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acterial study

검색결과 1,664건 처리시간 0.038초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로 발효시킨 프레쉬 치즈의 항리스테리아 활성 (Antilisterial activity of fresh cheese fermented by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 임은서;이은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07-418
    • /
    • 2015
  • 본 연구는 백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aracasei BK57의 항균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 조건을 검색하고, BK57 유산균으로 프레쉬 치즈를 제조한 후 균주의 활성과 유산 및 박테리오신 생산량을 측정하여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569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최대의 균 증식과 항균 물질 생산량은 pH 6.0으로 조정한 MRS broth에서 $37^{\circ}C$, 24시간 동안 호기적인 조건으로 배양했을 때 나타났다. 하지만, 효모추출물(2.0%)을 첨가한 전유 내에서 생성된 항균물질의 양과 유산균의 증식률은 MRS broth에서 보다는 다소 낮았다. 우유 내에서 L. monocytogenes의 저해율은 BK57 균주의 생균과 배양 상등액에 의해 높게 나타났으나,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한 저해율은 우유 보다는 BHI broth 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BK57 균주로 발효시킨 프레쉬 치즈를 $4^{\circ}C$$15^{\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수, 유산 생성량 및 박테리오신 활성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제조 직 후 프레쉬 치즈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L. monocytogenes ($10^5CFU/ml$)의 균수는 각각의 온도대에서 6일 이내에 최소 15% 이상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BK57 균주를 발효유제품 제조에 이용할 경우 리스테리아균을 제어할 수 있는 생물학적 보존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황색포도알균과 표피포도알균에 대한 포토프린과 라다클로린의 광역학 효과 (Photodynamic effect of Photofrin and Radachlorin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 서충원;류재기;권필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07-41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광감작제인 라다클로린과 포토프린을 발광다이오드에 접목하여 포도알균의 광역학치료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황색포도알균이나 표피포도알균의 $1{\times}10^5CFU/ml$이 되게 균주부유액을 준비하였고, 광감작제(포토프린 또는 라다클로린)를 1.25, 2.5, 5, $10{\mu}g/ml$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균주희석액은 에너지밀도 각각 $14.4J/cm^2$$19.8J/cm^2$로 630 또는 670 파장 발광다이오드 빛을 조사하였다. 황색포도알균과 표피포도알균의 집락형성수는 포토프린 $5{\mu}g/ml$ 농도에서 33, 50개의 집락이 각각 형성되었고, 두 세균 모두 라다클로린 $5{\mu}g/ml$ 농도에서는 완전한 살균을 나타냈다. 유세포분석에 의한 형광강도는 정상세포보다 죽은세포에서 증가를 보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의 사진에서는 세포막의 손상과 부분적으로 세포형태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이 결과로 포토프린과 라다클로린을 이용한 광역학치료는 항균치료의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의한다.

깍두기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 제조한 사워도우의 기능성 평가 (Functional evaluation of sourdough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liced radish kimchi)

  • 임은서;김영목;이은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80-1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깍두기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사워도우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균주는 99%의 상동성을 가진 Leuconostoc dextranicum SRK03, Lactobacillus brevis SRK15, Pediococcus halophilus SRK22, Lactobacillus acidophilus SRK30, Lactobacillus plantarum SRK38, Leuconostoc citreum SRK 42 및 Lactobacillus delbrueckii SRK60으로 동정되었다. L. dextranicum SRK03, L. acidophilus SRK30, L. plantarum SRK38 혹은 L. delbreckii SRK60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246을 혼합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사워도우의 유산균과 효모수는 각각 $10^9$$10^7CFU/g$이었으며, 특히 L. dextranicum SRK03으로 제조한 사워도우는 L. acidophilus SRK30, L. plantarum SRK38 및 L. delbreckii SRK60 보다 유의하게 높은 총 산도와 에탄올 및 세포 외 다당류 함량을 나타내었다. L. dextranicum SRK03 및 L. acidophilus SRK30으로 제조한 사워도우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지의 과산화 억제능도 높았다. 게다가 L. acidophilus SRK30이 생산한 유기산과 박테리오신에 의해 $25^{\circ}C$에서 5일간 저장하는 동안 사워도우 내 Bacillus cereus ATCC 11778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의 균수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유지되었다.

패모(Fritillaria thunbergii Miquel)의 항균,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uel)

  • 신용규;장한수;김지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45-1250
    • /
    • 2009
  • 패모는 한국, 일본, 중국 지역에 분포하는 백합과 인경식물로 오래전부터 진해, 거담제 및 편도염, 기관지염에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기내배양, 휴면타파, 성분분석에 대한 연구와 달리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모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패모의 메탄을 추출물은 다량의 수용성 당을 포함하고 있으며(물 잔류물 58.98%), 지용성 오일도 상당량 포함하였다(헥산 분획물 14.85%). 항균활성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 $500{\mu}g$/disc에서 E. coli를 제외한 실험세균 모두에서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항진균 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항혈전 활성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우수하였으며, 헥산, 에틸아세테 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은 2.4 mg/ml 농도에서 모두 300초 이상의 연장된 트름빈 타임을 나타내었고,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1.2 mg/ml 농도에서 95.4초를 나타내어 항혈전제인 아스피린 활성과 유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이 368.2 및 $344.0{\mu}g$/ml의 $IC_{50}$를 나타내어 우수한 DPPH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55{\sim}63%$로, vitamin C의 20-25%, 환원력의 경우 BHT의 51-54%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항고혈압 활성을 가진 식물유래 젖산균의 생균제 특성 (Probiotic Potential of Plant-Derived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hypertensive Activity)

  • 이예람;손용준;박수연;장은영;유지연;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89-798
    • /
    • 2016
  •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industrially important microorganisms for probiotics. The recent widespread application of LAB for preparation of functional food is attributable to the accumulating scientific evidence showing their beneficial effects on human health.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plant-derived LAB that show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selected strain K2 was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by 16S rRNA gene analysis. The strain grew under static and shaking culture systems. They were also able to grow in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like $25^{\circ}C{\sim}37^{\circ}C$ temperature, 4~10 pH range and ~6% NaCl concentration. L. plantarum K2 was highly resistant to acid stress; survival rate of the strain at pH 2.5 and 3 were 80% and 91.6%, respectively. The strain K2 also showed high bile resistance to 0.3% bile bovine and 0.3% bile extract with more than 74% of survival rate. The cell grown on MRS agar plate containing bile extract formed opaque precipitate zones around the colonies, indicating they have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The strain showed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ntibacterial activity was probably due to the lactic acid. The K2 strain showed relatively higher autoaggregation values, antihypertens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K2 could be not only applied as a pharmabiotic for human health but also is also starter culture applicable to fermentative products.

The Effects of Hydroxyapatite-Chitosan Membrane on Bone Regeneration in Rat Calvarial Defects

  • Shin, Jung-A;Choi, Jung-Yoo;Kim, Sung-Tae;Kim, Chang-Sung;Lee, Yong-Keun;Cho, Kyoo-Sung;Chai, Jung-Kiu;Kim, Chong-Kwa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sup2호
    • /
    • pp.213-222
    • /
    • 2009
  • Purpose: Recently, interest in chitosan has increased due to its excellent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biocompatibility, antibacterial effect, and rapid healing capacity. On the other hand, hydroxyapatite is used as a bone substitute in the fields of orthopedics and dentistry. The hydroxyapatite-chitosan (HA-CS) complex containing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was developed for synergy of both biomateri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ydroxyapatite (HA)-chitosan (CS) membrane on bone regeneration in the rat calvarial defect. Methods: Eight-millimeter critical-sized calvarial defects were created in 70 male Sprague-Dawley rat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7 groups of 10 animals and received either 1) chitosan (CS) 100% membrane, 2) hydroxyapatite (HA) 30%/CS 70% membrane, 3) HA 30%/CS 70%, pressed membrane, 4) HA 40%/CS 60% membrane, 5) HA 50%/CS 50% membrane, 6) HA 50%/CS 50%, pressed membrane, or 7) a sham . surgery control. The amount of newly formed bone from the surface of the rat calvarial defects was measured using histomorphometry, following 2- or 8- week healing intervals. Results: Surgical implantation of the HA - CS membrane resulted in enhanced local bone formation at both 2 and 8 week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HA - CS membrane would be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chitosan membrane in early bone formation. Conclusions: Concerning the advantages of biomaterials, the HA-CS membrane would be an effective biomaterial for regeneration of periodontal bone.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to develop a more rigid scaffold for the HA-CS membrane.

기존 구강청결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전기분해수 (Neutral Electrolyzed Water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이기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6-312
    • /
    • 2016
  • 치아우식은 Streptococcus mutans와 S. sobrinus가 주요 원인균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구강 청결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구강청결제의 부작용 및 해로움으로 인하여 소아에게 권장하기에 주위를 요한다. 전기 분해수는 물을 전극을 통해서 전류를 흘려주어 생성되는 용액으로 항균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 분해수를 구강 청결제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치아 우식원성 세균 및 바이오 필름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증류수를 백금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분해수를 생성하였다. 전기분해 수소수의 물리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S. mutans 및 S. sobrinus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균을 얻고 전기 분해수, 알코올 및 불소가 포함된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고 살아있는 세균 수를 배양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치아우식균의 바이오 필름을 형성시킨 후, 전기 분해수 및 구강 청결제를 처리하여 바이오 필름 제거능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바이오 필름 내 살아있는 세균수의 양은 배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전기분해수는 높은 농도의 자유염소 (free chlorine)을 포함하고 중성 페하를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유의하게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해서 항균력을 보였으며, 이 세균들의 바이오 필름 제거능 및 바이오 필름 내 세균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보였다. 전기 분해수는 부유세균에 대해서 알코올이 포함된 구강청결제보다 약한 항균력을 보였지만, 바이오 필름 세균에 대해서는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성 전기 분해수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기존 구강 청결제의 대체 용액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보존료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Preservative on Efficacy and Storage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 이희섭;이성진;손요한;유희종;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17
    • /
    • 2017
  • 본 연구는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해 천연보존료인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복합 황금추출물은 $H_2O_2$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있어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cetaminophen에 의한 급성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시료에 첨가된 복합 황금추출물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효능에 있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 고찰할 때 복합황금추출물은 기능성 원료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액상제형 건강기능성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보존제로 판단되었다.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한 외래 급성 호흡기계 질환 방문과 항생제 처방률 변화 분석 (The Trend of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nd Antibiotic Prescription Rates in Outpatient Settings using Health Insurance Data)

  • 김지애;박주희;김보연;김동숙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6-194
    • /
    • 2017
  • Objectives: A significant concern has been raised about the emerging resistance that is largely caused by the excessive or inappropriate use of antibacterial agents for viral respiratory infe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RTIs) and the use of antibiotics. Methods: Utilizing the national leve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rom 2005 to 2008, we examined encounter days, antibiotic use, and the prescription rate fo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cluding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URTIs),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LRTIs), and otitis media in outpatient settings. The antibiotic use was measured as defined daily dose per 1,000 patients per day (DDD/1,000 patients/day). Results: The visit for URTI increased from 141,693,465 in 2005 to 120,717,966 in 2008 and the visit for LRTI decreased from 61,778,718 to 66,930,122. For RTIs, prescription rates of antibiotics decreased from 65.2% to 58.5% for URTIs and 76.9% to 68.3% for LRTIs from 2005 to 2008. The antibiotic use decreased to 20.85 DDD/1,000 patients/day after a significant increase of 22.01 DDD/1,000 patients/day in 2006. Among antibiotics, J01CR had the highest use- 7.93 DDD/1,000 patients/day followed by J01DC of 3.71 DDD/1,000 patients/day and J01FA of 3.2 DDD/1,000 patients/day. One notable trend is that J01FA presented a continuous increase in antibiotic use from 2.3 in 2005 to 3.26 DDD/1,000 patients/day in 2008. Conclusion: The use of antibiotics had poor compliance to guidelines for RTIs. Despite decrease in the use of antibiotics, prescription rates for URTIs were still about 50% indicating that the delayed prescribing antibiotics (or wait-and-see) were not observed.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과 착색에 따른 눈물성분 침착과 칸디다균 흡착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Deposition of Tear Constituents and the Adherence of Candida albicans according to Soft Contact Lens Materials and Pigmentation)

  • 박소현;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5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 특성과 착색 여부가 눈물 성분이 침착된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칸디다균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Etafilcon A, hilafilcon B,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하여 인공눈물에 침착시키기 전과 후의 흡착 균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렌즈에 흡착된 균을 관찰하였다. 결과: 칸디다균의 흡착은 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Etafilcon A 재질에서는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간 균 흡착양 차이가 없었으며, hilafilcon B 및 nelfilcon A 재질에서는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흡착된 균 수가 다소 많았다. 투명 중심부와 착색부를 비교하였을 때 투명 중심부에 칸디다균 흡착이 더 많았으며, 투명 중심부와 투명 주변부를 비교하였을 때 투명 주변부에서의 균 흡착양이 더 많았다. 눈물 단백질이 침착되었을 경우 흡착된 칸디다균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눈물 단백질의 칸디다균에 대한 항균력 유지는 재질에 따라 차이가 있어 et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유지 기간이 가장 길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 특성, 착색여부 및 부위에 따라 흡착되는 칸디다균수가 달라진다는 것을 밝혔으며, 칸디다균의 흡착 특성에 따라 관리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