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yright infringem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8초

MPEG-4 IPMP Authoring Tool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s

  • Kim Kwang-Yong;Kim Jae-Gon;Hong Jin-Woo;Kim Chang-Su;Jung Hoe-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3권4호
    • /
    • pp.195-200
    • /
    • 2005
  • The MPEG-4 standard is aimed to define an object based audiovisual coding standard to address the emerging needs from interactive broadcasting. Since a broadcasting program is created on the basis of its objects, it is considered that MPEG-4 is most suitable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contents production and it can be retrieved in terms of its properties. But, there is no system that protects the copyright of digital contents and manages copyright and possibility that contents producer and author's copyright receives infringement at process that exchange contents mutually rose very. Therefore, we need to control and distribute contents according to user's permission right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IPMP for copyright and protection of MPEG-4 contents. The main features of the proposed approach is to provide an MPEG-4 compliant IPMP authoring system in a plug-in type along with standardized interfaces, which is to be able to incorporated into an existing MPEG-4 content authoring system. In this way, it is capable of authoring content to the MP4 file format while accommodating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a unified way. Furthermore, it also allows a user to edit and/or author IPMP information in a more efficient way by offering form based user interfaces.

미국 뮤지컬 저작권 사례 연구 - 무대연출관련 사건을 중심으로 - (Copyrighting Stage Directions in American Musical Theatre)

  • 정영미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213-243
    • /
    • 2011
  • 본 논문은 공연예술의 저작권을 이해하는 하나의 도구로써 공연예술의 산업화를 우리보다 먼저 경험한 미국의 뮤지컬 시장에서의 사례 및 논의를 살펴본다. 특별히 무대연출 저작권에 관련한 사건을 모아서 뮤지컬 <가장 행복한 녀석>, <사랑! 용기! 연민!>, <탬린>, <유린타운> 사례를 소개하였다. 아직까지 미국에서 무대연출의 저작권을 인정하고 있다고 말할 만 한 단계는 아니지만 공연예술의 무대연출에 관한 저작권 논의들이 계속 있어왔다. 무대연출의 저작권보호 요건에 관해서 무대연출이 과연 저작권보호 받을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하는가, 창작성이 인정될 수 있는가, 매체에 고정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가에 관하여 논의되었다. 그리고 무대연출의 저작자는 누가되는가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업무상저작물로 보게 될 경우, 공동저작물로 보게 될 경우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또한 미국에서 무대연출의 저작권관련 계약이 실제로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계약의 범위 밖에 있는 무대연출의 저작권침해에 대한 주장은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소개하였다.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공연예술의 저작권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며, 국내 상황에 맞는 공연계약 문화 수립 및 건전한 공연창작 환경을 조성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콘텐츠 관련 공모전의 저작권 소유와 저작권 침해 분석 (An analysis on the possession and infringement of copyright on the contents-related contest exhibit)

  • 박경철;정선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9호
    • /
    • pp.243-266
    • /
    • 2012
  • 공모전이 활성화되어 다양한 단체에서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공모전을 주최하고 있다. 공공기관부터 개인 사업자까지 다양한 주최의 공모전 요강을 분석해보면 저작권을 주최 측이 가지려는 경향이 매우 크다. 공모전 요강 중 일부는 일종의 계약서이다. 주최 측은 요강을 통해 저작권에 대한 견해를 분명히 밝히고 있는 데 반해, 개인은 계약서로 보기보다는 공모전에 출품하기 위한 형식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제는 공모전의 저작권에 대한 문제 제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업의 콘텐츠 저작권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콘텐츠 저작권 또한 보호받고 존중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공모전 요강에서 드러나는 저작권 소유와 저작권 침해 항목을 분석함으로써 저작권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모전의 저작권 조항은 계약서 역할을 한다. 공모전의 저작권 항목은 갑과 을의 관계인 주최 측과 수상자 모두가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내용이 바람직한 공모전의 방향이다. 이를 위해서 공공기관부터 개인 사업자까지 우월적인 지위를 가진 주최 측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 번째, 저작권의 표기: 분명하고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두 번째, 해석의 범위: 포괄적인 해석이 가능한 표기가 아닌 구체적인 표기를 해야 한다. 세 번째, 저작재산권의 대가: 주최 측이 수상작의 저작재산권 소유나 이용이 필요할 경우, 저작재산권의 권리 소유나 이용에 맞는 대가의 상금액을 고려한 적정한 재산적 사용의 권리를 표기해야 한다. 네 번째, 사용기간: 저작재산권의 사용기간을 표기해야 한다. 다섯 번째, 권리의 범위: 주최 측이 필요로 하는 저작재산권의 범위를 한정 표기해야 한다. 여섯 번째, 상호존중: 일방적 계약이 아닌 상호 배려와 존중에 입각한 쌍방계약의 개념으로 저작권 관련 항목을 표기해야 한다.

사이버 범죄의 특성과 대응방안 연구: 저작권 침해, 도박, 음란물 범죄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Nature of Cybercrime and Countermeasures: Focusing on Copyright Infringement, Gambling, and Pornography Crimes)

  • 강일웅;김재희;이소현;김희웅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2호
    • /
    • pp.69-94
    • /
    • 2024
  • 사이버 공간의 발전과 우리 일상생활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범죄는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심각한 사회 문제로서 그 양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4대 악성 사이버 범죄'로 분류되는 사이버 금융범죄, 사이버 사기, 사이버 성폭력와 사이버 도박은 주목해야 할 대상 중 하나이다.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인 사이버 범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이버 범죄의 유형 별 특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원인과 예방 및 대처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 사이버 범죄 관련 연구에서는 통계 자료나 피해자,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접근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 범죄 중 최근 범행 건수가 급증하며 범죄의 심각성이 강조되는 정보통신망이용 범죄의 '저작권 침해'와 정보통신망이용 불법콘텐츠 범죄의 '도박' 및 '음란물' 유형에 대하여 사이버 범죄 피의자를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를 실시하고 코딩 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사이버 범죄의 특성과 발생 원인을 밝히고 예방 및 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범죄 피의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고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사이버 범죄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더하여 예방 및 대응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심각한 사회 문제인 사이버 범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마련에 핵심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캐릭터 도안(圖案)의 창작성 판단 기준 - 저작권침해소송 판례를 중심으로 - (Judiciary Elements of Originality in 2D Character Design - Focused on the Precedents of Copyright Infringement -)

  • 조경숙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33-48
    • /
    • 2016
  • Upon the needs to draw the judicial elements of creativity in the copyrighted character designs, this paper aims to draw and categorize the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ing court deci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orm of body, the features in its face and its composition, the overall image, the degree of personification, and aesthetic sensation. These elements reflect formative skills required to portray the intrinsic quality of a character. This paper is of significant interest in that it suggested the legal basis and elements of creativity in character design to professionals in both areas of design and judicial decisions.

Geometric CAD Watermarking System Using Line, Arc, Circle Components in Architectural Design Drawings

  • Jang, Bong-Ju;Lee, Suk-Hwan;Kwon, Ki-Ryong;Moon, Kwang-Seok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01-1611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ed geometric CAD watermarking scheme for Architectural design drawings using line, arc, and circle components to prevent infringement of copyright from unlawfulness reproductions and distribution. The conventional CAD watermarking scheme can be applied to both line and arc components. But the proposed scheme consists of line, arc and circle watermarking schemes for three basic components of CAD design. After extracting line, arc and circle components from designed drawing, the watermark is embedded into the length of Line component, the angle of arc component, and the radius of circle component considering the robustness against various geometric transformations. The embedding strengths in each component are determined to be preserving the transparency of the watermark. By experimental result, we confirmed the robustness and the invisibility of embedded watermarks in several conversions of architectural design drawing.

  • PDF

건축설계도면상에서 꼭지점에 기반한 LINE과 ARC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A New Digital Watermarking for Architectural Design Drawing Using LINES and ARCs Based on Vertex)

  • Jang, Bong-Ju;Moon, Kwang-Seok;Young Huh;Kwon, Ki-Ryo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컴퓨터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47-250
    • /
    • 2003
  • This paper proposed to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 for architectural drawing using LINES and ARCs based on vertex in CAD system to prevent infringement of copyright from unlawfulness reproductions and distribution. After extract LINES and ARCs from designed drawing, we embed watermarks using adaptive algorithm in each characteristics. Watermarks robust to various attacks like as geometrical transformation as being embedded in LINE's length and ARC's angle information. Also, the proposed method satisfies enough transparency about watermarked drawing because have suitable embedding strength to each component. By experimental result, we confirmed robustness and invisibility of embedded watermarks in several conversions of architectural design drawing.

  • PDF

A Study on Extraction and Comparison of Digital Content Key Frame in UCC Service Environment

  • Jang, Eun-Gyeom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020-1028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chanism that prevents indiscreet use of digital contents, verifies created content's copyrights to provide services to granted user and protects digital contents by law by authenticat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whenever an infringement of copyright occurs in UCC environments. The proposed mechanism uses specific information and features of contents as copyrigh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Also, provides the fact of violation by inferring the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s. That means this mechanism infers same or similar value from the contents; fraudulent use of content, modification of content color, modification of content format, modification of content resolution and illegal use of frame not principal key frame. In that point, we found that the inferred value from the content differed according to features of content modification.

메타버스 공간 내 영상 영역 추출 및 인식 방법 (An Extracting and Recognizing Video Area Method in Metaverse Space)

  • 박병찬;장세영;김석윤;김영모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30-134
    • /
    • 2024
  •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which has a fictitious or abstract meaning, and Universe, which means the real world, and is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Various contents are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and users can use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Content provided in this three-dimensional space can be illegally copied, and may lead to copyright infringement that users do not intend. Filtering technology, which is an existing illegal work determination technology in videos, is mainly used to determine 2D videos, and therefore has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3D videos such as V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extracting and recognizing video feature information to protect videos in the metaverse space by comparing the original video with the query video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me video as a technology for copyright protection of videos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such as 3D videos.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an improved recognition rate of 98% and an error rate of 2%.

  • PDF

대중음악 음원제작과정에서의 분쟁발생과 그 개선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isputes and its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Producing Digital Music Source)

  • 강다혜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7권2호
    • /
    • pp.59-8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dispute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digital music sources. At present, the center of the world music market including the domestic market has been completely transformed from the tangible musical record market to the intangible sound source market. Due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 music production process becomes industrialized and specialized, causing conflicts of interest among the individuals in the process.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music market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disput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process and suggested solutions while summarizing the meaning and role of each process of producing a sound source that may arise during the sound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covers plagiarism between producers,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creator against assistant creator caus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division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issues related to the rights of sound engineers whose role and importance become bigger as acoustic technology develops and music genres become more diverse, and vertical hierarchy due to the formation of oligopoly by several distributors with huge capita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system is suitable for solving these problems. Specific methods of using ADR include activat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of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active use of the arbitration clause specified in the standard contract, and recalculation of labor costs and earnings from copyright through mutual negotiations. This paper can be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tudied overall problems that might arise in the process of digital music source production and suggested ADR utilization as the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