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 oxidative activity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5초

Effects of Vitamin C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tive System of the Smokers and Non-smokers

  • Kim Hyun Ah;Min Hye Sun;Ha Ae Wha;Hyun Hwa Jin;Lee Hong Mie;Ro Man Soo;Song Kyung He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6권3호
    • /
    • pp.146-154
    • /
    • 2004
  • This study compared intake of vitamins and antioxidant nutritional status of smokers and nonsmokers, and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vitamin E on antioxidant system of smokers and nonsmokers. Subjects were 30 smokers and 30 non-smoke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of 10 subjects each one with supplementation for 4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Smokers were divided into vitamin C supplement group, vitamin E supplement group and vitamin C and vitamin E combination supplement group, and so were nonsmokers. The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was 500mg and vitamin E was 400IU.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ntioxidant vitamin intak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nd plasma concentration of vitamin C in smokers was lower than non-smokers (p<0.05).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smokers (p<0.05), with no difference in blood glucose levels, methemoglobin and TBARS, but 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smokers (p<0.001). Vitamin C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0.01), systolic blood pressure (p<0.001) and methemoglobin (p<0.001) in smokers. Also a significant decreas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0.05), systolic blood pressure (p<0.05), blood glucose (p<0.05), methemoglobin (p<0.001) and TBARS (p<0.05), with significant increase of SOD activity (p<0.001) were found in vitamin E supplement group. In vitamin C and vitamin E combination supplement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0.05), methemoglobin (p<0.01) and TBARS (p<0.05). In non-smokers, methemoglobins (p<0.001) of vitamin C supplement group and vitamin E supplement group decreased, and diastolic pressure (p<0.05), methemoglobin (p<0.01) and TBARS (p<0.05) significantly decreased in vitamin C and vitamin E combination supplemen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better efficacy of antioxidant supplementation in smokers than in nonsmokers, suggesting that the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vitamin E might decrease the oxidative stress and various risk factors of smoking-related diseases.

카페인산의 효소적 산화반응으로부터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물질의 분리 (Secondary Metabolites from Enzymatic Oxidation of Caffeic Acid with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 김태훈;김명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912-1917
    • /
    • 2015
  • 천연식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대표적인 페닐프로파노이드 화합물인 caffeic acid에 대해 배 유래의 polyphenol oxidase로 산화반응을 수행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IC_{50}$; $161.2{\pm}2.8{\mu}g/mL$)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caffeic acid와 비교하였을 경우 활성이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Caffeic acid 산화반응물에 대해서 $C_{18}$ 겔을 활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4종의 리그난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phellinsin A(2), caffeicinic acid(3), isocaffeicinic acid(4), 7,8-erythro-caffeicin(5)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phellinsin A(2)는 $IC_{50}$ 값이 $66.3{\pm}2.6{\mu}M$로 가장 강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caffeic acid 2분자의 산화 결합을 통해 생합성된 caffeicinic acid(3)의 $IC_{50}$ 값이 $109.6{\pm}3.7{\mu}M$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배에 존재하는 polyphenol 산화효소에 의해 생합성된 caffeic acid 이량체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활성은 caffeic acid가 결합 양상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보다 우수한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비만 물질의 상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unctional analysis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mmune-challenged Bombyx mori hemolymph extracts in the human epithelial Caco-2 cell line

  • Kim, Seong Ryul;Kim, Kee-Young;Kim, Seong-Wan;Park, Seu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0권1호
    • /
    • pp.16-21
    • /
    • 2020
  • Humans use insects as food and traditional medicine for many years. Hemolymph is the circulating fluid of insects and is a key component of their immune system. However,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hemolymph identification,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as well as the related cellular immune responses. In a previous study, hemolymph extracts prepared from Bombyx mori larvae were found to exert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mmune-challenged and unchallenged B. mori hemolymph extracts in vitro. For this purpose, human epithelial Caco-2 cells were first exposed to oxidative stress and then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and incubation times of either immune-challenged or unchallenged B. mori hemolymph extracts. Next, we determined the effect of treatment on the relative expression of GPX-1, SOD-1, and SOD-2 antioxidant marker genes.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rates of the three marker genes were markedly higher at a immune-challenged hemolymph extract concentration of 80 ppm compared to those at other concentrations, and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enhanced after treatment for 48 hr. Thus, B. mori hemolymph extracts showed antioxidant activity within the limited time and dose. Especially, the immune-challenged B. mori hemolymph extracts showed high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than unchallenged one. The activity of silkworm hemolymph extracts coul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functional foods, feed additives, and biomaterial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Koidz.)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항산화효과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 전동하;이진태;천순주;이창언;김태훈;이도형;한진규;김세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3-348
    • /
    • 2009
  • 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분석을 위해 전자공여능,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104 mg/L, 125 mg/L으로 정량되어 70% EtOH 추출물이 열수추출 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70% EtOH 추출물이 1,000 ppm에서 93.1%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1,000 ppm에서 49.6%, 49.5%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nitrit oxide radical 저해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1,000 ppm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46.6%, 60.4%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이 92.7%, 70% EtOH 추출물이 91.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잎의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으며,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합성항산화제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다소 낮지만 천연 항 산화제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음나무 잎의 강한 항산화능을 피부노화 예방관련 미용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 유용한 수종으로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 장민정;안봉전;이창언;이진태;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88-94
    • /
    • 2008
  • 본 연구는 리기다소나무 수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활성을 검증하고, 화장품 산업적 응용을 위하여 리기다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화장품 천연소재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페놀화합물은 물가용부와 EtOAc가용부에서 각각 47mg/L, 601mg/L로 정량되어 EtOAc가용부가 물가용부에 비해 12배 높은 함량이었다. DPPH 소거능은 EtOAC가용부 10ppm에서 86%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500ppm농도에서 물가용부와 EtOAC가용부에서 각각 76.3%, 80.5%로 7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1,000ppm에서 물가용부가 42%, EtOAC가용부가 10.9%로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리기다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이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Colored Potatoes, Hongyoung and Jayoung Cultivar)

  • 강세찬;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33-238
    • /
    • 2008
  • 괴경 내부에 적색과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색상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으로 인해 소비자로부터 기호도가 증대된 유색감자의 생리적 활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색감자로서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의 추출물에 대하여 ORAC를 통한 정밀한 항산화력의 비교, NO 억제 및 iNOS, COX-2의 발현 억제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2\;{\mu}g/mL$ 이하 수준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0\;{\mu}g/mL$을 처리한 경우 시료 간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의 색상이 적색인 홍영은 ORAC value 0.257, 자영은 ORAC value 0.402로 대조 표준액인 trolox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유색의 원인이 되는 안토시아닌을 순수 분리하여 활성을 평가할 경우 표준액인 trolox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 의한 iNOS 발현 억제는 NO 형성 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NO 형성 억제는 iNOS의 발현 저해 경로를 통하여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LPS에 의해 형성되는 PGE2를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COX-2 단백질의 발현 저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3.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품종은 자색인 자영품종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COX-2 발현 단백질 저해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품종은 ORAC를 통한 항산화 활성, NO 및 iNOS 억제효과가 홍영 대비 30% 이상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므로, 홍영과 자영 품종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서로 다른 기능의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품종별 용도를 구분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Epigallocatechin-3-Gallate의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in 3T3-L1 Cells)

  • 김영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93-1299
    • /
    • 2017
  •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녹차에 함유된 flavonoid 계열 화합물로, 녹차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3T3-L1 세포에서 EGCG의 항비만 작용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인 $C/EBP{\alpha}$와 a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EGCG는 GSH의 활성을 유도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GPx 및 GR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 동안 활성산소종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체내 phase II 효소인 HO-1과 GCLC는 EGCG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다. 따라서 EGCG는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동시에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GCG는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EGCG의 항산화 작용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작용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GCG에 의한 항비만 효과와 항산화 작용을 연구한 본 연구는 녹차를 활용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지닌 식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돈피젤라틴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Activities of Pig Skin Gelatin Hydrolysates)

  • 김동욱;박기문;하고은;정주리;장운기;함준상;정석근;박범영;송진;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8-267
    • /
    • 2013
  • 각 돈피추출물의 수율과 단백질함량은 고분자 PS 처리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단백질 함량은 저분자 LPS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약 10배 정도의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항산화활성 측정결과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p<0.05), 특히 고분자 PS 처리구에 비해 저분자 LPS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ORAC 활성은 LPS 농도 1 mg/mL일 때, $141.39{\mu}M$ TE/g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돈피추출물을 신경모세포종 SH-SY5Y 세포에 고농도로 처리한 결과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신경세포에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유발시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PS와 LPS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저분자인 LPS 처리구 농도 $100{\mu}g/mL$일 때, 86.45%의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며 $H_2O_2$ 대비 29.98%의 신경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독성 단백질인 $A{\beta}_{1-42}$를 처리하여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고분자 PS 처리구보다는 저분자인 LPS 처리구 농도 $100{\mu}g/mL$일 때, 82.01%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A{\beta}_{1-42}$ 대비 14.38%의 신경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AChE 저해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고분자 PS 처리구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분자인 LPS 처리구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100 mg/mL일 때 33.62%의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돈피에서 분리한 3 kDa 이하의 저분자 효소분해물인 LPS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H_2O_2$$A{\beta}_{1-42}$로 유발시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ACh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향후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보호를 위한 축산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간손상에 대한 소음인보중익기탕 열수추출물의 간세포보호효과 (The Protective Activity of Soeumin Bojungykgi-tang Water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Hepato-Toxicity)

  • 손진원;정지윤;김광연;황보민;박정아;조일제;백영두;정태영;김상찬;지선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9-526
    • /
    • 2017
  • Background and objectives : Soeumin Bojungykgi-tang (seBYTE) has been used to supplement qi in Korean medicine. It has been demonstrated to possess various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anti-canc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protective roles of seBYTE in hepatotoxic in vitro and in vivo model. Methods : To investigate cytoprotective effect of seBYTE, HepG2 cells were pretreated with seBYTE and then subsequently exposed to $10{\mu}m$ AA for 12 h, followed by $5{\mu}m$ iron. Cell viability was examined by MTT assay, and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was evaluated by immunoblot analysis. For responsible molecular mechanisms, ROS production, GSH contents,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ere measured. In addition, hepatoprotective effect of seBYTE in vivo was assessed in $CCl_4$-induced animal model. Results : seBYTE prevented AA + iron-induced cytotoxicity i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ROS production, GSH depletion,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duced by AA + ir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seBYTE pretreatment. Furthermore, seBYTE recovered expression of the pro-apoptotic proteins such as PARP and pro-caspase-3. In animal experiment, plasma ALT and AST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CCl_4$ treatment, but seBYT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LT and AST levels. Moreover, seBYTE alleviated the numbers of histological activity index, percentages of degenerative regions, degenerated hepatocytes, infiltrated inflammatory cells, nitrotyrosine- and 4-hydroxynonenal-positive cells in liv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hepatoprotective effect of seBYTE against on $CCl_4$-induced hepatic damages is partly due to antioxidative and anti-apoptotic process.

추출용매에 따른 복령(Poria cocos Wolf)과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비교 (Biological Activities of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Extracts based on their extraction solvent)

  • 오희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03-1311
    • /
    • 2019
  • 본 연구는 열수와 에탄올 용매에 따른 복령 및 산수유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추출물들의 총 polyphenol 함량은 복령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복령 에탄올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능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산수유 열수 추출물은 모든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령 열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복령과 산수유에 함유된 총 polyphenol과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추출방법 보다는 열수 추출방법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복령추출물이 산수유 추출물에 비해 NO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PP+에 의해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에 복령 열수 추출물은 산수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복령과 산수유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항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