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 on Infant's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 윤수진;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2호
    • /
    • pp.27-5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만 5세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 통제 집단 15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만 5세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주 1회 50분씩 총 7회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 내용은 다양한 감정 장면을 통해 만5세 유아들의 감정의 명명화와 나의 감정을 인식하고 타인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또래 유능성,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사회적 능력검사)을 사전, 사후, 추후(코칭 종료 4주 후)로 실시한 결과,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지속성도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논의하였다.

  • PDF

유치원 4세반에서 간식과 점심시간의 교육적 의미 재조명 (Re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Meanings of Snack and Lunch Time in a Kindergarten Class of 4-Year-Old Children)

  • 원유옥;김송이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71-58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ducational meanings of snack and lunch time of 4-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n a kindergarten class. The study was done in the Class of 4-year-old children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Songpa-gu, Seoul. And 30 children of this class, Teacher A who is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nd Teacher B who is the researcher and teacher in charge of it participated in it.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ethnography method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video and voice recording, and data collection of photography shoo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children had private conversations, shared their cultures, deepened and expanded their existing concepts,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relieved their tension, and strengthened relations with friends during the snack and lunch time. Second, the teachers promoted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gave the opportunity that the children can set the lunch table by themselves and tried to make the snack and lunch time with the children by discussing what they are how they are operated with them together. In conclusion, the snack and lunch time can be more meaningful time for children when there are proper educational plans and support of teachers which are considered children's viewpoints.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 박보경;박선영;이시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3-89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infant ca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 effect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 sensi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6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teacher-parent partnership, their sensitiv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eacher-parent partnership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Second, teacher-parent partnership indirectly influence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rough teacher sensitivity. In other words, a high level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sensitivity, subsequently resulting in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interactions for infan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teacher sensitivity as a mechanism to explain how teacher-parent partnership is linked to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enhancing teachers' sensitivity and, ultimately, providing high-quality child care to infants.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장학 모형 개발의 예비적 탐색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Supervision Model Based on the Narrative)

  • 신영수;강현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86-5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l of curriculum supervision that can substantialize the educational value by studying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present curriculum supervision. And this study focuses on reciprocal actions based on communication and dialogs. As the model of supervision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proposes the supervision model of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We need to move the view point of bureaucratic administrative supervision to new vision. For the supervision matched with this new approach, the teachers' experience has to be reinforced by dialogs and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member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supervision in the mood of respect. The educative value of school can be recovered by the narrative through interaction, respecting school members' experience and meanings in their life according to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forming the school community by mutual communication, and constructing school culture coping with change of new environment.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of the head teach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nursery facility)

  • 강병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27-136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과 안정적인 운영을 결정짓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주임교사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2월부터 3월까지 각 기관에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시설의 중간관리자인 주임교사의 리더십은 소속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는 보육시설의 중간관리자인 주임교사의 적절한 리더십이 발휘되어야함을 시사한다.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Beginning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7-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주임교사, 원감, 원장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및 개발, 직업윤리, 감성지능 등 5개 역량의 7개 하위역량이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및 의사소통능력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 A Comparis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원혜준;김명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6호
    • /
    • pp.169-184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family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154 pairs consisting of 77 pair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77 pairs of children and mothers from general families along with 76 teachers in charge of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levels differed according to family type. Therefore, to underst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gene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ach child's environment.

초등학교 도서관의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s Mentoring Programs Supported by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Seoul)

  • 조인숙;김희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6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 북부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 내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북부지역 5개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학교별 멘토링 현황을 분석하고 멘토, 멘티, 전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담임교사와 방과 후 교사를 포함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후에 멘토가 작성한 멘토링 활동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확대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받을 수 있는 대상아동에 대하여 독서를 통하여 더 넓은 세계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책과 함께 한 작은 소통이 궁극적으로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하나의 계기를 만들어 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숲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 강영식;김정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34-342
    • /
    • 2019
  • 본 연구는 자녀의 숲체험 활동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체험 운영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의 차이에 있어 숲체험 교육에 참여한 기간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숲체험을 지원하는 교사의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어린이집이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날씨가 안좋은 날을 제외하고 매일 숲체험에 참여에대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숲체험 장소에 따라 교육효과의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루동안 숲체험 활동하는 시간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숲체험 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소통의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의 숲체험 활동 전반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따라서 교육효과와 소통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실외야외활동에 따른 인솔 교사의 수와 미세먼지에 따른 날씨와의 연관성 및 숲체험 장소와 교육소요시간 등에서 교육적 효과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다름은 이들의 공통된 관심사항으로 유아들의 안전한 교육활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논리모형에 대한 탐색: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을 중심으로 (The Exploration of Logic Model for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the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 김혜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336-349
    • /
    • 2016
  • The evalu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 depends on whether it achieves its objectives or not so far which makes that it is not easy to figure out which mechanism is attributed to the consequences of the program.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logic model of the after-school program and follows the processes such as literature review, opinion survey by specialists and in-depth interview with stakeholders. The target program of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initial developed theory model was validated and finalized through being reviewed by specialists and teachers in charge of target schools. Based on the framework of logic model, the models are composed of context, components, activities, output/short term outcomes, and long term outcomes. As the key factors of the after-school program, amic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keholders, quality of the program in itself, follow-up management, counseling and guidance for students, instructors' expertise,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program were dra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