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Nature of Cybercrime and Countermeasures: Focusing on Copyright Infringement, Gambling, and Pornography Crimes

사이버 범죄의 특성과 대응방안 연구: 저작권 침해, 도박, 음란물 범죄를 중심으로

  • Ilwoong Kang (Gangwon Provincial Police Agency) ;
  • Jaehui Kim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 So-Hyun Lee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 Hee-Woong Kim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강일웅 (강원경찰청) ;
  • 김재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이소현 (경기대학교 산업경영정보공학과) ;
  • 김희웅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23.11.14
  • Accepted : 2024.02.20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cyberspace and its increasing interaction with our daily lives, cybercrim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has become more prominent as a serious social problem. Notably, the "four major malicious cybercrimes" - cyber fraud, cyber financial crime, cyber sexual violence, and cyber gambling - have drawn significant att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of cybercrime, it's crucial to delve into the specifics of each crime and develop target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Yet, most existing research relies on indirect data sources like statistics, victim testimonials, and public opinion. This study seeks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cybercrime by directly interviewing suspects involved in 'copyright infringement', 'gambling' related to illicit online content, and 'pornography crime'. Through coding analysis and text mining, the study aims to offer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cybercrime dynamics. Furthermore, by suggesting preventative and remedial measures, the research aims to equip policymakers with vital information to reduce the repercussions of this escalating digital threat.

사이버 공간의 발전과 우리 일상생활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범죄는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심각한 사회 문제로서 그 양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4대 악성 사이버 범죄'로 분류되는 사이버 금융범죄, 사이버 사기, 사이버 성폭력와 사이버 도박은 주목해야 할 대상 중 하나이다.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인 사이버 범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이버 범죄의 유형 별 특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원인과 예방 및 대처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 사이버 범죄 관련 연구에서는 통계 자료나 피해자,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접근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 범죄 중 최근 범행 건수가 급증하며 범죄의 심각성이 강조되는 정보통신망이용 범죄의 '저작권 침해'와 정보통신망이용 불법콘텐츠 범죄의 '도박' 및 '음란물' 유형에 대하여 사이버 범죄 피의자를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를 실시하고 코딩 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사이버 범죄의 특성과 발생 원인을 밝히고 예방 및 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범죄 피의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고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사이버 범죄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더하여 예방 및 대응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심각한 사회 문제인 사이버 범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마련에 핵심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공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A2A03084147), 이 논문은 2016년 연세대학교 강일웅의 석사학위논문 "사이버범죄 특징분석 및 예방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됨.

References

  1. 강석구, 윤해성, 박영우, 김민호, 권헌영, 김도승, 김기범 (2010). 사이버안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 김계원, 서진완 (2012).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수준과 사이버범죄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9(2), 23-43.
  3. 김보라, 임수진 (2022). 사이버성폭력수사관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근거한 심리지원제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23(4), 43-67.
  4. 김지온, 우병관 (2022). 사이버 범죄 탐지 및 분석기술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9(3), 57-76.
  5. 김진솔, 신동훈, 김희웅 (2021). 비정형 빅데이터를 이용한 COVID-19 주요 이슈 분석. 지식경영연구, 22(2), 145-165.
  6. 김태영 (2015).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자료 수집, 분석 및 논문 작성의 실제-인터뷰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9-14.
  7. 김현정, 김범수 (2023). 스마트기기 활용역량과 프라이버시 우려: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의 매개효과및 프라이버시의 조절효과. 지식경영연구, 24(1), 51-72.
  8. 박경자 (2016). 디지털콘텐츠 불법 파일공유에 관한 사회문화적 접근. 지식경영연구, 17(1), 113-133.
  9. 박민정, 채상미 (2017). 빅데이터 환경 형성에 따른 데이터 감시 위협과 온라인 프라이버시 보호 활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8(3), 63-80.
  10. 서승모, 권헌영 (2022). 사이버범죄 대응을 위한 국가 간 공동수사팀 구성 모델. 한국경찰학회보, 24(6), 57-86.
  11. 오세연 (2015). 사이버범죄의 대응강화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수사 활용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3(4), 81-87.
  12. 이서현, 이새롬, 곽동헌 (2022). When do i protect myself? Avoidance motivation toward online sexual harassment on social media: A study based on threat avoidance theory. 지식경영연구, 23(3), 45-64.
  13. 이성식, 전신현 (2022).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영향과 그 완충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12(3), 45-62.
  14. 이소현, 강일웅, 정윤혁, 김희웅 (2019). 사이버범죄 유형별 특징 분석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21(3), 1-26.
  15. 이원상, 채희정 (2010). 사이버범죄의 새로운 유형과 형사정책적 대안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0-16-03).
  16. 임헌욱 (2021). 사이버범죄를 유발하는 심리적요인 분석.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7(2), 157-163.
  17. 정지혜 (2020). 사이버범죄 특성에 적합화된수사 및 처벌을 위한 형사법적 규제방안 연구. 입법학연구, 17(2), 139-164.
  18. 정태진 (2022). 사이버평화 구축을 위한 사이버범죄대응방안. 한국경찰연구, 21(4), 243-256.
  19. 조병인 (2000). 사이버경찰에 관한 연구: 사이버범죄의 규제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195.
  20. Akdemir, N., & Lawless, C. J. (2020). Exploring the human factor in cyber-enabled and cyber-dependent crime victimisation: A lifestyle routine activities approach. Internet Research, 30(6), 1665-1687.
  21. Arief, B., Adzmi, M. A. B., & Gross, T. (2015). Understanding cybercrime from its stakeholders' perspectives: Part 1-Attackers. IEEE Security & Privacy, 13(1), 71-76.
  22. Brenner, S. W. (2013). Cybercrime: Re-thinking crime control strategies. In Crime online (pp. 12-28). United States of America: Willan.
  23. Corbin, J. M., & Strauss, A. (1990).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13(1), 3-21.
  24. Glaser, B. (1978).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CA, USA.
  25. Hammersley, M., & Atkinson, P. (2019). Ethnography: Principles in practice (4th ed). London, UK: New York: Routledge.
  26. Khosla, P., & Dubey, P. (2016). Survey paper on cyber crime: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IITM Journal of Management and IT, 7(1), 62-65.
  27. McGuire, M. (2017). Cons, constructions misconceptions of computer related crime: From a digital syntax to a social semantics. Journal of Qualitative Criminal Justice & Criminology, 6(2).
  28. McGuire, M., & Dowling, S. (2013). Cyber crime: A review of the evidence. Summary of key findings and implications. Home Office Research Report, 75, 1-35.
  29. Paoli, L., Visschers, J., Verstraete, C., & Van Hellemont, E. (2018). The impact of cybercrime on Belgian businesses (Vol 5). UK: Intersentia.
  30. Patton, M. Q. (2002).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3r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inc.
  31. Phillips, K., Davidson, J. C., Farr, R. R., Burkhardt, C., Caneppele, S., & Aiken, M. P. (2022). Conceptualizing cybercrime: Definitions, typologies and taxonomies. Forensic Sciences, 2(2), 379-398.
  32. Sarre, R., Lau, L. Y. C., & Chang, L. Y. (2018). Responding to cybercrime: Current trends. Police Practice and Research, 19(6), 515-518.
  33. Thomas, D., & Loader, B. D. (2013). Introduction: Cybercrime: Law enforcement, security and surveillance in the information age. In Cybercrime (pp. 1-14). London, UK: Routledge.
  34. Wall, D. (2007). Cybercrime: The transformation of crime in the information age (Vol 4). Cambridge, UK: Polity.
  35. Williams, M., & Levi, M. (2015). Perceptions of the eCrime controllers: Modelling the influence of cooperation and data source factors. Security Journal, 28, 252-271.
  36. Yin, R. K. (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37. 김성찬 (2023). https://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4832
  38. 김영명 (2023).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5507
  39. 김지현 (2023). https://www.eachj.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35
  40. 박광하 (2022). https://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906
  41. 소장섭 (2023).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2019
  42. 신동섭 (2023).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1493
  43. 연합뉴스 (2023). 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30705011600641
  44. 오세진 (2021).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118009027
  45. 이영아 (2023).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08071
  46. 임순현 (2023). https://www.yna.co.kr/view/AKR20230926048900004
  47. 정환봉 (2019).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97783.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