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ity of Daily Living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38초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Daily Life Style and Self-Efficiency in University Students)

  • 허은희;정연강;염순교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3-21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degree of health promotion activity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ien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us, we can offer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method or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For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university men and women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February 18 to March 20, 1998. A measuring instrument was based on lating review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hronic disease protection, perceived self efficiency, demographic factors, biological factors, and circumstatial factor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authenticated by two professors of nursing, and reliability was confirmed by 'cronbach' (${\alpha}^{\prime}$ after mortifying content through a pre-test on 30 students. 475 pers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average,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by 'SPSS-PC'. The analyzed data is as follows: 1. Higher self-efficiency, as a cognitive-perceptual factor, has a beneficial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r=.479, p=.000).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mong a low group, a middle group, a high group in terms of self-efficiency revea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ien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s meaningful. 2.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s 3.26 out of 6. Other figuresrelating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are as follows. self-actualization area (4.62), interpersonal area (4.60), stress management area (4.01), nutrition area (3.68), responsibility of health area (3.11), liquid and cigaret area (2.85), and exercise area (2.33). 3. The degree of self-efficiency was 6.81 out of 10. Other figures relating to self-efficiency are as follows. interpersonal area (7.89), self-actualization area (7.84), liquid and cigarette area (7.72), exercise area (6.88), stress management area (6.84), responsibility of health area (6.35), and nutrition area (6.34). 4. The different lerel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ccording to a subject's general factos are following: age (p=0.003), sex (p=0.000), health concern of parents (p= 0.000), taking health programs (p=0.007), case history of familes (p=0.048). Health promoting behavier is also positirely affeted by the following: higher age, social sciences focus, religion, living the relatives', and the higher health concerns of parents. 5. The difference of self-efficiency according to a subject's general factors is positirely affected by sex (p=.008), the health concerns of parents (p=.004), body indexes (p=.001), and the higher health concerns of parents. 6. As the result of analyzing major factors, the most powerful factor appears to be self-efficiency, 26.6%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uggestions: 1. Results of this study point to self-efficiency as a major factor i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crucial, therefore, to develop a health program to promote self-efficiency and to study how to promote prerention of certain diseases. 2. That health promoting behavior appears low in this study shows that health education should be taken into the university class, with a focus on the daily life of students as its goal.

  • PDF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비교 (Comparison among Wide-area Local Governments of Needs for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 오현정;김형수;고영;신은영;손미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94-202
    • /
    • 2020
  • 이 연구는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수준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향후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17개 광역 지자체 노인 10,299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의료 요구, 일상생활 수행지원 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의 지역간 차이는 최저 지역에 비해 최고지역에서 각각 2,4배, 6.0배, 2.0배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료요구군, 복지요구군, 통합돌봄 요구군의 크기도 지역별로 매우 다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통합돌봄 요구는 광역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통합돌봄 서비스를 전국적 수준에서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역 지자체별 대상자 요구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돌봄 서비스 내에서 우선 순위 선정과 활용 가능한 자원 파악 및 적절한 배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노인학대 유형화 및 유형결정요인 연구 (A Study on Typology and the Casual factors of Elderly-abuse)

  • 이윤경;김미혜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165-117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학대의 새로운 유형화를 통해 노인학대의 중복적 특성을 간명화하여 노인학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노인학대의 유형별 결정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노인보호전문기관의 81명의 상담가가 조사일자를 기점으로 최근 종결한 5개 사례에 대해서 주어진 노인학대 판정지표 및 사정도구에 회고적으로 응답하는 설문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조사결과 350명의 노인학대 사례에 대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17개의 노인학대 판정지표를 활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노인학대를 유형화하고, 유형화결과에 따라 logit-regression을 활용하여 유형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학대는 '폭력성 노인학대'와 '회피성 노인학대'로 유형화되었다. 폭력성 노인학대는 직접적으로 폭력을 행하거나, 거친행위로 노인을 위협하거나 협박하는 행위, 노인을 무시하는 언어적 표현과 행동과 같이 직접적으로 노인에게 해를 가하는 언행이 나타나는 유형이며, 회피성 노인학대는 방임, 유기, 자기방임과 노인과의 접촉을 기피하는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폭력성 노인학대와 회피성 노인학대의 유형 결정요인 분석결과, 피학대노인의 기능상태와 학력, 가해자의 성별과 학력, 가해자가 느끼는 피해자에 대한 수발부담, 가해자와 피해자의 동거여부가 노인학대 유형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노인의 학력이 높을수록 폭력성 노인학대 발생율이 높으며, 기능상태(IADL)가 나쁠수록 회피성 노인학대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해자가 여성일수록 회피성 노인학대 발생율이 높으며, 가해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폭력성 학대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가해자가 노인의 수발부담이 높다고 느낄수록 폭력성 노인학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거는 회피성 노인학대보다는 폭력성 노인학대의 발생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학대의 복잡성을 간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노인학대의 유형화를 시도하였으며, 노인학대의 유형 결정요인을 밝힘으로써 추후 노인학대 개입기법을 세분화하고 노인학대 발생원인 이론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역사회 치매관리 모형 개발 : 광명시의 경우 (Development of Dementia Care Model in a Community)

  • 배상수;김동현;우영국;오진주;민경복;이수현;이미라;이상숙;표옥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71
    • /
    • 1999
  •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public awareness regarding dementia during recent years. However, dementia remains a family affair and patients do not receive adequate car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assist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by establishing Home and Community based Long-Term Care in a city. The data collected for analysis include five main categories: dementia prevalence, limitations of daily activities of patients, burden of caregivers, the services that patient's family want to utilize, the resources that handle dementia in the community.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prevalence rate of dementia for elderly people is 13.1 per 100 persons. Alzheimer's disease amount to 38.9% of dementia patients and vascular dementia account for 36.7% of them 2)Eight out of ten patients have mild dementia. Almost all patients have normal ADL. IADL, however, shows different picture. In every items of IADL, about 60% of patients reveals some limitations. 3)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d medical diagnosis is as low as 20%. Families of patients think dementia as normal aging process and medical doctors in the community do not give special concern to dementia patients. 4)Caregivers does not have proper social support. They suffer from long care time, experience large obstacles in respect of health, daily living, and social activity. 5)Health center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launched some programs-consultation, home-visiting nursing, day care center, voluntary force mobilization and so on-for dementia patients. But they do not perform expected roles and functions because of lack of skilled personnels and inadequate coordination of relevant organizations for dementia care. 6)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prefer home helper and home-visiting nurse to hospitalization. For the future, however, demand for institution-based long-term services will increase. We develope community dementia care model based on above findings as follows: 1)Health center execute community cardiovascular control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vascular dementia. 2)Refer to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preference of family, the most urgent task for dementia care in this city is to expand and organize Home and Community based Long-Term Care. 3)For th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care, care plan for a patient must be prepared. Case management team should be builded to prepare this plan and coordinate relevant resources. 4)Special long-term care unit for dementia will be needed in a near future. This unit should have multiple functions, such as day-care center, short stay facility, training center for relevant personnels, besides long-term nursing home considering effective care of dementia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facility. 5)Voluntary workers deserve their due efforts. Incentive mechanisms must be developed to activate voluntary activities.

노인들의 의치 장착 기간과 의치 사후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경북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Period of weared and Post Management of Denture of the Elderly (Rural areas in Gyoungbook Province))

  • 한석윤;배봉진;이화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3-445
    • /
    • 2012
  • Purpose: In order to validate empirically the theoretical model of this study subjects, who were limited in Andong gun, Youngyang gun, Uiseong gun, Bonghwa gun, Chilgok gun, Cheongsong gun according to residence-specified distribution and over aged 65, were focused to the elderly in rural areas with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here they have difficulties in accessibility of dental facilities and dental care.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9.0 program.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Second,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ily living skills and Biomedical Vigilance. Third,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in terms of and the post-administration management.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ost-management of dentures and the period of using dentures. Results: By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lder the subjects are(${\beta}$ = 0.03), the lower their income activities are(${\beta}$ = -0.18), the smaller their monthly allowances are(${\beta}$ = -0.16), the worse their daily activity skills are(${\beta}$ = -0.12), the more they were mounted their dentures by an unlicensed contractor(${\beta}$ = 0.07), and the more they cost to their dentures(${\beta}$ = 0.14), the longer the period of use dentures are. And the beneficiaries of Basic Livelihood Security(${\beta}$ = -0.14) who got free denture business are shorten the period of using denture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post management of dentures, the independent variables like the health education(${\beta}$ = 0.24), smoking(${\beta}$ = -0.18), periodic oral examination(${\beta}$ = 0.13), dentures mounted by an unlicensed contractor(${\beta}$ = -0.13) a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at study subjects are taking part in health education and non-smokers, they are likely to have more chances to post management for their dentures like periodic oral examination. However the subjects who were weared their denture by an unlicensed contractor get less chance to post management for their dentures. Conclusion: As the elderly who want to wear denture are increasing due to the denture insurance for the elderly, the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an urgent request, especially continuos education for the way of use their dentures and follow-up management for the elderly who were already mounted their dentures. And also,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researches is requested for securing objective data.

대구시내 아파트 거주 주부들의 비만 실태와 비만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Housewives Residing in Apartments in Taegu)

  • 박갑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3호
    • /
    • pp.170-178
    • /
    • 1990
  • 본연구는 아파트 거주 주부들의 비만실태와 비만요인을 분석해보고자 대구시내 30평형 이상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30~49세의 주부들, 103명을 대상으로 일반환경, 식습관, 식품섭취량, 24시간 생활시간 및 체중조절에 관한 관심을 설문조사하였으며, 신장 체중 및 좌측상완 피부두겹두께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력은 대졸이상이 53.6%에 해당하는 고학력이었으며, 2명의 자녀를 둔 4명의 가족 구성이 가장 많았고, 경제수준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2) 상대적 체중에 따라 분류한 대상자의 체위 분포는 저체중이 4.9%, 정상체중이 44.7%, 과체중이 24.3%, 비만은 26.5%에 해당하였으며, Body Mass Index(BMI)에 기준해서는 비만대상자가 24.3%에 해당하였다. 3) 식습관점수는 평균 12.4로 좋은 편이었으며, RBW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영양섭취 상태는 평균에너지 섭취량이 2247kcal로서 권장량의 112%였으며, 철분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들의 섭취량이 권장량을 초과하였으며, 1일 에너지섭취량은 RBW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BMI를 종속 변수로 한 희귀방정식, BMI=25.216+(0.836$\times$가족수)-(0,309$\times$대상자의 교육년수)-(0.00503$\times$가사노동시간,분)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대상 주부의 비만도는 자신의 교육수준과 가족수 및 가사노동시간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으며, 이와 같은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비만도에 대한 변량의 23.7%를 설명하였다.

  • PDF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경험과 적응에 관한 현상학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Resilience of Incest Sexual Victims in Adolescence)

  • 천해리;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37-46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들이 사건 이후 겪게 되는 다양한 심리적 변화와 현실을 그들의 목소리로 전달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과 상담을 통해 삶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적인 삶의 경험을 현상학적인 접근을 통해서 이해하고 기록하였다.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부모의 정서적인 방치와 가족구성원의 폭력적 행동과 위협, 침묵을 강요하는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대한 불신감과 낮은 자존감이 형성 되었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둘째, 성폭력 사건에 의한 고통과 후유증은 사건이 알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현실부적응과 사회활동 회피를 반복하면서 역할의 갈등을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의 후유증은 PTSD를 통해 극단적으로 드러났다. PTSD의 경험은 참여자가 정신과에서 처방받은 약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물질에 의존하고 환청과 환각, 망상의 경험으로 외부활동을 더욱 기피하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넷째, 적응 과정을 통한 변화는 사건에 대한 직면과 분리, 삶에 대한 새로운 시선이다. 적응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과거의 상처로 인해 표현하지 못한 말과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앞으로 나아가려고 했다. 현실에서의 극복 경험은 참여자에게 자기존중감과 삶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신뢰하는 자기효능감, 건강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믿음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서 근친 성폭력 트라우마가 새로운 일상의 위기를 통해 재경험되고 각 과정마다 새로운 적응 과정을 반복하는 모델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of the Disabled Workers owing to Industrial Injury in Korea)

  • 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171-193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대 들어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를 살펴보고,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산재보험 재활서비스 체계의 강화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1996년과 1997년 산재보험 장해보상금 종결자 중 신규장해판정자 1,060명이며 조사방법을 전화면접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율은 자영업을 합쳐 약 28.6%로 전체 응답자의 약 1/3에도 못미치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신체적 손실을 나타내는 장해등급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능력정도 역시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재취업에 있어 신체적 손상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재활공학서비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셋째, 재취업에 있어 신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는 시기나 자신의 장애를 인식하는 점도 등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재취업에 있어 사회심리적 재활프로그램의 필요성울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여부는 재취업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비효과성 측면과 더불어 직업재활프로그램의 저조한 참여에서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우선적으로 현재의 산재보험에서 투자하는 재활사업비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재활공학서비스의 연구개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현재의 산재보험 직업재활훈련체계를 재정립하고 프로그램 개발하는 등의 노력과, 사회심리재활서비스의 산재보험 수가화를 통한 확대, 개별상담원 도입 등의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PDF

종골 골절 일차 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omplications after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

  • 서동현;박용욱;김도영;이상수;윤태경;박현철;강승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6-51
    • /
    • 2004
  • Purpose: Problematic late sequelae are common following a calcaneal fracture regardless of the initial treatment.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painful conditions and reviewed the results of the oper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96 and September 2001, for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subsequent surgical treatment for late sequelae of calcaneal fracture were reviewed. The initial treatment consisted of only immobilization in a cast in 7 patients, closed reduction with pin fixation (Essex-Lopresti technique) in 22 an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14. Painful conditions in the hind foot included subtalar arthritis in 31 patients, calcaneofibular impingement in 13, peroneal tendinitis in 6, displaced posterior bony fragment in 3, sural neuritis in 2, subtalar and midtarsal arthritis in 1 and displaced plantar bony fragment in 1. The surgical procedures for the late complications were performed at a mean of 19 months (range, 6 to 35 months) after the injury and consisted of lateral wall ostectomy and in situ subtalar fusion in 28 patients, only lateral wall ostectomy in 5 patients, lateral wall ostectomy and subtalar distraction arthrodesis in 3, removal of displaced posterior bony fragment in 3, sural nerve transposition in the peroneus brevis in 2, triple arthrodesis in 1 and removal of displaced plantar bony fragment in 1. Mea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was 57 months (range, 33 to 82 months). The result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pain,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to return to work or to a pre-injury level of activity. Results: Pain was partially relieved in 38 patients (88%), but not relieved in 5. Function improved in 34 patients (79%), and 32 (74%) returned to work or to a pre-injury level of activity. There was a trend that the longer the interval between the injury and the operation, the longer the subsequent interval until the patient returned to full activities or work. Conclusion: Meticulous physical examination and intensive prompt treatment for remaining pain after initial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s are recommended for patient's satisfaction and returning to work.

  • PDF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을 이용한 다방향 견관절 불안정성의 치료 (Medial Anterior-inferior Capsular Shift in Multidirectional Shoulder Instability)

  • 정수태;박재형;김형수;유정현;김주학;지정민;조환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33-41
    • /
    • 2007
  •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다방향견관절 불안정증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을 시행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15례에서는 반복적인 탈구를 경험하였으며, 양측성 견관절에서만 이완을 보인 경우가 8례(42.0%), 견관절을 포함한 전신 인대 이완은 11례(58%)였으며 수의성 아탈구가 2례(10.5%)가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개월이었다(범위: 9-32 개월) 결과: 19례중 18례에서 통증이 호전되었으며, 평균 10도 정도의 외회전 감소가 있었으나 일상생활에 제한은 없었다. 술 후 모든 예에서 재탈구나 아탈구는 없었으나 2례에서는 스포츠 활동에서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Rowe점수에서 모든 환자에서 최우수 또는 우수로 나타났으며 혈종 1례 및 가벼운 국소 피부 감염이 1례에서 있었으나 추후 모두 치료되었다. 결론: 다방향 견관절 불안정증에서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은 통증감소, 환자의 만족도 및 견관절 안정성에 있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냈다. Hill-Sachs병변 및 Bankart병변이 일부 있었으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