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Policy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2초

주요 선진국의 대학 진로교육 정책 및 사례 비교: 영국·미국·싱가포르를 중심으로 (Policy and Case Study Analysis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Focusing on UK, USA, and Singapore)

  • 임해경;정윤경;나현미;이지은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77-101
    • /
    • 2018
  • 미래 사회와 직업세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등교육기관의 경쟁력 및 대학의 진로교육 체계와 서비스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국, 미국, 싱가포르 등 주요 선진국의 대학 진로교육 정책 및 사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국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대학 운영을 점차 간섭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각 주별로 고유의 교육정책 및 법안을 수립하여 운영하는 지방자치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반면 싱가포르는 대다수가 국립대학으로 진로교육 정책이 정부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다. 따라서 주요국의 대학 진로교육 정책 및 지원 실태와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우리나라 대학의 진로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nalysis of National Education Plan Implementation for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Basic Plan and Career Education Internalization Support Plan

  • Ok Han Y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16-23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national education plan promotion background, focusing on the 5th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Basic Plan (2023-2027) and the 3rd 2023 Career Education Internalization Support Plan (2023-20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for lifelong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5th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Basic Plan (2023-2027) and the 3rd 2023 Career Education Internalization Support Plan (2023-2027) have both been established to cope with the future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us,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m. For this purpose, concrete policy alternatives have been prepared. In modern society, it is vital for the state to promote basic plans related to education, particularly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In this respect, whe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lifelong and career education, first, policies for soci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re important. Second, policies are needed that respond to changes in jobs and occupations. Third, lifelong and career education are essential to ensure social inclusion and fairness. Fourth, lifelong and career education are vital in nurturing human resour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TEM 전공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STEM Student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 황순희;조성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31
    • /
    • 2024
  • In recent times, STEM graduates are confronting a decline in employment rates influenced b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cy-related factors. Career decisions are closely linked to education, college experiences, and university settings. To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in STEM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2,393 STEM undergraduates in Korea.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data, 37.8% of career motivation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s,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30.1%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ender,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considering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TEM graduates in the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

창업교육이 공과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Career Decision for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 김유신;성창수;박주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28-3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career decision of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ived desirability, perceived feasibility and the career decision - mak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 making self - efficacy as subj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PLS 3.0 for engineering students in an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desirability, perceived feasibility. Second, perceived desirability and perceived feasibility have different effects 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ir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ffects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career intention in career decision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areer decision making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policy developers.

A Signaling Theory of Education under the Presence of Career Concerns

  • HWANG, SUNJO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8권2호
    • /
    • pp.87-101
    • /
    • 2016
  • A person's life consists of two important stages: the first stage as a student and the second stage as a worker. In an integrated model of education and career concerns, I analyze the welfare effects of education. In Spence's job market signaling model, education as a sorting device improves efficiency by mitigating the lemon market problem. In contrast, in the integrated model, education as a sorting device can be detrimental to social welfare, as it eliminates work incentives generated by career concerns.

  • PDF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 및 교과내용 제안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Proposal for College Student-athletes)

  • 권형일;최미화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9권2호
    • /
    • pp.109-119
    • /
    • 2020
  • 일반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정책과 연구가 생성되고 있는 반면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에 대한 대책은 딱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대학생 학생 선수들에 대한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대학생 학생선수라는 특수한 모집단의 진로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콘텐츠가 충분히 개발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학생선수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교과목에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 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대학 스포츠 전문가, 스포츠 심리학자와 진로교육 전문가들의 전문가회의를 통해 생성되었으며 6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현실적으로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적용가능한 수업의 구조를 결정하고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필요한 내용의 진로교육 내용을 결정한 후, 그 내용들을 16주의 교과과정으로 설계하였다.

자유학기제 정책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ograms of Policy Research School for Free Learning Semester)

  • 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318-1333
    • /
    • 2015
  • The research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present implications and supplements in policy research middle school which has implemented free learning semester for 3 years from 2013 to now,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needed to generalize career education programs. I was required to make a specialized program which was suitable for a characteristic of school and community rather than department-store-like program. Secondly, in considering career development s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seemed that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suitable for second grades. Thirdly, teacher interns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in order to manage efficiently free learning semester. Lastly, it was needed to develop a specialized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through studying with expert groups.

신규 여성 박사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Explore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Recently Obtained Doctoral Degree in Education)

  • 김효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85-696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계열 전공 여성 박사의 학교와 직장의 진로성취과정에서 겪는 진로개발 및 진로장애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 5년 이내의 교육계열 전공 여성 박사 4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열 여성 박사들은 교수와의 학술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진로개발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었으며 둘째, 직장 내에서 유리창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라는 것이 기혼 및 미혼 여성 박사 모두 진로개발 시 장애요인이라고 인식했다. 기혼은 자신의 가정과 육아에 대한 책임감과 미혼은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경험들은 여성 박사들에게 진로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주변인의 지지와 자신의 자아실현에 대한 강한 목표의식은 진로장벽을 타계하는 방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 박사의 진로개발에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맥락이 여성의 진로개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여성 박사를 위한 진로지도는 학생들의 요구와 사회 변화에 따라 유동적이고 다각적인 방향에서 접근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School Autonomy Policy)

  • 정성수;김재금;김훈호;오세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592-60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chool Autonomy Policy and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better settlement of the policy. To achieve the above aim, we used survey method to 390 teachers and analyzed 363 responses with SPSS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of teachers supported the intent and aim of the School Autonomy Policy, however, the respondents showed conflicting responses on the contents, process, core subject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have more teaching career including principals answered positively on the policy and it's process than lower career teachers. Lower career teachers expressed very negative recognition and little understanding for the policy itself.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teachers' cooperation, especially lower career teachers' conciliation, is very important to settle down the School Autonomy Policy successively.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양성과정 현황과 개선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eer Counseling Teacher Training Course and Improvement Plans)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51-160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양성제도 중 교육 대학원 석사 과정을 중심으로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첫째, 진로 진학 상담 전공 교육 대학원 양성제도의 경우 ①서울 소재 대학이 3곳, 경기도 2곳, 인천 1곳, 강원 1곳, 대구 1곳, 전북 1곳, 충남 3곳, 충북 1곳으로 총 13개 대학에 개설되어 있다. ②대부분의 학교에서 이원화로 운영하고 있다. ③진로 진학 상담 전공으로 교육 대학원 석사 과정 교육과정은 많게는 26개 과정 적게는 10개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둘째, 진로 진학 상담 대학원 양성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은 무엇인가? ①표준화된 교육과정 마련이 필요하다. ②지역사회 연계 강화 교육 운영이 필요하다. ③교육 대학원 13개 교육과정의 수준 차이 해소 및 일부 대학 교수진 확보 부족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④교육부 진로 교육 정책과가 13개 교육 대학원을 주기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⑤교육부 진로 정책과에서 역할은 전국 초·중·고 진로 진학 상담 교사의 수요와 공급을 고려한 국가 차원에서 중장기적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⑥진로 진학 상담 교사 자격증 취득 방법은 이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