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4초

문학텍스트와 문학적 해석 -「스페인 문학사」를 통한 모델 연구 (Literary Text and the Cultural Interpretation - A Study of the Model of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 나송주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465-485
    • /
    • 2012
  • Instructing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class faces various types of limits and obstacles, just as other foreign language literature history classes do. Majority of students enter the university without having any previous spanish learning experience, which means, for them, even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itself can be difficult. Moreover, the fact that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is traced all the way back to the Middle Age, students encounter even more difficulties and find factors that make them feel the class is not interesting. To list several, such factors include the embarrassment felt by the students, antiquated expressions, literature texts filled with deliberately broken grammars, explanations written in pretentious vocabularies, disorderly introduction of many different literary works that ignores the big picture, in which in return, reduces academic interest in students, and finally general lack of interest in literate itself due to the fact that the following generation is used to visual media. Although recognizing such problem that causes the distortion of the value of our lives and literature is a very imminent problem, there has not even been a primary discussion on such matter. Thus, the problem of what to teach in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class remains unsolved so far. Such problem includes wether to teach the history of authors and literature works, or the chronology of the text, the correlations, and what style of writing to teach first among many, and how to teach to read with criticism, and how to effectively utilize the limited class time to teach. However, unfortunately, there has not been any sorts of discussion among the insructors. I, as well, am not so proud of myself either when I question myself of how little and insufficiently did I contemplate about such problems. Living in the era so called the visual media era or the crisis of humanity studies, now there is a strong need to bring some change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history. To suggest a solution to make such necessary change, I recommended to incorporate the visual media, the culture or custom that students are accustomed to, to the class. This solution is not only an attempt to introduce various fields to students, superseding the mere literature reserch area, but also the result that reflects the voice of students who come from a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generation. Thus, what not to forget is that the bottom line of adopting a new teaching method is to increase th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broaden the horizon of the Spanish literature. However, the ultimate goal of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class is the contemplation about humanity, not the progress in linguistic ability. Similarly, the ultimate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is to train students to become a successful member of the society. To achieve such goal, cultural approach to the literature text helps not only Spanish learning but also pragmatic education. Moreover, it helps to go beyond of what a mere functional person does. However, despite such optimistic expectations, foreign literature class has to face limits of eclecticism. As for the solution, as mentioned above, the method of teaching that mainly incorporates cultural text is a approach that fulfills the students with sensibility who live in the visual era. Second, it is a three-dimensional and sensible approach for the visual era, not an annotation that searches for any ambiguous vocabularies or metaphors. Third, it is the method that reduces the burdensome amount of reading. Fourth, it triggers interest in students including philosophical, sociocultural, and political ones. Such experience is expected to stimulate the intellectual curiosity in students and moreover motivates them to continues their study in graduate school, because it itself can be an interesting area of study.

미적분의 역사와 변증법적 유물론 (A History of Calculus and the Dialectical Materialism)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521-540
    • /
    • 2003
  • 수학이 발달해 온 과정과 그 결과물은 언제나 역사적 한계 속에서 역사적 필연성에 의해 그 한계를 돌파해 온 과정이자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모습을 미적분학의 역사를 통해서 보여주려 한 것이 이 글이다 이 글을 전개하는데 밑바탕에 전제로 두고 있는 것은 변증법적 유물론이다. 이것은 변화와 발전을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니라 사회-역사적인 물적 조건을 일차적인 것으로 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본다. 유물변증법은 기원전 4세기 무렵의 아르키메데스 시대 이후 한동안의 공백기를 지나 17세기에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게 된 미적분을 설명하는데 적격이다. 또한 그것은 미적분의 발달 과정에서 보이는 여러 번의 동시 발견과 같은 것들을 설명하는데도 적격이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서 수학이 단순히 기호의 형식논리학적 전개나 주관에 의한 발명이 아니라 사회-역사적 산물임을 보이려 한다 이를 통해서 수학 교수-학습을 현실 세계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논의에 철학적 바탕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교직과정을 이수한 교육대학원생의 내러티브 탐색 - 지구과학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 (Inquiry into the Narratives of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who Have Completed Teaching Profession - With a Focus on Earth Science Education Major -)

  • 연유상;정덕호;이철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0-103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심리적, 재정적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이들이 가진 교직에 대한 희망 사이의 갈등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육대학원생 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해 내러티브 탐구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적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전공 지식의 부족, 멘토의 부족, 늦은 출발, 재정적 문제와 차별, 정보의 부족 등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삶은 가치가 있다는 인식, 학생들을 선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 자신은 점점 발전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희망을 얻는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진 희망 요소에 의해 현 상황을 감내하고 있지만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교직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희망 사이에서 심리적 갈등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수요를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및 분석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불안을 극복하지 못하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향후 현시점의 교육대학원이 현직 교사의 재양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구성원 모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교육대학원의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벨지움의 중등학교 지리교육 내용과 교사양성제도 - 프랑코폰 공동체를 사례로 -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of Geography and the System of Teacher Training in Belgium - Focused on the Case of Francophone Community -)

  • 곽철홍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1-115
    • /
    • 2000
  • 본 연구는 벨지움의 프랑코폰 공동체를 사례로 중등학교 지리교육의 내용과 교사양성의 실태를 일반 교육체제의 범주에서 고찰하였다. 중등학교 제1단계에서는 주당 2시간씩 환경교육을 학습하는 데 그 내용은 생활주변의 지리적 지식을 관찰 정리하는 것이고, 제2단계에서는 주당 1시간씩 세계지리를 학습하며 특히 유럽과 러시아에 큰 비중을 둔다. 제3단계에서는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계통적으로 학습한다. 교실수업에서 사용하는 공식적인 교과서는 없고 교사가 텍스트를 준비하여 학습에 임하고 있으며 학생 중심의 탐구식 수업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급중등교사는 교육전문학교에서 복수전공교사로 양성되는데 지리교사는 생물 화학 지리교사 또는 역사 사회 지리교사의 유형으로 양성되며, 상급중등교사는 종합대학의 교직과정부에서 단일전공교사로 양성된다. 중등학교 현직교사를 공식적인 실습지도교사로 임용하고 교생들의 책임수업과 평가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등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과 교수들은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심사에서 합격기준을 강화함으로써 교사의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들의 상당 부분은 우리나라의 지리교육과 교사양성에서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여성 수도자의 유방자가검진 교육 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search of Experience about Women Religious on Breast Self-Examin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 김선애;전혜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77-8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 기반 학습(PBL) 및 실습을 융합하여 유방 자가 검진 교육 후 여성수도자들의 경험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면담, 확인하고 유방 자가 검진 교육을 문제 기반 학습과 실습을 융합하여 새로운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여성수도자들은 주 1회, 2시간, 4주간 문제 기반 학습 유방 자가 검진 교육을 받고 3개월 간 유방 자가 검진 실천율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유방암에 대한 인식', '유방 자가 검진 교육에 대한 인식', '유방 자가 검진 교육 경험', '유방 자가 검진을 위한 문제 기반 학습 및 실습 융합 교육경험'과 '교육 후 변화'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상자들은 교육 후 지식이 증가하고 새로운 실기능력을 습득한 것에 대체적으로 만족하였으나 규칙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타나냈다. 또한 교육 전 일관되지 않은 인식과 막연하게 안심하고 있던 태도에서 교육 후 오히려 불안감이 증가되어 관심을 더 가지게 되었음을 나타내 유방암과 유방 자가 검진에 대한 동기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어 긍정적 효과로 파악되었다. 추후 수도자의 요구에 맞는 융합적 유방 자가 검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녹색 사회를 향한 환경교육과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Dep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ward a Sustainable Green Society)

  • 최돈형;김대희;이재영;정철;김기대;조성화;안재정;박혜경;홍현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4호
    • /
    • pp.111-128
    • /
    • 2011
  •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common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5 colleges of education. The need and background of curriculum reform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has been recognized that new national curriculum of 2009 and 2011 created need for training teachers equipped with more integrated competency. Second,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and energy crisis asked for more responsible choice and action from all citizens. Third, the extremely low hiring rate resulted in the consideration of new working fields for teacher students major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urth, the expansion of new environmental education paradigms includ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lled for practicing reconstruction of both contends and methods. From a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including analysis of current curriculum, DACUM, opinion survey and interest groups review, several new approaches for developing new curriculum had been identified as follow; first, content area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beyond environmental natural science. Second, new learning approaches such as project-based learning need to be emphasized for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environment as a separate subject. Third, more selective majoring system need to be applied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 government officials, researchers,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or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application of new curriculum developed by the study would be evaluated and managed by teaching conditions surrounding each of the five university members joined this developing processes. However, it needs to be noted that there is not much time because we had experienced zero hiring rate for the last 4 years and environmental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are moving rapidly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 PDF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업크래프팅과 간호직 인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ocumentary Education on Study Crafting and Nursing Recogni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64-27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교육을 적용한 후 학업크래프팅과 간호직 인식의 변화를 파악하고 교육만족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참가자는 B지역의 1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총 84명이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9년 3월 11부터 4월 15일까지이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WIN 24.0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4차시로 구성되어 3시간 30분으로 운영이 되었고, 3편의 국내 다큐멘터리가 적용되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업크래프팅은 교육 후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간호직 인식은 유의하였다(t=-4.49, p<.001). 세부항목에서 전통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간호직 전망이 유의하였다(t=-2.13, p=.036; t=-5.09, p<.001; t=-4.17, p=<.001). 다큐멘터리를 사용한 교육에 대한 만족은 평균 4.54점이었고, 세부항목인 학습방법 만족은 4.54점, 교육내용 만족은 4.62점, 유익성은 4.56점, 흥미는 4.44점, 관심유발은 4.55점이었다. 본 연구결과,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직 인식과 교육 만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므로 향후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BL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영어·과학 융합 수업 (Study on Converged English-Science Teaching Methods Using the PBL Model in Elementary Schools)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8-83
    • /
    • 2020
  • 21세기 현대 사회의 정보와 지식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시각으로 창의적 및 비판적 능력으로 해결해 나갈 능력이 필요로 하다.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2011년 교육부가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해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usic)이라는 융합 교육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에 알맞은 인재 양성을 위해 주도적으로 학습자들이 수업에 참여하는 PBL 모형을 기반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과목은 세계 공용어로 자리매김한 영어 수업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발전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 수업을 융합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교사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습자들이 영어 교과 주제인 "Problem and Solution"을 정의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과 주제인 "Environment Pollution"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얻기 위해 그룹 활동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에 대한 높은 이해력 (86%), 학습에 대한 높은 동기부여(100%), 자신감 향상(100%), 협동력 및 창의력 향상(100%)이라는 답변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안타까운 점은 융합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성보다 여전히 정확한 답을 도출해야 하는 입시 교육으로 인해 활발히 진행되지 않는 점이 있다. 현시대에 알맞은 인재 양성을 위해 더욱 활발히 연구되어 다양한 교육 현장에 적용이 되어야 한다.

개선된 합의 모델(RCM)의 지식 교환을 통한 초등교사의 모델링 pPCK 변화 탐색 (Exploring the Changes in Elementary Teachers' Modeling pPCK for Science Modeling Instructions Through Knowledge Exchange of the Refined Consensus Model)

  • 김현주;임채성;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5-117
    • /
    • 2024
  • 본 연구는 개선된 합의 모델(RCM)의 세 가지 PCK 영역 간 지식 교환을 통해 초등교사의 모델링 pPCK(개인적 PCK)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3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 학습공동체(PLC)에서 과학 모델링 수업에 관한 지식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촉진한 뒤, 연구참여자가 두 차례 작성한 CoRe(내용 표상)를 분석하여 모델링 pPCK 변화 양상을 탐색하였다. 또한 PLC에서 연구참여자들이 나눈 담화, 심층 면담 자료를 근거 이론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 교환으로 인해 초등교사의 모델링 pPCK 중 교육과정 지식에 있어서는 두드러진 변화가 없었으나 과학 교수 지향,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 과학 수업 전략 지식 및 과학 평가에 대한 지식에 변화가 있었다. 또한 PLC 담화 및 심층 면담 분석을 통해 교사들의 이러한 모델링 pPCK 변화에는 모델링 수업 사례 성찰(ePCKR)과 교육 연구 기반 모델링 cPCK(집단적 PCK)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교사의 모델링 PCK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성역할 개념형성과 교육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n Sex Role Concepts and the Problems of Education)

  • 이정덕;홍연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권1호
    • /
    • pp.93-109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education for sex role concepts of children on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in sex role concepts and their formation. Although some maintain that sex role concept of our society has been changing slowly, the traditional sex role concept still dominates and is potentially immanent.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of our society indicates that the formal as well as informal education are facing with various crucial problems in providing the direction of behavior demanded for carrying out the role. The close analysis of the three theories, psychoanalytic theory , social learning theory,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lends a support to the laim of the study that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provide an integrated frame of reference for us to see the sex role education analytically Furthermore, the factors which are found to have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sex role have been analyzed in three areas: Family, School and society. 1)The factors in family such as parental behavior of upbringing and their concepts of sex role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nature of sex tole concept of children. Therefore, the first step to make children to habe a new type of sex-role conception appropriate for modern societies is to change that of parental conception and attitudes. 2)the quantitative as well as the qualitative aspects of school education showed no exceptional trend from the dominant conception of the society, although school are expected to lead the society as formal education institution rather than just reflect the society.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ntents such as the conceived goal of education for eoch sex, textbook constitation, teaching behavior and sex-role concepts of teacher are found to be still dominated by the traditional sex-role assumption. 3) The social factors that have direct relationship with children's sex-role formation are social and cultural, which include social milieu, condition of employment, family structure and mass-media. Since family and school do not educate the young in a social vacuum. their educational function of sex-role formation are doomed to be limited and determined by these social factors. Unfortunately,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showed the dominance of traditional types of sex-role concepts in all these social factors. The education of sex-role concept for children sh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most crucial value problems related with many other important problems, such as direction and patterns of behaviors of each sex, the degree of self-development and capabilities, and consequently human right, equality, humanization and the quality of happiness. Neverthless, the analysis of researches on sex-role education which have been surveyed in this study lead to a conclusion that concerted effort to change the education, formal as well as informal should be provided in every aspect of social life. If the sex role education of the past has aimed at the "feminization"of girls which indoctrinate girls into a limited and fixed role of house wives, the new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directed foward "humanization" of both sexes which opens the diversity of roles for both boys and girl on equal levels and provide future possibilities in accordance to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and intere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