\circ}$이었다. 4. 부가중량추의 적정 무게는 약 2.6${\sim}$3.6gf이었고, 적정 부착위치는 부가중량추와 연결부분인 그물자락사이 연결줄의 길이가 약 300mm인 C-type과 연결줄 없이 직접 부착한 D-type이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어.패류 탐지와 패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 Recognition for Searched Fish.seashell on Seabed Using Ultra Sonic)

  • 김재갑;김원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10-418
    • /
    • 2000
  • 기존의 어군탐지기는 송·수파기를 통해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심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해저 목표물의 존재여부와 그 밀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어군뿐만 아니라 바다 속 플랑크톤의 수직이동(빛에 민감하여 낮에는 수심 깊은 곳, 밤에는 해수면에 존재), 선박 스크루의 와류현상, 해저면, 해초 온도 경계선(수온차가 서로 다른 해수가 만날 때 형성되는 층) 등의 존재에 의해 잘못된 해독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더구나 현재 패류를 발견하는 외국 제품은 없으며, 단지 어군탐지기 뿐인데 이것으로는 해저의 뻘에 있는 패류 등을 알아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의 모든 상황 요소들을 고려하여 해저목표물에 대한 신호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어군탐지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컴퓨터에서 처리하여 정확한 목표물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석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금 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실험을 거치게 되면 정확히 알아랠 수 있다. 수중에서는 어종별로 어패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과, 해저면에서는 뻘과 딱딱한 패류 껍질 등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 등을 세밀히 분석한 값 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고, 어·패류별 고유 초음락로 반사 되어오는 간과 비교하여 어 ·패류의 서식 상태 및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어·패류 관독용 초음파 탐지기를 본 연구개발을 통하여 개발 할 수 있다. 중점적으로 추후 연구해야 할 분야는 초음파의 특성과 산란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할 것이다.

  • PDF

일일어획자료를 이용한 여수 해역의 정치망 어획물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Using the Daily Catch Data of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Yeosu, Korea)

  • 황선도;김진영;김주일;김성태;서영일;김종빈;김영혜;허선정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3-233
    • /
    • 2006
  • 2001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돌산도 율림 앞바다, 2002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연도 앞바다, 그리고 2003년 4월부터 12월 사이에 돌산도 임포 먼바다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일일 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파악하고, 연도별, 장소간 종조성을 분석하였다. 2001~2003년에 여수 해역에서 정치망에 의해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방어류 (Seriola spp.), 갈치(Trichiurus leptur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줄삼치(Sarda orientalis),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덕대(Pampus echinogaster), 밴댕이(Sardinella zunasi), 고등어(Scomber japonicus), 황아귀(Lophius litulon), 꼴뚜기(Loligo beka) 등이 양적으로 우세하게 어획되어 여수해역에서 정치망으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은 주로 표영성 어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안역에서는 밴댕이, 덕대, 양태 (Platycephalus indicus), 꼴뚜기, 외해역에서는 삼치, 방어류, 갈치, 덕대, 살오징어, 검복(Takifugu porphyreus), 참돔(Pagrus major)의 표영성 주거종 (pelagic resident species)이 우세하였으며, 멸치는 남해 전체에서 계절적으로 연안과 외해를 이동하는 대표적인 우점종이었다. 봄에 연안에 밴댕이와 멸치가, 수심이 보다 깊은 외해에는 내유하는 멸치와 황아귀, 방어류 등 대상으로 어기가 시작되어 여름에 갈치, 삼치, 고등어, 방어류, 줄삼치, 덕대, 살오징어 등의 외양종이 연안과 외해에 회유하여 어획량이 높았다. 가을에는 연안에서 삼치, 멸치, 꼬치고기 (Sphyraena pinguis), 독가시치 (Siganus fuscescens),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등이 우점하였고, 외해에서는 삼치, 덕대, 학공치(Hyporhamphus sajori), 고등어, 갈치 등이 여름에 이어 계속 출현하였으나 어획량은 감소하는 온대 해역의 전형적인 계절성을 보였다. 남해안에서 정치망에 어획된 출현종은 대부분 부어류이었으며 그 변화 정도가 심하였으나, 대형정치망 일일 어획자료은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는데 유의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Intraspecific diversity and phylogeography of bony lip barb, Osteochilus vittatus, in Sundaland, as revealed by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mtCOI)

  • Imron Imron;Fajar Anggraeni;Wahyu Pamungkas;Huria Marnis;Yogi Himawan;Dessy Nurul Astuti;Flandrianto Sih Palimirmo;Otong Zenal Arifin;Jojo Subagja;Daniel Frikli Mokodongan;Rahmat Hidaya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145-158
    • /
    • 2024
  •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habitat landscape, and historical events are believed to have shaped the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in many taxa. The bony lip barb, Osteohilus vittatus, represent a potamodromous fish that complete all life cycle in freshwater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Southeast Asia. It usually lives in small rivers and other freshwater habitats, and movement between habitats for either food or reproduction has been typical. These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may promote gene flow, leading to less structured populations. However, many freshwater habitats are fragmented, which restricts gene flow. We investigate how this interplay has shaped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and phylogeographic structure within this species in the Sundaland, a biodiversity hotspot with a complex geological history, using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mtCOI) as a genetic marker. Forty-six mtCOI sequences of 506 bp long were collected from ten localities, eight geographically isolated and two connected. The sequences were used for population genetic and phylogeographic analyses. Our results showed a low genetic diversity within populations but high between populations. There was a deep phylogeographic structure among geographically isolated populations but a lack of such structure in the connected habitats. Among geographically isolated populations, sequence divergence was revealed, ranging from 1.8% between Java and Sumatra populations to 12.2% between Malaysia and Vietnam. An indication of structuring was also observed among localities that are geographically closer but without connectivity. We conclude that despite high dispersal capacity, the joint effects of historical events, long-term geographic isolation associated with sea level oscillation during the Pleistocene, and restricted gene flow related to lack of habitat connectivity have shaped the phylogeographic structure within the O. vittatus over the Sunda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