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Nitrogen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재래식 메주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Meju)

  • 최기순;이호준;권동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7-222
    • /
    • 2009
  • 재래식 메주의 산업화의 공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를 비롯한 전국 17개 지역에서 구입한 재래식 메주의 수분 등의 이화학적 성분, $\alpha$-amylase 등의 효소분석 및 생균수 등의 미생물 분석을 하였다. 전국에서 구입한 메주의 형태는 사각형의 벽돌 모양이 8개 지역, 9개지역은 둥근 모양을 띄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수분은 강원도 정선 메주가 최저 9.83%(w/w)인 반면 전북 정읍메주가 약 3.7배 많은 36.24%(w/w)를 나타내고 있었다. 조지방의 경우 무수물 기준으로 충북 청주에서 구입한 재래식 메주가 17.46%(w/w)로 가장 낮은 반면 전북 정읍에서 구입한 메주가 약 1.6배 많은 28.74%(w/w)를 나타내고 있었다. 조단백질의 경우 경기도 여주에서 구입한 메주가 무수물 기준으로 최저 42.00%(w/w)를 보인 반면 강원도 원주에서 구입한 메주가 45.54%(w/w)를 보이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숙성도를 나타내는 아미노태질소는 충북 제천시에서 구입한 메주가 무수물 기준으로 223.65 mg%인 반면 전북 김제의 메주가 약 5.6배 많은 1137.68 mg%를 나타내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전북 김제에서 구입한 메주가 가장 어두운 색을 띄고 있어 기호도 측면에서 낮은 면을 보이고 있었다. 재래식 메주의 $\alpha$-amylase는 무수물 기준으로 $130.32{\sim}1254.45$ unit로 지역간에 약 9.6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beta$-amylase는 무수물 기준으로 $30.07{\sim}167.88$ unit로 지역에 따라 약 5.6배의 차이가 나고 있었다. 산성 protease는 무수물 기준으로 $72.53{\sim}340.04$ unit로 약 4.6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효소의 역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식 메주의 생균수는 $4.8{\times}10^7{\sim}2.6{\times}10^{10}cfu/g$, 곰팡이 및 효모수는 $4.3{\times}10^4{\sim}7.9{\times}10^6cfu/g$으로 지역에 따라 메주의 균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호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숙성 중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Pumpkin-added Kochujang)

  • 주종재;신현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51-859
    • /
    • 2000
  • 순창식 식혜고추장의 담금 과정에서 식혜액 제조시 찹쌀의 일부를 건조완숙호박으로 대체하여(고추장 총 무게비로 1, 2, 5% 수준) 제조한 고추장을 $25^{\circ}C$에서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그리고 효소활성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관능적특성은 숙성 120일째에 조사하였다. 숙성 중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pH는 담금 초기부터 서서히 감소하다가 숙성 90일에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후 다시 감소하였다. 적정산도는 숙성 중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90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다가 숙성 12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호박 첨가에 의해 고추장의 pH는 낮아지고 적정산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호박중의 유기산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숙성이 진행되는 동안 환원당 함량은 계속 증가하여 숙성 120일에는 대조구가 20.82%, 1% 호박첨가구가 21.34%, 2% 호박첨가구가 22.73% 그리고 5% 호박첨가구가 24.48%로 분석되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기간 중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120일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환원당과 아미노태 질소는 호박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며, 에탄올 함량도 호박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효모수나 세균수 그리고 효소 활성도는 호박 첨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관능적 특성에 있어 호박첨가는 고추장의 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냄새, 구수한 맛, 매운맛, 단맛, 짠맛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항목에서는 대조구, 1% 호박첨가구, 2% 호박첨가구 그리고 5% 호박첨가구 사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단맛의 경우에는 호박첨가량에 비례적하여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구수한 맛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호박첨가량이 낮은 수준에서는 오히려 대조구에 비해 낮게 평가되는 등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예상과는 달리 고추장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호박첨가에 의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 PDF

인진쑥 첨가사료를 급여한 흑우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lack Cattle-Fed Mugwort)

  • 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87-594
    • /
    • 2012
  • 본 연구는 인진쑥을 첨가한 TMR 사료가 흑우육의 이화학적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흑우육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인진쑥을 첨가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reatment)은 비육우 사료에 인진쑥을 첨가하였다. 총 catechin 함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이 각각 0.262 및 0.379 mg/kg, epicatechin은 각각 0.042 및 0.059 mg/kg으로 급여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 <0.05). 적색도($a^*$)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p$ <0.05) 명도($L^*$) 및 황색도($b^*$)는 급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pH, VBN 함량 및 총균수는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BARS는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고, EDA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보수력, 동결감량, 해동감량 및 가열감량은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도 및 검성은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탄성은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다($p$ <0.05). 그러나 응집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육의 색깔 및 향, 가열육의 맛,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진쑥의 급여로 항산화 물질이 축적되어 흑우육의 색깔이 개선되고,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능성 고품질 흑우육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의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통계학적인 방법과 왕겨를 기질로 사용하여 해양에서 분리한 Bacillus licheniformis LBH-52 를 사용한 carboxymethylcellualse의 생산조건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for Production of Carboxymethylcellulase from Rice Hulls by a Newly Isolated Marine Microorganism Bacillus licheniformis LBH-52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 김혜진;고와;정정한;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083-1093
    • /
    • 2011
  • 왕겨를 기질로 사용하여 carboxymethylcellualse (CMC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해수에서 분리하였으며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lichemiformis로 확인되었다. CMC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탄소원과 질소원은 왕겨와 암모니움 나이트레이트이었다. 통계학적인 방법인 response surface method (RSM)을 사용하여 CMCase를 생산하기 위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 결과, 왕겨가 균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왕겨와 배지의 초기 pH가 CMCase 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Design Expert Software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균체의 생장에 최적인 조건은 48.7 g/l 왕겨, 1.8 g/l 암모니움 나이트레이트, 배지의 초기 pH 6.8 및 배양온도 35.7$^{\circ}C$이었으나, CMCase의 생산에 최적인 조건은 43.2 g/l 왕겨, 1.1 g/l 암모니움 나이트레이트, 배지의 초기 pH 6.8 및 배양온도 35.7$^{\circ}C$이었다. 최적화된 조건에서 왕겨를 기질로 사용하여 B. lincheniformis LBH-52가 생산하는 CMCase는 79.6 U/ml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왕겨와 암모니움 나이트레이트를 CMCase를 생산하는 기질로 개발하였으며, 해수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사용하여 생산기간을 3일로 단축하였다.

쑥 분말 첨가가 돼지고기 수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 정인철;문윤희;강세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22
    • /
    • 2004
  • 규격돈의 비육돈육(B 등급육)에 0.3%의 쑥 분말을 첨가한 수육(B$_{+}$ 수육)과 첨가하지 않은 수육(B$_{0}$ 수육), 그리고 종빈돈에서 생산된 육(E 등급육)에 쑥 분말을 첨가한 수육(E$_{+}$ 수육)과 첨가하지 않은 수육(B$_{0}$ 수육)을 제조하고, 도체등급과 쑥 분말이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육의 pH,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 일반세균 수, 열량, 필수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조성, 황색도, 종합적 기호도는 원료육의 등급과 쑥 분말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B$_{0}$수육의 보수력, 탄성 및 명도는 E$_{0}$ 수육보다 높았다(p<0.05). B$_{0}$ 수육의 적색도는 E$_{0}$수육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B$_{0}$ 수육의 맛과 연도는 E$_{0}$ 수육보다 현저히 우수하였다(p<0.05). 쑥 분말 첨가에 의하여 수육의 보수력, TBARS 값 및 아질산이온 잔류량이 낮아졌다.

우유와 두유에서 Bifidobacterium longum ATCC 15707의 성장촉진인자 및 ${\alpha},\;{\beta}$ Galactosidase의 활성에 관한 연구 (Growth Factors and ${\alpha},\;{\beta}$ Galactosidase Activities of Bifidobacterium longum ATCC 15707 in Milk and Soymilk)

  • 최소영;김유경;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87-99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Bifidobacterium을 우유와 두유에 접종하여 $37^{\circ}C$에서 발효 특성, 적정 발효 기간 및 효율적인 증식을 위한 생육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pH, 산도, glucose함량, 생균수, ${\alpha}-galactosidase$활성 그리고 ${\beta}-galactosidase$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37^{\circ}C$에서 일반 발효 특성을 측정했을 때 48시간동안 우유의 발효는 pH의 감소와 산 생성의 증가는 현저한 반면, 세포 증식을 24시간동안 증가하였으나 남은 24시간동안은 감소를 보였다. 또한 효소 반응은 ${\beta}-galactosidase$ 활성이 높은 반면, ${\alpha}-galactosidase$는 비교적 낮았으며 glucose 함량은 세포 증식기에 높았다. 두유의 경우는 우유에 비해 pH의 감소가 큰 반면 적정산도 증가는 비슷하였다. 세포 증식은 발효 2일동안 이루어졌으며, ${\alpha}-,\;{\beta}-galactosidase$ 모두 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glucose 함량도 1일 동안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또한 적정 발효기간은 발효유는 24-36시간, 발효 두유는 약 24시간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Bifidobacterium의 성장 촉진 인자의 영향을 발효 시간에 따른 pH와 생균수 변화로 조사한 결과, 두유에서는 fucosyllactose, 그리고 우유에서는 발효 초기에 L-cysteine·HCl, 발효 진행중에는 fucosyllactose가 효과적인 생육 인자로 작용하였다.

  • PDF

중국 내 시판 한식 장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orean Types of Fermented Soybean Sauces in China)

  • 이선영;백수화;안유진;송진;김재현;최혜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96-800
    • /
    • 2013
  • 콩을 이용한 발효식품인 장류는 한국, 중국 및 일본을 중심으로 이용되는 조미료로서 중요할 뿐 아니라 단백질의 급원으로 이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중국 시중에 판매되는 장류 13종를 수집하여 pH, 염도, 수분, 미생물 수, 아미노태 질소, protease, amylase 활성을 분석하였다. 중국 장류 시료의 pH는 pH 5.17-6.86, 염도는 8.0-23.0 % 함량을 나타내었고, 수분함량은 된장(52.55-70.40%), 쌈장(50.36%), 고추장(46.44-56.41%), 간장(68.63%)으로 분석되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된장(309.72-736.46 mg%) 함량을 나타내었고, 쌈장(284.69 mg%), 고추장(199.18-235.54 mg%), 간장(660.53 mg%)함량을 나타내었다. 일반 세균수는 4.83-7.89 Log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대장균 군의 경우, CNH-2 (2.31 Log CFU/g)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균 수는 된장은 CND-5, 6을 제외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2.00-4.09 Log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고추장은 2.45-2.50 Log CFU/g이 검출되었으며, 쌈장과 간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Protease활성은 된장(547.86-781.36 unit/g), 쌈장(470.67 unit/g), 고추장(379.02-637.80 unit/g), 간장(532.47 unit/g) 활성을 나타내었다. Amylase활성은 된장(5.29-63.27 unit/g), 쌈장(33.60 unit/g)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를 통해 장류의 품질특성은 원료, 염도 및 다양한 발효미생물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판매 및 소비되는 한식 장류의 품질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냉장 온도에서 생육, 습식숙성육, 건식숙성육의 저장 안전성 (Storage Stability of Raw Beef, Dry-Aging Beef, and Wet-Aging Beef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 안설빈;황선혜;조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0-176
    • /
    • 2020
  • 생육, 습식 숙성육, 건식 숙성육을 종류별 3종을 구입하여 냉장 상태로 보관하면서 pH, 휘발성 염기질소(VBN), 미생물 정량, 우점균을 분석하였다. 초기 생육, 건식 숙성육의 중온균은 3.3-3.9 Log CFU/g, 습식 숙성육은 경우 5.4 Log CFU/g 이였으나, 냉장으로 18일 보관 후 생육과 건식 숙성육에 존재하는 중온균은 6.1-6.4 Log CFU/g로 증가하였다. 습식 숙성육의 경우 Lactic acid bacteria (LAB)는 냉장 보관시 4.5-6.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나, 건식숙성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온균, 저온균, LAB, 효모 및 곰팡이 수가 증가하였으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육의 오염 및 부패 판단은 7 Log CFU/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12일 이상 냉장 보관하였을 경우 6-7 Log CFU/g으로 기준을 초과하였다. 이 때 VBN이 평균 15 mg%으로 부패의 초기 단계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냉장 보관에 따른 우점 미생물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냈다. 생육에서는 초기 우점균으로 S. saprophyticus가 분석되었으나, VBN이 증가함에 따라 Carnobacterium divergens가 우점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습식 숙성육에서 Carnobacterium divergen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 미생물로 분석되었으나, 이후 Lactobacillus sakei가 우점균으로 분석되었다. 건식 숙성육의 경우 Dermacoccus nishinomiyaensi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하였으나 이후 Pseudomonas fragi가 우점균으로 변화하였다. 부패의 초기 단계에서 특정 박테리아의 역할 외에도 부패, 향기 분석 및 숙성 육류의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숙성 육류의 안전한 유통 및 보관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ombined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Organic Acid Salts (Sodium Acetate and Calcium Lactate)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Hanwoo Ground Beef Patties

  • Muhlisin, Muhlisin;Kang, Sun-Moon;Choi, Won-Hee;Lee, Keun-Taik;Cheong, Sung-Hee;Lee, Sung-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5-694
    • /
    • 201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mbined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and organic acid salts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Hanwoo ground beef patties. The ground beef containing 500 ppm of ascorbic acid was prepared with air-packaging (Air-P), high oxygen-MAP (70% $O_2$+30% $CO_2$/OxyMAP), and nitrogen-MAP (100% $N_2$/NitroMAP), in combination with organic acid salts (1500 ppm of sodium acetate and 500 ppm of calcium lactate). The samples were stored for 11 d at $5^{\circ}C$. The pH value of ground beef patties de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the treatments. The ground beef patties with organic acid salt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pH during storage compared with non-added patties (p<0.05). Lipid oxidation was accelerated in OxyMAP while it was delayed in NitroMAP treated with organic acid salts. Nitro-MAP treated with organic acid salts was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lightness (CIE $L^*$) and redness (CIE $a^*$) during storage. Oxygen content in MAP was shown to be a more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lor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ground beef than organic acid salts. The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l counts were reduced both in OxyMAP and NitroMAP (p<0.05),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was inhibited by Oxy-MAP (p<0.05). Coliform bacteria decreased during storage as pH value was decreased in all treatments.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 ground beef patties in NitroMAP showed the best quality among all treatments during storage. Therefore, Hanwoo ground beef patties added with sodium acetate and calcium lactate and packed with NitroMAP showed better quality characteristics than other treatments. This packaging method is recommended and could be utilized for packaging hanwoo ground beef patties for improving quality and extending shelf-life.

Polyester 감량폐수 중에 존재하는 Ethylene Glycol과 Terephthalic Acid를 분해하는 Bacteria 균주들의 성장특성과 최적 배양조건 (Growth Characteristics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Bacterial Strains Degrading Ethylene Glycol and Terephthalic Acid in Polyester Weight Loss Wastewater)

  • 김정목;김재훈조무환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56-163
    • /
    • 1993
  • Polyester 감량폐수의 주성분인 EG,TPA분해균을 분리하여 각각 Pseudomonas sp.로 동정하여 Pseudomonas sp. EAW, Pseudomonas sp. TS2로 명명하였다. 이 두 균주의 최적 배양조건은 pH 7.5, 온도 $35^{\circ}C$ 및 질소원은 ${(NH_4)}_2SO_4$ 이며, Strain EAW의 경우 niacin과 biotin, Strain TS2의 경우 $Na_2MoO_4{\cdot}2H_2O$와 thiamine이 각 균주의 성장과 분해율에 약간씩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rain EAW는 접종량의 증가에 따라서 성장 및 EG의 분해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Strain TS2의 경우는 접종량이 증가하여도 성장 및 분해율이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rich-medium에 계대배양한 각 균을 EG, T TPA액체배지에 접종하였을 때 계대배양의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Strain EAW가 Strain TS2보다 성장 및 분해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제 폐수에서 균들의 성장 및 분해율이 분리용 배지의 경우 보다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EG, TPA 는 배양 48hr 후 $COD_{Mn}\;and\;COD_{Cr}$의 제거율은 89% 와 93%로 각각 나타났다. 회분배양시 EG,TPA의 초기농도가 25g/L 이상에서는 각 균주의 비성장속도가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