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Project-Based Learning for Strengthe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Abilities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 강은영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 신미경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 Received : 2018.09.18
  • Accepted : 2018.11.16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project-based learning for strengthe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actical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 = 39) improved by a total of 6.76 points after receiving action learning-based instruction. The improvement was 1.49 points for planning and designing, 1.49 points for communication, 0.49 points for interactions with students, 2.49 poi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0.89 points for sincerity and enthusiasm. The results of paired t-test showed t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ability has significantly improved on the total scale score (p < 0.01).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provements were also significant on three out of five subscales: planning and designing, communi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Correlations between the practical teaching ability subscales ranged from 0.64 to 0.90,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교사양성과정 수업을 통하여 예비특수 교사들(n = 39)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평균 6.76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의 하위 척도 중에서 수업계획 및 조직(1.49점), 의사소통(1.49점), 학생과 상호작용(0.49점), 교수 학습 환경조성(2.49점), 성의와 열의(0.89점) 순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예비특수교사 들은 실천적 교수역량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p < 0.01). 전체 5가지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중 '교수 학습 환경 조성', '의사소통', '수업계획 및 조직'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은 유의미한 향상 정도를 보였다. 실천적 교수역량 하위 척도 간의 상관관계는 0.64-0.90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표 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교직수업 구성

CCTHCV_2018_v18n12_547_t0001.png 이미지

표 2. 수업모형 수정 적용안 개발에 대한 팀별 채점 기준

CCTHCV_2018_v18n12_547_t0002.png 이미지

표 3. 수업시연 상호평가 시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점검 기준

CCTHCV_2018_v18n12_547_t0003.png 이미지

표 4. 수업에 활용한 교재교구 분석 기준

CCTHCV_2018_v18n12_547_t0004.png 이미지

표 5. 수업 참관 시 활용한 점검 기준

CCTHCV_2018_v18n12_547_t0005.png 이미지

표 6. 문항구성 예시

CCTHCV_2018_v18n12_547_t0006.png 이미지

표 7. 사전-사후 검사 기술통계 결과

CCTHCV_2018_v18n12_547_t0007.png 이미지

표 8. 대응표본 t검증 결과

CCTHCV_2018_v18n12_547_t0008.png 이미지

표 9. 사후검사 영역 간 상관관계

CCTHCV_2018_v18n12_547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2015.
  2. D. S. Rychen and L. H. Salganik (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Ashland, OH, US: Hogrefe & Huber Publishers, 2003.
  3.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47-69, 2007.
  4. D. I. B. Oss, "The Relevanc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Profile: Issues i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Vol.20, No.1, pp.167-178, 2018. https://doi.org/10.15446/profile.v20n1.62327
  5. 최진영, 이경진, 장신호, 김경자, "초등학교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03-130, 2009.
  6. 황은희, 백순근,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의 비교연구," 교육평가연구, 제21권, 제2호, pp.53-74, 2008.
  7. 박성혜, "중등 교사양성과정 중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이 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과 교과 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제25권, 제1호, pp.209-233, 2008.
  8. 전병운, "중등특수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제4호, pp.115-132, 2011.
  9. 허영주, "현직교사교육프로그램에의 실천학습의 도입 가능성과 한계 분석," 교육과정연구, 제25 권, 제4호, pp.207-228, 2007.
  10. 김호연, "특수교육 교사 양성에 대한 제고," 특수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51-77, 2010.
  11. 류현아, "초등예비교사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실행 및 효과,"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3, No.2, pp.217-233, 2017. https://doi.org/10.7858/eamj.2017.016
  12. 장경원,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지, 제27권, 제3호, pp.475-505, 2011.
  13. M. J. Marquardt, Action learning in action, Palo Alto, CA : Davies-Black, 1999.
  14. 장경원, 고은현, 고수일, "학교에서의 액션러닝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7권, 제3호, pp.429-455, 2015.
  15. J. O'neil and V. Marsick, Understanding action learning, NY: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2007.
  16. 이은지, 정지현, "액션러닝기법을 적용한 어린이집 교사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아동교육, 제22권, 제1호, pp.215-237, 2013.
  17. 박재국, 황순영, 최진혁, 김은라, "액션러닝 기반 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문제행동중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제52권, 제1호, pp.19-44, 2017.
  18. 김자경, 강혜진, 임은영, "액션러닝을 활용한 장애아 통합교육 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문제해결 능력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pp.593-609, 2012.
  19. 백순근, 윤승혜,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와 피드백 방식이 현직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제24권, 제4호, pp.849-871, 2011.
  20. 장경원, 경혜영, 이종미, 김희정, "액션러닝을 활용한 학교건설 사례 연구," 한국HRD연구, 제6권, 제3호, pp.49-73, 2011.
  21. 정미재, 정제영,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63-83, 2012.
  22. 진성희,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성찰 및 강화방안," 한국초등교육, 제20권, 제2호, pp.233-24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