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DAL PEDUNCLE LENGTH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6초

제주도 근해에서 채집된 가시우럭(Liopropoma japonicum) 후기자어의 외부형태 관찰 (Description of a Postflexion Larva Specimen of Liopropoma japonicum (Döderlein) off Jeju Island, Korea)

  • 김성;유재명;이은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685-688
    • /
    • 2004
  • The morphology of the post-larva of Liopropoma japonicum of the family serranidae is described from one specimen collected off Jeju Island ($32^{\circ}42'N,\;127^{\circ}45'E$) on May 3, 2001. The body is laterally compressed and caudal peduncle deep at 19.4 mm BL. Anus locates at a vertical through posteriormost(8th) dorsal-fin spine. Dorsal fin rays were VIII, 14; anal fin rays III, 10; pectroal fin rays 16; pelvic fin rays I, 5. A caudal fin is rounded. Length of elongate second and third dorsal-fin spines are 499% and 423% of the body length, respectively. A series of 50 sensory pores on body is elongated to caudal fin. Head spination is well developed. Melanophores are moderately large and dense in the head, and are small and rare in teh neck. Being freshly collected, the body color is yellowish-red and tail is semitransparent. The head is yellowish-red and the brain is dark-red.

왕종개 Cobitis longicorpus와 미꾸리 Misgurunus anguilicaudatus의 자연잡종에 관하여 (A natural hybrid between spinous loach, Cobitis longicorpus and cyprinid loach Misgurunus anguilicaudatus(Pices, Cobitidae))

  • 황영진;나명석;최충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3-207
    • /
    • 1995
  • 섬진강의 2차지류의 하나인 동복천에서 Cobitis longicorpus와 Misgurunus anguilicaudatus와 자연교잡종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는 개체가 발견되어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Hybrid의 형태적 특징은 눈밑에 가시가 있고 제 1반문의 위치가 짙으며, 혼서하고 있다는 점 등은 C. longicorpus의 특징이었고 체측 등쪽 반문의 특징과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 나타나는 반문, 골질반이 완만한 혹모양을 하고 있는 점은 C. longicorpus와 M. anguilicaudatus의 중간적 특징이었다. 계수형질의 결과 등지느러미 기점의 위치와 미병고에 있어서는 M. anguilicaudatus와 비슷하고 체고와 미병고/미병장의 비는 C. longicorpus와 M. anguilicaudatus의 사이 값을 나타낸 것이 특징이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계수형질의 값들은 C. longicorpus와 유사하여 상기 두 종의 hybrid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 PDF

한국산 날망둑속(屬) 3종(種) (망둑어과(科))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ree Species of Genus Gymnogobius from Korea)

  • 김영자;김종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7-247
    • /
    • 2001
  • 강원도 삼척시 호산리 호산천에서 채집된 꾹저구, 검정꾹저구, 무늬꾹저구 3종의 연령과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체장 빈도 분포 조사에 의한 성별 성장조사에서 꾹저구의 당년생 수컷이 암컷보다 컸던 경우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으나, 종간(種間)비교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꾹저구는 체장 45 mm 미만 집단이 당년생, 45~60 mm 집단이 1년생, 체장 60~80 mm 집단은 2년생, 80 mm 이상 집단은 3년생으로 추정되며 최대 체장은 105.0 mm였다. 검정꾹저구는 체장 55 mm 미만 집단이 당년생, 55~65 mm 집단은 1년생, 65~85 mm 집단은 2년생, 85 mm 이상 집단은 3년생으로 추정되며 최대 체장은 105.3 mm였다. 무늬꾹저구는 체장 40 mm 미만 집단이 당년생, 40~55 mm 집단은 1년생, 체장 55~75 mm 집단은 2년생, 체장 75 mm 이상은 3년생으로 추정되며 최대 체장은 85 mm를 넘지 않았다. 본 조사에서 만 4년생 이상되는 개체는 채집되지 않았고 암수간에 성장은 비슷하였다. 3종(種) 중 검정꾹저구가 모든 연령에서 다른 2종보다 성장이 약 5~10 mm 더 빨랐던 반면, 무늬꾹저구는 가장 느린 성장을 나타내었다 (p<0.0001). 체장의 성장에 따른 몸 부위의 형태적 변화를 공분산분석으로 비교검토해 본 결과, 종간(種間) 차이가 인정된 형질은 체고, 두장, 미병고, 상악장, 배지느러미의 길이였다. 즉, 꾹저구는 두장과 배지느러 길이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장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고 검정꾹저구는 체고, 미병고, 상악장의 형질에서 가장 빠른 성장을 한 반면, 무늬꾹저구는 5개의 형질 모두 가장 느린 성장을 하였다.

  • PDF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I 연어, oncorhynchus keta의 성별 형태 차이 (Morphological study of Oncorhynchus spp.(Pisces : Salmonidae) in Korea- III. Sexual dimorphism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명정구;홍경표;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5
    • /
    • 1993
  • 1990년 성숙한 연어의 성별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은 연장되고 휘어진 턱을 가지고 있으며 턱 위에 강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 두장에 대한 주둥이의 길이와 위턱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반면 두장에 대한 안경과 뺨은 수컷이 암컷보다 작았다. 표준체장(PBL)에 대한 체고, 미병고, 등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 길이는 모두 수컷이 컸다. 각 지느러미 줄기수, 새파수와 유문수의 수는 암수 차이가 없었으나 측선비늘수와 미추골수는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두개골 중 인설골과 서골의 형태는 암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상사골의 길이에 대한 폭의 비값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부설골의 앞 뒤돌기 비값은 암컷이 수컷보다 컸다.

  • PDF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의 자연 종간잡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notatus and R. ocellatus)

  • 윤봉한;성무성;김용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7-166
    • /
    • 2021
  •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 간의 자연 잡종으로 추정되는 3개체를 충청남도 아산시 좌부동 곡교천의 지류인 온양천 일대에서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부모종을 명확히 판별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및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연 잡종 3개체의 체색은 등 쪽이 연한 녹갈색으로 떡납줄갱이의 연한 갈색과 흰줄납줄개의 진한 녹갈색의 중간 색상이었고, 등지느러미 앞쪽 상단 및 뒷지느러미 바깥 가장자리에 붉은색을 나타내는 면적은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중간 크기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부모종 간의 중간형질을 나타냈다. 계측 및 계수형질의 경우, 자연 잡종은 체장에 대한 가슴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와 두장에 대한 문장의 비, 양안 간격의 비, 미병장의 비, 미병고의 비 그리고 종렬비늘수 등에서 이들의 고유한 형질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핵 DNA의 rag1 유전자 영역에서 자연 잡종 3개체는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모두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b 유전자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도에서는 떡납줄갱이와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연 잡종 추정 개체들은 암컷 떡납줄갱이와 수컷 흰줄납줄개 간의 종간 잡종으로 판별되었다.

한국산 육각복과(Aracanidae) 어류 1미기록종, 황줄육각복(Kentrocapros flavofasciatus) (Kamohara, 1938) (New Record of Kentrocapros flavofasciatus (Kamohara, 1938) (Tetraodontiformes: Aracanidae) in Korea)

  • 김경무;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89-593
    • /
    • 2017
  • A single specimen of Kentrocapros flavofasciatus (measuring 145.9 mm in length) belonging to the family Aracanidae, order Tetraodontiformes, wa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in 2017 on Jeju Island, Korea. This specimen had isolated bony plates on a caudal peduncle, a carapace with six ridges, and a tail depth equal to its tail length. It is similar to K. aculeatus and K. rosapinto but differs from K. aculeatus in that its carapace is without spines; it differs from K. rosapinto in that the anterior end of its gill opening does not reach below the center of its eye. We propose new Korean names: Yug-gak-bok-gwa for the family Aracanidae, and Hwang-Jul-yug-gak-bok for the species K. flavofasciatus.

Comparis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the tiger puffer, T. rubripes, their hybrids, and their triploid hybrids

  • Park, In-Seok;Oh, Ji Su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6-15
    • /
    • 2021
  • Various biometric and geometric measures were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the morphologically similar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tiger puffer, T. rubripes, their hybrids, and their triploid hybrids. The hybrids and triploid hybrids had greater anal fin width, nostril width, and snout length than the parental species (p<0.05). However, they had less caudal peduncle depth, inter-orbital width, head length, and head width(p<0.05). The morphometric and meristic characteristics of the hybrids and triploid hybrids were either intermediate between the parental species or more similar to those of one parental species. However, the external morphology of the hybrids and triploid hybrids was predominantly maternal. The triploid hybrids had asymmetry in the fin rays and gill raker numbers. This study identified phenotypic characteristics by distinguishing the morphological variables of river puffer, tiger puffer, their hybrids, and their triploid hybrids.

가다랑어 (Katsuwonus pelamis) 자어의 국내 출현 (Occurrence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larvae in Korean waters)

  • 윤상철;정연규;지환성;신아리;김장근;최광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1호
    • /
    • pp.79-85
    • /
    • 2015
  • Three specimens of larvae (5.2~7.8 mm in standard length (SL)), of the family Scombridae,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eastern waters off Jeju Island in August, 2014. These specimens were identified to Katsuwonus pelamis have melanophores distributed on the 1st dorsal-fin spines and post ventral margin on caudal peduncle. An analysis of the cytochrome oxidase submit I (COI) sequences (652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showed that our specimens must be K. pelamis, because their sequences were concordant with those of the adult K. pelamis (genetic distance= 0.000~0.002), followed by Auxis rochei (genetic distance= 0.061~0.063) and Euthynnus affinis (genetic distance= 0.077~0.079). During the larval stage, K. pelamis differed from Thunnus spp. species in melanophores distribution period of 1st dorsal-fin spines, lower jaws and ventral margin on caudal peduncle. In conclusion, occurrence of K. pelamis larvae means Korean waters are potential spawning ground of K. pelamis.

제주도 남부 해역에서 채집된 Ptereleotris evides (망둑어목: 청황문절과) 한국 첫기록 (First Record of Ptereleotris evides (Gobiiformes: Microdesmidae) from the Southern Jejudo Island, Korea)

  • 임민영;권혁준;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69-574
    • /
    • 2023
  • A single specimen (30.35 mm standard length) of Ptereleotris evides wa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Jejudo Island, Korea, in September 2017 during a skin diving outing. Ptereleotris evid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lightly elongated body, six spines on the 1st dorsal fin, one spine and 25 soft rays on the 2nd dorsal fin, 22 pectoral fin rays, one spine and four soft rays on the pelvic fin, one spine and 25 soft rays on the anal fin, and no disc in pelvic fin. This species differs from the congeneric species, P. hanae and P. heteroptera in having no elongated rays on the caudal fin and a black spot at the ventral margin of the caudal peduncle, respectively. Molecular analysis results based on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showed that our specimen almost corresponded to P. evides (99.82%) sequences from registered at the NCBI. A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evides in Korean waters,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for it, "Ga-mak-cheong-hwang-mun-jeol".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산란습성, 난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Spawning Behavior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Nake-Headed Goby, Favonigobius gymnauchen (Bleeker))

  • 진동수;한경호;박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6-143
    • /
    • 2003
  • The eggs of Favonigobius gymnauchen attached on the under side of a small stone were collected off Seongsan-eup Cheju-do in August, 2000 to investigate their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s. The fertilized eggs were elliptical in shape (mean long axis: 1.50 mm; mean short axis: 0.57 mm) and transparent. There were filaments on one side of the egg membrane. Larvae hatched at 48 hrs 50 mins after morula stage with 25-26 myotomes in $22.8-28.5^{\circ}C\;(mean\;24.7^{\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2.31-2.49 mm (mean 2.37 mm n=10) in total length (TL) and their mouth and anus were already opened. Their melanophores were appeared on the over gas globule, around anus and the part of caudal peduncle with 24-25 myotomes. At 4-5 days after hatching. larvae attained 3.81-4.07 mm (mean 3.96 mm, n=10) in TL and their yolk sac was completely absorbed. They began to eat rotifer and transformed to postlarvae stage. At 14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attained 6.17-6.31 mm (mean 6.21 mm, n=10) in TL and their caudal notocord was flexed $45^{\circ}$ upward. At 24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attained 8.69-9.10 mm (mean 8.87 mm, n=10) in TL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All fins were formed with the complete set of fin rays with the following counts: dorsal fin rays IV-I, 9-10; anal fin rays I, 9; pectoral fin rays 17; ventral fin rays: I, 5; caudal fin rays: 9+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