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Choice Factor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19초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장애요인과 진로정체감 (Career obstacle factors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career choice type among paramedic students)

  • 박정미;한송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5-10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 obstacle factors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career choice type among paramedic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34 paramedic students in C area from August 25 to September 3,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areer obstacle factors, career identity, and types of career cho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OVA, post hoc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 20.0. Results: Career obstacle factors and career identity of paramedic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motivation of university choi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ference. A stable type of career choice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core for career obstacle factors and a higher score for career identity. Career identity had a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jor satisfaction 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obstacle facto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career identity were types of career choice, motivation of university choic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obstacle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was 58.0%.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a career integrity enhancement program can solve the career obstacle factors for paramedic students.

문화예술분야의 진로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of Career Choice in Culture Arts)

  • 정재엽;최명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83-390
    • /
    • 2017
  • 본 연구는 문화예술 전공자를 대상으로 진로선택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또한 진로선택의 요인과 진로장벽으로의 외부환경요인이 취업자와 창업자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33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전공자의 진로선택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취창업 선택 시 고려하는 진로선택요인을 서열 순으로 확인하였다. 문화예술 전공자들의 취창업그룹간, 성별간에 진로선택요인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도 일부 요인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예술분야 전공자의 진로선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어 향후 진로교육과 상담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며 취창업교육에 활용이 가능하다.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따른 직업관, 진로선택, 전공미결정요인 비교 (Work Valu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Based on Career Adaptability of Medical College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 천경희;박영순;이영환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2호
    • /
    • pp.69-7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factors that shape career choice and specialty indecision. One hundred and thirty-three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completed a survey, which collected information on career choice, specialty indecision, and career ada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and low career adaptability groups in factors that affected specialty choice and indecision.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intellectual content of specialty,' 'age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patient contact experience during the early years of medical school,' and 'greater opportunity for research.' Among the specialty indecision factors, students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several specialties equally appealing to me' and 'many interests,' while students with low career adaptability were affected by being 'unaware of my abilities,''unaware of my interests' and having 'learned my choice was not possible for me.'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specialty indecision was 'need more information and suppor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signed for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career adaptability and specialty indecision.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nd its Factors)

  • 윤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70-58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과정의 인과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과정에 대한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적 요인, 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과학 진로 희망에 직접 효과를 주고 과학 진로 희망은 과학 진로 선택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연구 가설에 가장 적합한 모형에 의하면, 과학 진로 선택에 과학 진로희망이 0.95의 직접효과를 주며, 개인적 요인이 0.75, 교육적 요인이 0.46, 사회적 요인이 0.11의 간접 효과를 주며 이들 효과가 그대로 총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진로희망에는 개인적 요인이 0.79의 직접효과 및 총 효과를 주며, 교육적 요인이 -0.21의 직접효과와 0.69의 간접효과를 합하여 0.48의 총 효과를 주고, 사회적 요인이 0.12의 직접효과 및 총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적 요인이 사회적 요인에 0.72, 교육적 요인이 개인적 요인에 0.77의 직접 효과 및 총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 학생 및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대상을 달리하여 인과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학교급별로는 전체 학생들과 경향성이 같고, 각 요인들의 영향 정도만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로는 남녀 학생의 대비가 두드러졌다. 남학생은 사회적 요인의 총 효과가 가장 크고, 그 다음이 개인적 요인, 그 다음이 교육적 요인의 순서로 나타난 데 비해, 여학생은 개인적 요인의 효과가 가장 크고 나머지 두 요인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았으며, 사회적 요인은 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상별 분석 결과로부터 각 대상의 과학진로선택과정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과학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유형 및 진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areer Choice of Male Nursing Studen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

  • 정기수;주현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7-18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career choice of male nursing student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 Methods: Subjects were 123 male nursing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B city, U city, and GN area. Care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a hospital nurse and a community nurse. Subjects were asked about 29 items of nurse image and 31 items of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chi}^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percentage of career choice which subjects hoped when admitted into nursing universities consisted of hospital nurses of 77.2%, while the percentage changed to hospital nurses of 52.8% at the time of this survey. The nurse image represented as an influencing factor, and it was found that if nurse image score increased one unit, the hoping units of career type of hospital nurse increased 2.69 times. Conclusi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to provide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information concerned to not only hospital nurses but also community nurses, and further studies on the positioning and expanding roles of community male nurses need to be conducted.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Process of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 윤진;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17-53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여,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찾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분석이 가능하도록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을 알기 위한 설문지를 문헌연구와 예비검사를 통해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등 전체 947명으로, 학년별 남녀별 학생 수는 거의 같게 구성하였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의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 분석의 결과, 이론 모형을 수정하여 자료와 잘 맞는 4가지 모형을 얻었다. 네 수정모형 모두에서,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이었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와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적합도 지수가 가장 좋은 모형에 의하면,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대하여,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은 0.82의 직접 효과와 0.21의 간접 효과를 합한 1.03의 전체효과를 주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는 과학 관련 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면서 0.65의 간접 효과를 주고,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영향을 주면서 0.79의 간접 효과를 주었다. 학교의 과학 교육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게 하려면, 과학관련 진로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다음으로는 다양한 관학관련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과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과학관련 진로선택 과정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을 더욱 포괄하는 모형의 구축이 필요하여, 연구대상을 과학고 학생들이나, 과학기술계 대학생들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려한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투입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공감능력, 사회적지지, 전공만족도가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pathy, Social Support, and Major Satisfaction on the Career Choice Commitment in Nursing Freshmen)

  • 이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569-577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공감능력, 사회적지지 및 전공만족도가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충북 1개 대학과 경북의 1개 대학의 간호학과 신입생 153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4년 6월 3일부터 6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 소요시간은 30분 정도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몰입의 설명력은 46.3%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44.71, p<001).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전공만족도(β=.50, p<.001), 공감능력(β=.25, p<.001), 대학만족 더미2(보통) (β=-.13, p=.042)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공감능력, 사회적지지, 전공만족도 외에도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추 후 반복연구를 제언하며, 간호대학 신입생 외 학년별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학년별 맞춤형 진로 탐색 및 취업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취업준비활동간의 관계연구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Career Choice facto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 한미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14-22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직업준비활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KCYPS) 중 1패널 7차년도 2016년 자료인 대학생들(2091명)을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취업준비활동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준비활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진출이 과업인 대학생들을 위하여 자아정체감의 확립 뿐만 아니라 직업선택과 취업준비활동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및 교육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하며 이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Professional Inclin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Students of India: A Study of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Career Choice Factors

  • Singh, K.P.;Chander, Haris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5-2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professional inclination, academic and social background, family status and their occupation, gender distribution, choice of work, and their perceptions of aspirant LIS students. The study examined the various career choice factors and sources of motivation that influence the students of LIS profession.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the 251 LIS students' enrolled five prominent universities of North India. The results indicate that majority of female students join the LIS profession because of employment opportunities. Most of the respondents are from rural areas, hails to middle class families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in Arts/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ubjects. Majority of the respondents choose the LIS profession as primary career because for the better employment possibilities. The study recommends the public awareness about the LIS profession in India.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tress,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 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67-8775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5월 6일부터 5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선택몰입(r=-.731, p<.001)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449,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beta}$=.99, p<.017)과 진로선택몰입(${\beta}$=-.707, p<.001)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진로선택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