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for school mathematics

검색결과 985건 처리시간 0.025초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수학 내용,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inuity between Math-Related Activities of Nuri Manuals for Teachers a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ntents, Terms and Symbols, and Mathematical Processes -)

  • 장혜원;임미인;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의 중점 중 하나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강화와 관련된다.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교육과정보다 교과서에 더욱 의존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활동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1, 2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학 내용, 수학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이며, 본 연구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양자 간의 연계성 확보 방안과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ypes and Strategies of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7-28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관련 내용을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길이, 들이, 무게, 각도의 어림재기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시간과 넓이의 어림재기도 취급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전략을 다양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지도서에서는 어림재기 전략으로 참조대상 사용하기 전략, 덩어리로 나누기 전략, 단위로 나누기 전략의 세 가지를 예시하고 있지만, 교과서에서는 그렇지 않다. 셋째, '어림하다'의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서 '어림하다'가 어림재기의 맥락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넷째, 교육과정에서 시간, 넓이, 부피의 어림재기의 취급 여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학년군'과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 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최근 경향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Mathematics Curricula Focusing on 'Grade Band' and 'Mathematical Proces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667-686
    • /
    • 2010
  •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따라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가 진행 중이다.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팀이 교육과정 체제의 측면에서 고려하고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사항은 '학년군의 도입'과 '수학적 과정의 신설'이다. 본 고는 학년군과 수학적 과정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이 두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년군의 도입은 실효성을 갖기 어렵기 때문에 재고의 여지가 있고, 수학적 과정의 신설은 수학 교과서 집필과 수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갖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 재고 (Reconsider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 정은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4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은 어떠했는지를 반추해보기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 초등학교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현재까지 문제해결이 계속 강조되어 왔으나,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교육이 양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가 그 이후 조금씩 약화되고 있으며,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독일 고등학교 수학에서 행렬 교수·학습 내용 분석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matrix in German high school mathematics)

  • 안은경;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69-287
    • /
    • 2023
  • 행렬이론은 수학, 자연과학, 공학뿐 아니라 사회과학과 인공지능 분야에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중·고등학교 수학에서 행렬은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삭제되었다가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재편성될 예정이다. 이에 다른 나라에서 다루고 있는 행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행렬 지도를 위한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교과서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독일 수학과 표준교육과정과 독일 헤센주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독일 수학 교과서의 행렬 단원의 내용 요소 및 전개 방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일 교과서는 선형연립방정식의 풀이를 위한 행렬, 일차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행렬, 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행렬로 나누어 행렬 단원을 다루고 있으며 모두 역행렬을 다루고 있고 수학적 추론 및 수학적 모델링에 중점을 두고 행렬을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로부터 학교 수학에 행렬을 재편성할 경우 깊이 있는 개념적 이해와 수학적 추론 및 수학적 모델링에 중점을 두어 교육내용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범우 김치영선생의 수학교육에 관한 업적의 목록과 그 분류 (List and Classification of Bumwoo KIM Chi Young's Contributions on Mathematics Education)

  • 이강섭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79-294
    • /
    • 2016
  • In this study, Bumwoo KIM Chi Young's (1916.12.24~1995.4.22) papers, essays and books on mathematics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Bumwoo KIM Chi Young was the most important person on the New Math Movement (Moderniza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and in 1973, he led the Third Reformation of National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Bumwoo emphasized mathematical structur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he was a strong advocate of importance of set theory, creativity and the type of spiral learning.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역량, 기능, 성취기준 연계성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improvement of curriculum on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competencies,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57-371
    • /
    • 2020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이 '기능'과 '성취기준'으로 구체화되어 제시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 기능, 성취기준의 연계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섯 가지의 수학과 역량은 '기능'으로 고르게 제시되었으나, '기능' 중 일부는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지 않았으며, '이해하기'와 같은 기능에 치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Analysis on Conn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Focused on 3~4 Grades)

  • 장혜원;강태석;박원규;김동원;이환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181-20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집필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학년군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 이어 본 연구는 3,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며,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재구성한 재구성 성취기준에 따른 교과서 분석, 교과서 차시별 학습목표에 따른 재구성 성취기준과의 연계 분석, 용어와 기호와 관련한 교과서 분석, 수학적 과정과 관련한 교과서 분석의 네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기초한 교수학적 논의로부터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Geometry Area for the 1st Graders of Middle School)

  • 류현아;이봉주;양명희;최승현;변희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7-15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에 대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활용된 사전 사후평가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기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살펴보았다. 기하 영역 형성평가 프로그램과 그 분석 결과는 중학교 1학년 기하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1997
  • Even though there are extracurricular mathematics classes for gifted students in all levels of schools in Korea, teachers cannot conduct the classes properly becaus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re not adequate for the purpose of the classes. So, what they tend to do in the classes is just drilling with many problems which have already shown up a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and various mathematics compet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n example of what the content should be in "Mathematics III" (an elective subject for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fifth and sixth amend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how to design the extracurricular classes for gifted students. Extracurricular classes of the ordinary secondary school as well as the elective course for the science high school can be suitably designed with choices of topics in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I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