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y work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미용분야 종사자의 직업소명이 직무만족과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vocation of beauty worker on job satisfaction and self-development)

  • 홍수남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9-98
    • /
    • 2020
  • The survey targeted 270 men and women in their from their 20s-50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vocation of beauty worker on job satisfaction and self-development.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rom January 5th to March 10th, 2020, and 243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27 unanswered or unfaithful questionnaires were disregarded. Using SPSS WIN 21.0 was appli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Firs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For validity verification,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on examining the hypothesis that vo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was shown,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determined vo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job satisfaction for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Second, upon examining the hypothesis that vo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self- development,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lf-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and job satisfaction. Third, upon examining the hypothesis that occupational vo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self- development,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lf-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of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뷰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 이종숙;정명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5-11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185 beauty workers.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main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perceived by beauty work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Second, job stress perceived by beauty work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burnout felt by beauty work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job stress and burnout should be low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and in particular, job stress must effectively be lower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job stress is a determinant that increases burnout and reduces job satisfaction. A method must be discovered to achieve this end.

미용업 종사자의 작업환경과 보건·안전 의식 분석 (Aanalysis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safety awareness of beauty workers)

  • 주명원;김성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25-1731
    • /
    • 2015
  •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들이 미용작업장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건강 위해 요인와 미용작업장 내의 사고와 사건을 예방할 수 있는 위험성평가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종사자의 보건 안전 의식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의 약 60%가 피부계, 호흡계, 근육계의 건강 위해 요인에 노출되어 작업을 하고 있었으며, 미용작업장 내에서 위험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이에 대한 실제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종사자의 근무 업종과 작업장 내의 위험성평가 실태에 따른 보건안전 의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작업장에 오가는 불특정 다수인과 종사자를 위한 보건 안전표준화 관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용서비스업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 박선주;정혜림;안미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5-113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employee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nd the consequenc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job stress of beauty employe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beauty service industry's problems and present marketing implications. First, it was found that employees' job stres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harmed job satisfaction. Beauty workers with a high job satisfaction increase the quality of service for customers, which can increase the customer's store loyalty, helping the beauty service industry's work performance, thereby further increasing job satisfaction by reducing job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job stres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harm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the more sense of belonging is created, which in turn can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and reduce the turnover r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reducing beauty workers' job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related to the beauty worker's current job satisfaction, current salary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boss, satisfaction with the work environment, and passion for the job,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직무열의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un Factors of Beauty Workers on the Attitude of Job and Self-Efficiency)

  • 강세령;이영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79-2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직무열의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뷰티종사자 3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 각 요인별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재미요인, 직무열의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직무열의에 미쳤다. 둘째, 뷰티종사자의 재미요인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열의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행동루틴이 서비스수행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eauty Service Worker's Behavioral Routines on Service Performance and Work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유지은;유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213-122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서비스 종사자들의 행동 루틴이 서비스수행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 소재 뷰티 소비자 311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및 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행동 루틴은 자기효능감, 서비스수행, 업무성과에 모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은 서비스수행 및 업무성과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행동 루틴과 서비스수행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미용종사자의 업무가치감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Val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Service Productivity Through Job Satisfaction)

  • 서선민;고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78-289
    • /
    • 2022
  •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업무가치감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서비스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시한 결과는 업무가치감이 높고,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생산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치충족인식, 내재적만족, 업무가치인식, 자기가치인식, 외재적 만족이 높을수록 서비스생산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용종사자의 업무가치감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Z|=15.057로 Z값이 1.96보다 큰 값을 보여 sobel test에서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용종사들이 스스로 자신의 업무가 의미있고, 가치 있으면 보람되다고 인지할 수 있도록 내적동기를 상승시키고 일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 내재적 직무만족을 향상시킴으로서 서비스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미용서비스교육이 헤어미용종사자의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air Beauty Service Employees -using leadership of chief managers as a mediator)

  • 서선민;고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16-327
    • /
    • 2022
  •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교육이 미용종사자의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첫 번째, 서비스교육훈련,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교육훈련은 직무성과와, 고객지향성은 서비스교육훈련과 직무성과는 서비스교육훈련과 가장 높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서비스교육훈련은 고객지향성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교육훈련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서비스교육훈련과 고객지향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객지향성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 서비스교육훈련의 하위요인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강사가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용종사자들의 교육환경과 강사진, 교육내용이 좋을수록 고객지향적인 서비스가 높게 나타나 충성도 높은 고객의 창출로 이어지며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블랙컨슈머 행동지각이 미용 종사자의 분노표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ack consumers' perception of behavior on beauty workers' anger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 윤수미;최묘선;서은희;윤미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83-19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랙컨슈머 행동지각이 미용종사자의 분노표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지역 뷰티 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 2021년 11월 1일부터 2022년 1월 31까지 3개월 동안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392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이해하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고,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블랙컨슈머의 과도성과 억지성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분노표출과 분노조절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컨슈머의 과도한 문제제기나 억지성 서비스에 대한 근절방법이 필요하며, 조직원들의 올바른 고객응대 방법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respiratory symptoms of nail shop workers

  • Kim, Jung-ae;Kim, Su-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24-34
    • /
    • 2017
  • Nail art is a kind of nail painting or decoration that adds to the beauty. Throughout making nail art, the worker was on a dusty operation with the smoothing of chemicals and nails. People working at nail shops not only use a variety of chemicals, but also experience a lot of fine powder during the process of nail trimmings. While drying the chemical adhesive, the workers often complain of eye, nose and throat discomfort. In addition, the acrylic brush is characterized by a lot of smell when washed with washing solution. Also nail art workers directly influence the worker's breathing through the work done by placing the guest's hands in a work space called a nail table. Chemical ingredients used in nail art procedures include acetone, ethyl acetic acid, toluene, butyl acetic acid, glue, and top coating of nail varnishes. Prolonged inhalation of these substances may cause dizziness, vomiting, as well as impaired respirator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piratory symptoms of nail shop workers who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work in nail shop and to find out which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f they have respiratory symptoms.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health management system of people engaged in nail shop and to develop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on July 7, 2017 for the nail shop workers attending the nail art trend seminar held in Gwangju, in Korea. The data were all 236. However, except for the poor data, 208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0 in general questions, questions about self-efficacy in 24 questions. elf-efficacy measuring tool developed by A.Y, Kim, I. Y, Park(2001). The self-efficacy questionnaire consists of 24 items and is self-reported 7-point Likert scale. The reliability of this tool was cronbach alpha = .934.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Information of Research participant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self-efficacy, $X^2$ analysis was conducted. And also $X^2$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ughing symptom appearance according to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which of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d cough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