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검색결과 870건 처리시간 0.027초

건설업에 있어서의 품질개선을 위한 평가방식의 고찰 (A Proposal for Quality Improvement by Evaluation Syste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이태식;김영현;고구레 아끼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62-265
    • /
    • 2003
  • 제조업에서는 품질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건설업에서는 1996년에 성수대교의 파괴 1997년의 삼풍 백화점의 분괴, 그리고 올해에 들어서도 지하철의 대 화제 등 건설업에 관련된 사건들이 많다. 건설업에 있어서는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많고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것은 제조업에서는 타 업체와 경쟁하기 때문이다. 품질이 안 좋으면 제품이 안 팔리기 때문에 업체는 열심히 품질을 개선하려고 한다. 그러나 주문생산 일품생산의 건설업에서는 제품의 단일성, 복잡성 등의 제반문제와 함께 주문생산 등, 주문을 받기만 하면 일정 규준에 합격만 하면 되기 때문에 더 이상 품질개선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과, 문화적, 교육적인 측면에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적인 측면 특히 평가방식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건설업에서는 어떤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면 품질개선을 위해서는 어떤 평가가 시행되어야 하는지 제지하였다. 지금까지는 건설업의 특수성, 복잡성 때문에 품질평가가 도입되어지지 않았으나, 한국의 건설업의 제품의 질을 높이려고 한다면 지어진 제품의 품질을 평가함으로써 경쟁시키는 것이 유익한 방법이다. 건설업체들이 자사제품의 품질을 개선하려고 수수로 노력을 하게 될 것이다.

  • PDF

건설공사 안전관리 및 시공 업무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Execution Task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 강상훈;김대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0-131
    • /
    • 201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work of apartment buildings. The construction work operation was divided into five major tasks, which include: Schedule Control (P'1 - P5) Construction Management (C'1 - C'5), Environmental Management (E'1 - E'3), and Quality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derived major construction execution tasks through correlation between construction work and the original index and t-test.

  • PDF

A CASE STUDY OF CONSTRUCTION ENGINEERING FOR CABLE SUPPORTED BRIDGE BY COLLABORATIVE SYSTEM

  • Jung-Min Nam;Sung-Ho Kim;Jae-Hong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586-590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the case study of the CE by collaborative system and proposes a model of the CM group for the cable supported bridge. The cable supported bridges have a large project scale and need a high level of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an 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project. The construction management (CM) group which control design management, construction plan, subcontract, technical support and R&D is organized for the cable supported bridge project. The CM group established a collaborative system with construction site and drew an effective management of cost, process, quality, safety for each project. Furthermore, the CM group established the procedure of construction management based o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CE) items and performed the project management on the construction phase. Efficiency of cost reduction and site control is maximized by using a collaborative system.

  • PDF

TAGUCHI OPTIMIZATION OF DISPLACEMENTS DURING THE DESIGN PHASE OF A CONSTRUCTION PROJECT

  • E.S. N. Telis;G. J. Besseri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21-728
    • /
    • 2007
  • The predic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the design phase of a construction project was fragmented, because no particular method exist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responses is the total displacements (horizontal and vertical). A brainstorming session produces the quality parameters i.e. the control factors which here are identified as: the steel joint, the pile's length, the excavation depth and angle, the distance between the piles, the anchor stretch and length to name just some of the most engaging in th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se these parameters to minimize the total displacements following a methodology based on Taguchi method. For this reason, a 2-level, L8 orthogonal array has been employed to organize the experimentation. Data is obtained from a real-life excavation project designed on the Plaxis v.8 CAE package. Taguchi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statistical package Minitab.

  • PDF

기계상태 Monitoring을 통한 동적 Recursive 제어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ynamic Recursive Control Model through a Machine State Monitoring)

  • 윤상원;윤석환;신용백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7권30호
    • /
    • pp.107-116
    • /
    • 1994
  • This paper formulates a dynamic monitoring and control model with a machine state by quality variations in a single lot production system. A monitoring model is based on estimate of machine state obtained using control theory. The model studied in this paper has a great advance from a point of view the combination between quality control (Sampling, Control Chart) and automatic control theory, and can be extended in a several ways.

  • PDF

심층혼합처리공법(DCM)의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n the Design,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of Deep Cement Mixing Method)

  • 김병일;박언상;한상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9-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심층혼합처리공법에 관하여 저자들에 의해 수행된 국내/외 설계, 시공 및 품질관리에 대한 평가와 고찰을 수행하였고, 추후 DCM 공법의 발전을 위한 개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내배합실험 시 강도에 대한 단면적 보정이 필요하고, 외삽법 적용 시 실제와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설계 시 개량율과 개량형식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설계법을 선정해야 하며, 안전율이 적용된 허용압축강도는 안정성 검토를 위한 기준치를 의미하는 것이지 설계 지반정수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응력분담비의 경우 관행적인 값을 적용하기 보다는 설계 조건을 반영한 실험 및 이론적 응력분담비를 산정해야 경제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었다. 시공 시 선천공이 예상되는 경우 증가된 함수비가 원지반 대비 크지 않은 경우 함수비 증가를 고려하지 못한 결과를 사용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개량길이 대비 선단처리 길이의 비율이 높은 경우 시공 시 단위길이당 설계 시멘트량이 적게 주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품질관리 시 개량체 코어링은 1축 개량체는 D/4~2D/4, 다축 개량체는 D/4 지점이 최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품질관리를 위한 항목으로 개량체의 일축압축강도와 더불어 TCR을 고려하는 기준이 국내 실정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흙-벤토나이트 혼합 차수재의 품질관리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Quality Control of Soil-Bentonite Admixed Liner)

  • 정하익;이용수;홍승서;정길수;이회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7-504
    • /
    • 1999
  • This study presents the physical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il-bentonite admixed liner in I landfill. Main focus was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compacted soil-bentonite admixed and mechanisms governing low permeable properties of the admixed liner. Laboratory and field tests such as compaction, hydraulic conductivity, density, water content for the soil-bentonite admixed liner were carried out. Quality control criteria for the best construction of the soil-bentonite admixed liner was suggested through laboratory and field test results.

  • PDF

건설기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Calculation of Air Pollutants Emission Factors for Construction Equipment)

  • 임재현;정성운;이태우;김종춘;서충열;류정호;황진우;김선문;엄동섭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8-195
    • /
    • 2009
  • Generally. mobile sources of air pollution were classified in on-road and non-road. Due to increased registration number of construction equipment in Korea. updated emission factors for non-road mobile sources, such as construction machinery. should be developed. NONROAD model of U.S. EPA already has introduced transient adjustment factors and sulfur adjustment factors for emission factors of diesel powered engine. In addition to this. European Environment Agency (EEA) has proposed emission factors for off-road machinery including several types of construction equipment. In this study. six types of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excavator. forklift, loader, crane, roller and bulldozer, were studied to estimate emission factors based on total registration status in Korea. Total 445 construction equipments between 2004 and 2007 model year were tested with KC1-8 mode and air pollutants (CO, THC, $NO_x$, and PM) were measured. After statistical estimation and calculation, emission factors for CO, THC, $NO_x$, and PM for excavator, forklift, loader, crane, roller and bulldozer were provid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emission factors. Moreover, updated emission factors for six types of construction equipment in this study were verified after comparison with emission factors of U.S. EPA. Finally, estimated emission amounts of four air pollutant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six types of construction equipment.

건설공사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 결과를 통한 건설 품질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through Analyzing Construction Work's Quality Inspection Results)

  • 정상기;박정은;차용운;한상원;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0-118
    • /
    • 2016
  • 최근 국내 건설 산업은 높은 경제성장률과 신기술 도입 등으로 인하여 대형화, 초고층화, 첨단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건설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과 요구 수준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는 과거의 양적인 성장위주에서 벗어나 시장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한층 더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에 대한 적정성 여부와 부실시공 방지 등 품질확보를 위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검 강화에도 불구하고 품질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및 형식적인 품질관리 운영 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품질관리 점검 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적사항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지적사항을 줄이고,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시 품질시험소에서 2012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393개 건설현장의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을 통해 도출한 지적사항 3,443건을 심층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현장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현장 품질관리의 개선방안을 통해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의 방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지적사항의 감소, 현장의 품질관리 업무향상과 같은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