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ider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 재고

  • 정은실 (진주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5.04.07
  • Accepted : 2015.05.21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Korea's elementary school through an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a and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roblem solving had been emphasized continually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owever, contents in their textbooks did not reflect the intent of the mathematics curricula properly. And amount of contents related to teaching about problem solving in the textbooks reached the peak in the 6th mathematics curriculum. Then teaching about problem solving had been weakened gradually. An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re had been a movement to change to teaching for problem solving in the textbooks of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a. Teaching via problem solving had not been carried out appropriately so fa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은 어떠했는지를 반추해보기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 초등학교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현재까지 문제해결이 계속 강조되어 왔으나,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교육이 양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가 그 이후 조금씩 약화되고 있으며,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 외 (1985). 수학과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법 개선 연구. 교육개발원.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지도서 5-2. 두산동아(주).
  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부 (1990). 산수 2-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부 (1991). 산수 2-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6. 교육부 (1992). 국민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7. 교육부 (1994).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I). 대한교과서주식회사.
  8. 교육부 (1997a).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9. 교육부 (1997b). 초등학교 교육과정 [별책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0. 교육부 (1998). 수학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1. 교육부 (1999a). 수학 3-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2. 교육부 (1999b). 수학 6-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3. 교육부 (2014). 교사용 지도서 수학 4-2. (주)천재교육.
  14. 교육인적자원부 (2001a). 수학 3-나.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5. 교육인적자원부 (2001b). 수학 5-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6. 교육인적자원부 (2003). 교사용 지도서 수학 6-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7. 권오남, 백한미 (1997). 수학 문제해결 전략 선택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2), 255-267.
  18. 김준겸, 임문규 (2001). 문제 상황 제시에 따른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77-98.
  19. 남승인 (1997).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전략 지도 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 67-86.
  20. 문교부 (1968). 산수 4-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1. 문교부 (1985).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2. 문교부 (1986).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3. 문교부 (1987a). 산수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4. 문교부 (1987b).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5. 문교부 (1987c).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6. 문교부 (1990). 산수 2-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7. 문교부 (1991). 산수 2-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8. 박교식 (2001).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해결 관련 내용의 분석. 학교수학, 3(1), 1-23.
  29. 유연진, 박만구 (2009). 초등수학 문제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아동 간스캐폴딩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75-95.
  30. 장혜원 (2009). 종횡비교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의 문제해결에 대한 검토. 수학교육학연구, 19(2), 207-231.
  31. 최윤석, 배종수 (2004). 초등 수학에서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8(1), 23-43.
  32. 한상욱, 송상헌 (2011). 초등 수학영재들이 수학문제 해결과정에서 보이는 메타인지 사례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437-461.
  33. Brownell, W. A. (1942). Provlem Solving. In N. B. Henry (Ed.) The psychology of learning: The 41th Yearbook of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p. 415-442). Chicago: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34.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이홍우 역(1992), 죤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35. Higgins, J. L. (1973).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orthington, OH : Charles A. Jones Publishing Company.
  36. House,P.A., Wallace,M.L., Johnson,M.A.(1983). Problem solving as a focus : How? when? whose responsibility?. in G.Shufelt(Ed.). The Agenda in action. VA: NCTM. 9-19.
  37. NCTM (1989).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VA: Author.
  38. Orehovec, J. P. (1984). Implication of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UMI.
  39. Polya, G. (1962). Mathematical discovery Vol. I. New York: John Wiley & Sons.
  40. Polya, G. (1965). Mathematical Discovery Vol. II. New York: John Wiley & Sons.
  41. Polya, G. (1966). On teaching problem solving. In E. G. Begle (Ed.), The role of axiomatics and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pp. 123-129). Boston, MA: Ginn and Company.
  42. Post, T. R., & Brennan, M. L. (1976).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 formal versus an informal presentation of a general heuristic process on problem solving in tenth-grade geometry. JRME, 7(1). VA: NCTM. 59-64.
  43. Schlesinger, B. M. (1983). A senior high school problem-solving lesson. in G.Shufelt (Ed.). The Agenda in Action. VA : NCTM. 70-78.
  44. Schroeder, T. L,, & Lester, F. K. Jr. (1989). Developing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via problem solving. in Paul R.Tafton, Albert P.Shulte(Ed.).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VA : NCTM. 31-42.
  45. Stanic & Kilpatrick(1988). Historical perspectives on problem solving in the math. curriculum. in Charles & Silver (Ed.)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Vol.3. VA : NCTM.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