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ypes and Strategies of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 분석

  • Received : 2015.07.13
  • Accepted : 2015.08.20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ypes and strategies of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 following four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xtbook development for a later date.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cil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contents for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only estimation in length, estimation in capacity, estimation in weight, estimation in angular measure are presented. However, estimation in time and estimation in area are presented in textbook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strategies for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teacher's manual, three strategies like using referent, chunking, unitizing are illustrated. But in textbooks, such strategies are not illustrated properly. Third, the meaning of the 'estimate' need to be clarified. In textbooks, 'estimate' are used also in other contexts.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ether or not to deal with estimation in time, estimation in area, and estimation in volume in the school curriculum. In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estimation in time, estimation in area, and estimation in volume are not mentioned explicitly.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관련 내용을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길이, 들이, 무게, 각도의 어림재기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시간과 넓이의 어림재기도 취급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전략을 다양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지도서에서는 어림재기 전략으로 참조대상 사용하기 전략, 덩어리로 나누기 전략, 단위로 나누기 전략의 세 가지를 예시하고 있지만, 교과서에서는 그렇지 않다. 셋째, '어림하다'의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서 '어림하다'가 어림재기의 맥락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넷째, 교육과정에서 시간, 넓이, 부피의 어림재기의 취급 여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화 (2010). 길이 어림과 관련된 교과서 분석 및 대안 모색. 수학교육논문집, 24(3), 587-610.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3. 교육부 (2014a).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부 (2014b).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5. 교육부 (2014c).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4d).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4e).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4f). 수학 3-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4g). 수학 2-1 익힘책.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4h). 수학 2-2 익힘책. 서울: (주)천재교육.
  11. 교육부 (2014i). 수학 3-2 익힘책. 서울: (주)천재교육.
  12. 교육부 (2015a).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3. 교육부 (2015b). 수학 3-1 익힘책. 서울: (주)천재교육.
  14. 교육부 (2015c).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15. 교육부 (2015d). 수학 4-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6. 교육부 (2015e). 수학 4-1 익힘책. 서울: (주)천재교육.
  17. 교육부 (2015f).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18. 교육부 (2015g).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9. 교육부 (2015h). 수학 5-1 익힘책. 서울: (주)천재교육.
  20. 교육부 (2015i). 수학 5-1. 서울: (주)천재교육.
  21. 교육부 (2015j).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22. 교육부 (2015k).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23. 교육부 (2015l). 수학 6-1 익힘책. 서울: (주)천재교육.
  24. 교육부 (2015m).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25.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26. 권점례, 신인선(1997). 어림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6학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1(2), 149-161.
  27. 김명옥, 권성룡 (2009).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의사소통활동이 어림측정전략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8(3), 329-352.
  28. 김잔디 (2009). 어림 측정 전략 지도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측정 감각과 측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김재현 (1999). 어림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벤치마크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류승민 (2005). 어림측정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1. 박승주 (2007).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2. 박양춘 (2008). 길이 어림 측정 전략 지도 방안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3. 방정숙, 김수경, 최인영 (2012). 측정 영역에 관한 제7차와 현행 교과서 및 익힘책 비교 분석: 안내 정도와 측정의 주요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227-252.
  34. 송진웅, 김혜선 (2001). 기본물리량 어림의 정확성 및 방법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76-88.
  35. 신이섭 외 25명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36. 양리나 (2003). 벤치마크전략을 통한 어림측정능력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 이용률 (2010). 초등학교 수학의 중요한 지도 내용. 서울: 경문사.
  38. 이종욱 (2010). 직사각형 덮기 과제를 해결하면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어림 측정 전략. 수학교육, 49(3). 375-387.
  39.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11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공청회 자료. (2011년 6월 11일 서울교육대학교 전산교육관 교육공학실)
  40.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교과서 편수자료: 기초과학편.
  41. 황선욱 외 32명 (2011).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42. 日本數學敎育學會(編) (2011). 算數敎育指導用語辭典(第四版). 東京: 敎育出版株式會社.
  43. 日本數學敎育學會(編) (2013). 和英/英和 算數․數學 用語活用辭典(輕裝版). 東京: 東洋館出版社.
  44. Bright, G, W. (1976). Estimation as part of learning to measure. In D. Nelson & R. E. Reys (EDs.), Measurement in school mathematics (1976 Yearbook). (pp. 87-104). Reston, VA: NCTM.
  45. Coburn, T. G., & Shuttle, A. P. (1986).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H. L. Schoen & M. J. Zweng (EDs.),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1986 Yearbook) (pp. 195-293). Reston, VA: NCTM.
  46. Van de Walle, J. A. (200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developmentally. Columbus, OH: Allyn & Bacon. 남승인, 서찬숙, 최신화, 강영란, 홍우주, 배혜진 (역) (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경문사.
  47. Lindquist, M. M. (1987).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Arithmetic Teacher, 34(5). 16-17.
  48.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0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New York: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역)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49. Siegel, A. W., Goldsmith, L. T., & Madson, C. R. (1982). Skill in estimation problems of extent and numerosi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3). 211-232. https://doi.org/10.2307/748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