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25초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생진로 예측 프로그램의 설계 (Design of the student Career prediction program using the decision tree algorithm)

  • 김근호;정종인;김창석;강신천;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2-335
    • /
    • 2018
  • 최근 IT분야에서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빅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또는 기술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교육분야에 있어서도 학생들에 대한 빅 데이터가 존재하나 이러한 데이터를 단순히 수집, 조회, 저장하는 단순처리과정을 거칠 뿐이다. 향후 인공지능이나 기계학습, 통계분석 등을 폭 넓게 이용하여 교육분야의 빅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규칙이나 패턴 및 관계를 찾아내어, 실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생산 지능적인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수업 관찰을 통한 데이터를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진로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진로예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상담에 활용 진로를 제시하고 또한 희망 진로에 따른 수업 태도 및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of Reading Culture Program in Public Library for Free-semester)

  • 황금숙;김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99-128
    • /
    • 2016
  • 현 정부에서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핵심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를 대상으로 2013년도부터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여 2016년에는 모든 중학교에서 전면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 교사, 학부모,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독서문화 프로그램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 자율과정 구성에 따른 4가지 영역(진로탐색활동, 동아리활동, 예술 체육활동, 주제선택활동)의 도서관 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Career-Inturrupted Married Women in Thirties)

  • 여숙현;김명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1-577
    • /
    • 2016
  • 최근에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와 사회참여에 대한 문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고,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에게 REBT 이론을 적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시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초등학교 자녀를 둔 30대 경력단절 기혼여성 45명이었다. 본 연구에 지원한 45명을 상담집단(REBT 집단), 통제집단1(일반부모 교육 집단)과 통제집단2(직업상담사 교육집단) 3집단에 각 15명씩 무선배정하고 사전-사후 비교를 실시했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와 진로태도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 사회효능감, 자기효능감(전체) 등이 사후에 증진되었다. 또한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의 현실성, 준비성, 결정성, 진로성숙도(전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진로와 경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서울.인천지역 학교 급식 영양사의 영양관리 실태 조사 (A Study on Nutrition Management of Dietitia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s)

  • 김경미;이윤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1호
    • /
    • pp.57-7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etitians' nutrition management in school lunch program.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 233 dietitians of elementary schools and 10 dietitians of high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as completed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78.4% of Seoul and 48.6% of Incheon among the whole students were served their meals in the classrooms. 70.0% of dietitians were 30-39 years old and 31.4% had a career less 5-7 years old. The standardized recipe was used in 71.6% of total schools but not effectively in both provinces. The students' nutrition and preferences were the very first to be considered in menu planning in both provinces. The nutrient value of meals was evaluated by the dietitians in most schools. Nutrition surveys of the meals which students are eating at home were surveyed in 27.3% of Seoul and 53.2% of Incheon. Students' preferences were studied regularly in 65.4% of Seoul and 78.9% of Incheon, and students evaluations of meals were carried out by the school lunch program in 74.6% of Seoul, and 68.8% of Incheon. In 49.6% of Seoul and 53.2% of Incheon, leftover foods were measured for each meal. 38.5% of Seoul used per a week and 48.6% of Incheon used per 2-3 week the processed foodstuffs. In 17.2% of Seoul and 25.2% of Incheon, nutrition education was executed by direct education, but educational methods were done mostly by letterssent to students' parents(76.9% of Seoul and 85.3% of Incheon). Evaluation studies on nutrition manag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were hardly correlated to the dietitian's career and educational level. The number of meals served by the school lunch program have no related with the students' preferences. For improvement of nutrition management of school lunch progr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nutrition management model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 PDF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욕구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of Among of Vocational Education, Entrepreneurial Intention,Re-employmment Need of Career Interrupted Woman)

  • 김정희;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237-246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교육에 대한 연구로 최근의 정부정책에 있어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항들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이 창업의지와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의 성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A시에 소재한 취업관련기간에서 직업교육을 수강한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및 인터넷을 통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이다. 추후 A시 뿐만이 아닌 전국으로 확대하여 연구가 실시된다면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은 경력단절여성들의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업교육은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욕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 PDF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 김진경;강은영;윤혜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55-171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fant teachers' career, efficacy,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SPSS 22.0 program. With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ly, infant teachers' career didn'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directly, but indirectly affected their efficacy and sensitivity. Secondly, the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were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Thirdly,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had full mediation between their career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onclusion/Implications: Infant teachers' career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eacher efficacy and sensitivity. Based on the result, a plan for developing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proposed, and suggestions of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 시기와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Career Plann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 김종헌;이희복;전미란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653-675
    • /
    • 2016
  • 연구에서는 대전소재 과학영재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과 보충 면담을 통하여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진로가 결정된 시기와 진로 선택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과학영재 고등학교 1학년 2학기 중반쯤에 결정된 진로는 중학교 때 형성된 경우가 39.1%로 가장 많았다.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대한 부모님의 지지는 5점 척도로 했을 때 4.25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진로 선택의 이유에 대해서는 많은 학생들이 내신 성적이 잘 나오는 과목이나 흥미가 있는 과목 중심으로 대략적인 방향만 설정해 놓은 상태였으며 그 비율은 73.6%로 나타났다. 장래희망 성취에 내신 성적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한 학생의 비율도 71.3%로 높게 나왔다. 한편 교과 성적이 좋지 않아도 관련 분야로의 진로를 유지하면서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하는 학생들은 자신감을 가지고 스스로에 대한 바른 진단과 대처로 성적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의 칭찬과 격려가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진로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그 목적과 방향성 진로로 분명한 경우, 프로그램에 따라 적게는 14.9%~63.8%, 많게는 33.3%~64.4% 정도 진로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2.3%~18.4%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R&E 연구활동을 통해 목표를 구체화시키지 못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28.7%~47.1%이고 더욱이 탐구가 어렵다는 것을 느끼고 좌절하는 학생들이 3.4%~12.6%에 이르렀다. 본 연구결과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프로그램의 모색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대 신입생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대학생활적응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Freshmen of Nursing Department on Learning Motivat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lf-efficacy)

  • 박민정;최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39-349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의 학습동기, 대학생활적응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서. 연구대상은 K와 I지역에 소재한 간호대 신입생으로 실험군 44, 대조군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도입단계, 자아탐색단계, 직업세계탐색단계, 진로설계단계 및 종결단계로 구성하여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1주에 2시간씩 총 12주간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측정하였고, SPSS WIN Versio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학습동기(t=8.92, p<.001)와 대학생활적응(t=3.51, p<.001)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생들의 대학적응과 학습동기 유발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간호대 신입생뿐만 이니라 전 학년 학생들에게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맞춤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및 전공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nurse's image and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on their career identity: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 이민희;김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8-25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and career identity, and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methodology, and 205 nursing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it.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etween March 26 and April 30, 2022.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22.0 program and Sobel test. Results: The mean score of career identity was 2.92±0.57 out of a possible 4. Career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image (r=.32, p<.001), satisfaction with major (r=.47, p<.001),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r=.32, p<.001). Additionally,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Z=2.44, p<.001), satisfaction with major (Z=2.35, p<.001), and career ident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and career identity. Based on the study's results, career identity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need to include nursing image,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소프트스킬 함양교육 사례 (A Case Study of Soft-Skill Education)

  • 박미경;조혁규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59-65
    • /
    • 2012
  • The skill that meets the intellectual and technical requirements in workplace is called hard skill. The counter part of it is 'softskills' which enhances an individual's interactions, job performance and career prospects. It becomes more necessary skill as society changes. In this paper we first show the demand for the softskill improvement education for engineering major students. Then we introduce a 'softskill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Center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in a University.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chosen by the needs of society, companies that hire our students, ABEEK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sulting from professors. To improve the skills we used various activities as tools which are mentioned and introduced.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results are discussed. We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th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