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tegrative Review of Team Learning Behavior

팀 학습 행동의 통합적 고찰

  • Jungwoo Park (Samsung Global Research)
  • 박정우 (삼성글로벌리서치)
  • Received : 2024.03.05
  • Accepted : 2024.04.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a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with individual ability and creativity alone, many organizations are forming teams and seeking ways to make the teams more active. Team learning behavior allows team members to and create better performance based on such accumu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in a team.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team learning not only explicit and formalized knowledge but also implicit and informal experiences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utilizing research results on team learning behavior because the concepts were fragmented and the measurements were different for each researcher. In this study, an integrated model was presented by examining concepts related to team learning behaviors. Moreover, the measurement model of team learning behaviors was validated for the Korean context.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ed of five factors: sharing and elaboration, constructive conflict, team reflection, team activity, and storage and utilization. This tool was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tea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diagnose and improve the level of team learning behavior within an organization.

현대 조직에서 팀은 성과를 창출해 내는 기본 조직 단위다. 개인의 능력과 창의성만으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조직은 팀을 구성하고, 팀을 더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팀 학습 행동은 팀 구성원들이 지식과 경험을 더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그렇게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더 나은 성과를 창출하도록 만들어주는 팀의 역동이다. 이러한 매력적인 특성 덕분에 팀 학습 행동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특히, 팀 안에서 명시적이고 정형화된 지식뿐 아니라 암묵적이고 무형식적인 경험을 학습하는 과정이 팀 학습 행동이라는 면에서 볼 때 지식경영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용어가 개념이 파편화되어 있고, 측정 도구도 연구자마다 상이하여 팀 학습 행동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활용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팀 학습 행동과 관련된 개념들을 도찰하여 통합 모형을 제시하고, 그 모형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한국 맥락에 맞게 타당화하였다. 팀 학습 통합 모형의 측정 도구는 공유와 정교화, 건설적 갈등, 팀 성찰, 팀 활동, 저장과 활용, 다섯 개 요인으로 구인하였다. 이도구는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거쳐 확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팀 학습 행동 연구자, 조직 내 팀 학습 행동 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개선하는 실무자 모두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선, 김문중 (2014). 팀 학습행동과 공유멘탈모형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11(4), 347-377.
  2. 김민지, 김진모 (2014). 대기업 프로젝트 팀의 다양성, 심리적 안전이 창의성 및 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6(2), 57-88.
  3. 김상락, 홍아정 (2017). 변혁적 리더십, 개인 및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의 다중집단 구조관계 분석: P사 그룹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9(1), 1-27.
  4. 김선근 (2017).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리더-멤버교환관계,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팀 학습 행동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5.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6. 김태길, 홍아정 (2015). 공공조직 구성원의 팀 학습 행동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의 매개효과. Andragogy Today, 18(2), 1-31.
  7. 김태연, 이찬 (2011). 대기업 팀의 학습 행동과 효과성 관계에서 교류기억의 매개 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1), 163-184.
  8. 김지혜, 한태영 (2011). 지속학습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고찰: 개인수준 목표지향성과 팀 수준 학습행동.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3(2), 53-78.
  9. 김청택 (2016). 탐색적 요인분석의 오, 남용 문제와 교정. 조사연구, 17(1), 1-29.
  10. 박정우, 김진모 (2020).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 중소기업연구, 42(1), 135-165.
  11. 박지은 (2011). 대기업의 팀 효과성과 팀 다양성 및 팀 학습 행동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2. 박희진 (2015). 팀 성격과 팀 학습 행동의 관계: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3), 331-354.
  13. 박희진 (2011).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651-672.
  14. 박희진 (2008). 팀 학습 행동 및 팀 교류기억과팀 수행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5. 박희진, 손영우 (2009). 임파워링 리더행동과 팀원들의 학습 행동 및 교류기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1), 1-25.
  16. 박희진, 손영우 (2007). 팀 학습 및 교류활성기억과 팀 수행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4), 475-496.
  17. 서강석, 정승철 (2021).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이 팀학습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3), 478-489.
  18. 서강석, 정승철 (2018). 조직침묵행동이 팀학습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벤처혁신연구, 1(1), 165-179.
  19. 오수진 (2018). Multilevel investigation of team learning behavior: Boundary spanning and psychological safety as antecedents.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 유영주 (2015). 대기업 팀의 학습과 팀장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1. 이균재, 홍아정 (2014). 팀 학습행동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팀 동적역량의 매개효과. 지식경영연구, 15(4), 57-78.
  22. 이무원 (2015). 조직학습이론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인사조직연구, 23(4), 11-32.
  23. 이순묵, 윤창영, 이민형, 정선호 (2016). 탐색적 요인분석: 어떻게 달라지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17-255.
  24. 이은표, 김진모 (2018). 대기업 팀의 학습행동과 다양성, 과업갈등 및 신뢰성의 관계. HRD 연구 (구 인력개발연구), 20(3), 231-263.
  25. 이준호, 김학수 (2012). 연구개발팀에서 팀 효능감과 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팀 학습행동의 매개역할. 지식경영연구, 13(3), 105-125.
  26. 이해종, 김문중 (2017). 조직문화와 팀 학습행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산업연구, 17(4), 201-213.
  27. 전동원 (2013). 대기업 HRD 팀 사회심리 및 설계 변인이 팀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8. 전명남 (2014).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공유정신 모형의 매개 효과. 산업교육연구, 28, 93-122.
  29. 전영욱 (2009). 대기업 프로젝트 팀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0. 전영욱, 김진모 (2009). 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2(4), 115-146.
  31. 전은정, 김명종, 유승동 (2020). 조직민첩성과 학습민첩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팀 학습행동의 조절효과. 호텔경영학연구, 29(8), 241-258.
  32. 주현미 (2012). 대기업 팀의 응집력과 학습 행동, 상사의 리더십 행동 및 성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3. 최재훈, 김문중 (2015). 팀 학습행동과 정보교류체제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응집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29(2), 1-23.
  34.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5. Altman, Y., & Iles, P. (1998). Learning, leadership, teams: Corporate learning and organisational change. Journal of Management Development, 17(1), 44-55.
  36. Ancona, D. G., & Chong, C. L. (1999). Cycles and synchrony: The temporal role of context in team behavior. Working Paper from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37. Andries, P., & Debackere, K. (2006). Adaptation in new technology-based ventures: Insights at the company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8(2), 91-112.
  38. Brandon, D. P., & Hollingshead, A. B. (1999).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mputer-supported groups. Communication Education, 48(2), 109-126.
  39. Breso, I., Gracia, F. J., Latorre, F., & Peiro, J. M.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m learning questionnaire. Comportamento Organizacional e Gestao, 14(2), 145-160.
  40. Bresman, H., & Zellmer-Bruhn, M. (2013). The structural context of team learn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team structure on internal and external learning. Organization Science, 24(4), 1120-1139.
  41. Brooks, A. K. (1994). Power and the production of knowledge: Collective team learning in work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5(3), 213-235.
  42. Buttle, F. (1996). SERVQUAL: Review, critique, research agenda.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0(1), 8-32.
  43. Choi, J. N. (2002). External activities and team effectiveness: Review and theoretical development. Small Group Research, 33(2), 181-208.
  44. Colman, A. M., Norris, C. E., & Preston, C. C. (1997). Comparing rating scales of different lengths: Equivalence of scores from 5-point and 7-point scales. Psychological Reports, 80(2), 355-362.
  45. Crossan, M. M., Lane, H. W., & White, R. E. (1999). An organizational learning framework: From intuition to institu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3), 522-537.
  46. Decuyper, S., Dochy, F., & Van den Bossche, P. (2010). Grasping the dynamic complexity of team learning: An integrative model for effective team learning in organisation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5(2), 111-133.
  47. De Dreu, C. K., & Weingart, L. R. (2003). Task versus relationship conflict, team performance, and team member satisfaction: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4), 741.
  48. Dreu, C. K. (2002). Team innovation and team effectiveness: The importance of minority dissent and reflexivity.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1(3), 285-298.
  49. Dutta, D. K., & Crossan, M. M. (2005). The nature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Understanding the process using the 4I organizational learning framework.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9(4), 425-449.
  50. Edmondson, A. C. (2003). Speaking up in the operating room: How team leaders promote learning in interdisciplinary action team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419-1452.
  51. Edmondson, A. C. (2002). Managing the risk of learning. In M. West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organizational teamwork. London: Blackwell.
  52. Edmondson, A. C., Bohmer, R. M., & Pisano, G. P. (2001). Disrupted routines: Team learning and new technology implementation in hospital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6(4), 685-716.
  53. Edmondson, A. C. (1999).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behavior in work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4(2), 350-383.
  54. Ellis, A. P., Hollenbeck, J. R., Ilgen, D. R., Porter, C. O., West, B. J., & Moon, H. (2003). Team learning: Collectively connecting the do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21.
  55.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56. Gerbing, D. W., & Anderson, J. C. (1988). An updated paradigm for scale development incorporating unidimensionality and its assess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186-192.
  57. Gibson, C., & Vermeulen, F. (2003). A healthy divide: Subgroups as a stimulus for team learning behavior.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8(2), 202-239.
  58. Hinsz, V. B., Tindale, R. S., & Vollrath, D. A. (1997). The emerging conceptualization of groups as information processors. Psychological Bulletin, 121(1), 43.
  59. Ilgen, D. R., Hollenbeck, J. R., Johnson, M., & Jundt, D. (2005). Teams in organizations: From input-process-output models to IMOI mode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6, 517-543.
  60. Jansen, J. J., Vera, D., & Crossan, M. (2009). Strategic leadership for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al dynamism. The Leadership Quarterly, 20(1), 5-18.
  61.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62. Kozlowski, S. W., & Klein, K. J. (2000). A multilevel approach to Theory and Research in organizations: Contextual, temporal, and emergent processes. In Klein, K. J., & Kozlowski, S. W. (Eds.),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 Foundations, extensions, and new directions (pp. 3-90). CA: Jossey-Bass.
  63. Levine, J. M., Resnick, L. B., & Higgins, E. T. (1993). Social foundations of cogni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1), 585-612.
  64. Marrone, J. A. (2010). Team boundary spanning: A multilevel review of past research and proposals for the future. Journal of Management, 36(4), 911-940.
  65. Mathieu, J., Maynard, M. T., Rapp, T., & Gilson, L. (2008). Team effectiveness 1997-2007: A review of recent advancements and a glimpse into the future. Journal of Management, 34(3), 410-476.
  66. Marks, M. A., Zaccaro, S. J., & Mathieu, J. E. (2000). Performance implications of leader briefings and team-interaction training for team adaptation to novel environm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6), 971.
  67. McGrath, J. E., & Argote, L. (2001). Group processes in organizational context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Group processes, 603-627.
  68. McGrath, J. E. (1991). Time, interaction, and performance (TIP) A Theory of Groups. Small Group Research, 22(2), 147-174.
  69. Savelsbergh, C. M., van der Heijden, B. I., & Poell, R. F. (2009). The development and empiric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instrument for team learning behaviors. Small Group Research, 40(5), 578-607.
  70. Schippers, M. C., Den Hartog, D. N., & Koopman, P. L. (2007). Reflexivity in teams: A measure and correlates. Applied Psychology, 56(2), 189-211
  71. Sun, J. (2005). Assessing goodness of fit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7(4), 240-256.
  72. Van den Bossche, P., Gijselaers, W. H., Segers, M., & Kirschner, P. A. (2006). Social and cognitive factors driving teamwork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eam learning beliefs and behaviors. Small Group Research, 37(5), 490-521.
  73. Van Offenbeek, M. (2001). Processes and outcomes of team learning.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0(3), 303-317.
  74. Wilson, J. M., Goodman, P. S., & Cronin, M. A. (2007). Group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4), 1041-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