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점 척도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4초

조사연구를 위한 표본크기 결정

  • 박진우;정미숙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39-149
    • /
    • 2007
  • 사회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를 할 때 표본의 크기를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는 조사연구자에게 고민거리가 된다. 사회조사 중에서 4점 또는 5점 척도로 된 여러 개의 개별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개개의 문항 자체를 직접적으로 하나의 변수로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개 문항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척도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커트 척도가 관심변수인 조사연구에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커트 척도를 만들고자 할 때 4점 혹은 5점 척도로 구성된 여러 문항변수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문항변수들은 각각 동일한 분포를 가지며, 각각의 변수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가정을 한다. 주어진 가정 하에서 새로운 척도의 표본분포를 유도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의 표본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를 표로 제시하게 되는데 표본이론을 잘 모르는 조사연구자들은 이 표를 이용하여 원하는 표본크기를 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리커트 퍼지 척도에 대한 퍼지 가설검정 (Fuzzy Hypotheses Testing of Likert Fuzzy Scale)

  • 강만기;이창은;최규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33-537
    • /
    • 2005
  • 리커트 척도는 어떤 의도의 질문에 대한 동의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주로 5점 척도를 많이 사용하나 여러번 질문에서 응답자체가 애매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점 척도의 응답의 애매성을 5점 척도의 멤버쉽 함수로 나타낸 후 한 항목의 응답의 95% 신뢰구간을 다시 멤버쉽함수로 하여 그 데이터를 퍼지가설검정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Patient Safety attitude of Nursing student)

  • 이외선;이경숙;구혜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07-314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3·4학년에 재학 중인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5월 17일부터 6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은 3.75점(5점 척도), 자존감은 3.64점(4점 척도), 의사소통능력은 3.60점(5점 척도), 환자안전태도는 4.44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태도는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r=.57. p <.001), 자존감(r=.32. p <.001), 의사소통능력(r=.34. p <.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중요도 인식(β=.520, p<.001)과 자존감(β=.165, p=.039)이 환자안전태도를 34.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태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과 자존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의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축소형 PASS : 5항목-3점 척도)와 Berg Balance Scale (축소형 BBS : 7항목-3점 척도)의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of Postural Assesment Scale for Stroke (PASS : 5items-3Level) and Berg Balance Scale (BBS : 7items-3Level) Used for Patients with Stroke)

  • 안승헌;김재현;송창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9-99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y as well as the concurre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2 simplified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5itmes-3Level(PASS:5i-3L) & Berg Balance Scale:7items

의료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 척도의 타당성 평가 (Evaluation on validity of health literacy measurement scale)

  • 최경호;이정옥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2호
    • /
    • pp.257-265
    • /
    • 2013
  • 의료정보이해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이를 위한 다양한 측정도구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한국어판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5점 척도로 구성된 한국어판 REALM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측정도구를 제안하고 타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5점 척도로 구성된 한국어판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매우 높으며, 인자분석 결과 단일차원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점 척도에 비하여 긍정적인 응답이 적게 나타났으며, NVS (the newest vital sign)와의 상관계수를 구해본 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5점 척도를 이용한 한국어판 REALM은 타당한 측도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료정보이해능력에 대하여 일반학생과 간호학과 학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Project-Based Learning for Strengthe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Abilities)

  • 강은영;신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47-5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교사양성과정 수업을 통하여 예비특수 교사들(n = 39)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평균 6.76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의 하위 척도 중에서 수업계획 및 조직(1.49점), 의사소통(1.49점), 학생과 상호작용(0.49점), 교수 학습 환경조성(2.49점), 성의와 열의(0.89점) 순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예비특수교사 들은 실천적 교수역량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p < 0.01). 전체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중 '교수 학습 환경 조성', '의사소통', '수업계획 및 조직'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은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간의 상관관계는 0.64-0.90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A Development for 'Attitude toward Work Scale' on Welfare Recipients)

  • 정진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207-225
    • /
    • 2004
  • 본 연구는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다양한 기존 척도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전문가조사와 실증조사를 실시하는 등 체계적인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는 11개 문항 5점 척도이며, 독립과 자립, 일 자체, 근면과 성공이라는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에 대해 3개의 하위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누적설명력은 54.9%였으며 내적 신뢰도는 ${\alpha}=.79$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에 의해 측정된 공공부조 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는 55점 만점에 43.9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 비해 이론적 검토 및 실증적 검증 절차를 거쳐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개발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에 대한 과학적 측정도구의 적용으로 향후 학문적 연구주제가 다양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 공공부조 정책의 개선과 보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향(香)의 이미지 인자구조: 남녀차에 관한 연구 (Factor Structure of Imagery on Odors :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 민병찬;정순철;김수진;김혜주;김상균;민병운;오지영;신정상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7-422
    • /
    • 1999
  • 지금까지 향의 이미지에 따른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 특히 성별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향의 이미지에 따른 성별 감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 가지 향 (Jasmin abs, Rose oil bulgalian, Lavender oil france, Lemon oil misitano)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분석하였다. 후각 실험 및 주관적 평가는 20-26세의 남자10명, 여자10명으로 구성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주관적 평가는 향의 세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후각 감성 형용사를 이용하여, 양극의 7점 척도 25문항, 단극의 5점 척도 40문항, 그리고 각 향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묻는 양극의 7점 척도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 모두 Lemon향을 가장 쾌한 감성의 향으로, Rose향을 가장 자극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심리척도의 보편적인 정서인 쾌/불쾌, 자극/진정의 감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별로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에 비해 남성이 Rose향을 정열적이고 화려한 향으로 느낀다거나, Jasmin 향에 대하여 남성은 여성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반면, 여성은 Jasmin 향을 남성적인 향으로 평가하는 등 각 향에 대한 세부적인 이미지에는 여성과 남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PDF

노인용 속담 이해력 과제의 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Comprehension Task in Proverbs for the Elderly)

  • 이영민;김정완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25-38
    • /
    • 2021
  • 목적 : 노화 과정에 따른 속담 이해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정립하기 위해 속담 이해력 과제 제작 후 평가척도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만 65세 이상 정상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설명하기 방식을 통한 속담 이해력 과제를 실시하였다. 3점 및 5점 척도의 점수 산정 방식을 설계하고 두 가지 방법으로 각각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두 척도에 따른 난이도와 변별도를 산출하여 최종 문항과 평가척도를 선정하였고, 이 척도상 수행력과 집행기능 간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 첫째, 3점 척도보다 5점 척도에서의 문항변별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출되었고, 최종 10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 속담 이해력은 70~84세 집단이 65~69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고, 교육년수가 10년 이상인 집단이 9년 이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속담 이해력 과제의 수행력은 집행기능 과제의 반응시간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결론 : 속담 이해력은 일반적인 뇌기능인 좌반구와 우반구의 반구 특성에만 기인하지 않고 일반 노인내에서도 노화과정에 따른 뇌기능의 저하를 변별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과제이며, 평가 척도의 점수범위가 높을수록 그 차이를 더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