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5초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고한중;석종임;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29-142
    • /
    • 2017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reading materials were the types of topic, purpose, students' activity, and presentation. The visual images in the reading materials were also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type, role, caption type, and proximity ty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It was also found that the frequencies of the reading materials expanding concepts of the text and/or requiring corresponding students' inquiry increased. More visual images were used in the reading material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still found to exist; most visual images were illustration and/or picture; many visual images were presented without a cap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e proximity of visual image to text.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 행동체계 중심의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Focusing on Three Systems of Action for the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 주수언;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
    • /
    • 2016
  • 본 연구는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세 행동체계 중심의 교육과정 안을 개발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큰 어려움 없이 개별 가정과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세 행동체계에 대한 본질적 이해는 2009 개정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에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명의 개발진, 3명의 검토진, 15명의 전문가 협의진을 구성하고 3차안에 걸쳐 세 행동체계 중심 교육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1차안은 의, 식, 주, 가족 아동, 소비 가정경역과 세 행동체계를, 2차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중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최종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소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접목하여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계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발문유형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Type on the Grade 3 and 4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 김주아;김용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43-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figuration changes of content elements and inquiry activities between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trends in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2009 revised one, but fell short of goal level for revision, that was to cut 20 percent of present achievement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to enhance the relation to practical life, to integrate the content elements separated, and to adopt the achievement standard to introduce new concept. Second,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also slightly decreased, and to be linked with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ome cases, the range of inquiry activity was adjusted, or the unit to present it was changed. Teacher should know exactly about the elements to be chang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 will be needed them to make an efforts in the cause of its smooth application.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 안지영;전영주;윤마병;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37-46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에서 각각의 내용 영역명과 해당 영역의 학년 분포 및 내용 체계, 내용 규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반으로 첫째, CCSSM 내용 영역명에 따른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을 분류하여 학년군별로 취합하였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초등 수학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PDF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교과서에서 모델 관련 내용 분석: 수용액 전기 분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Models in the Chemistry Textbooks of the 2009 & 2015 Revised Curricula: Focusing on the Electrolysis of Aqueous Solutions)

  • 김기향;장하석;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289-30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이라는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8종, 화학 II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4종, 화학 II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수용액의 전기 분해에 관련된 내용만 선택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해석하는 전해질 관련 내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4종의 관련 단원 내용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9종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과 단원에 따라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모든 설명은 단일 모델로 제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모델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실험 결과가 나오는 전해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향이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Alignment betwee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 - Examining Learning Objectives in 2009 Grade 3~4 Science Curriculum -)

  • 나지연;윤혜경;김미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183-193
    • /
    • 2015
  • Teacher guidebooks are practical and commonly used resources for teachers to deliver the goals an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in classroom teaching. Thus, the alignment of teacher guidebooks and science curriculum could be critical to undertake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implication in science classroom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ing objectives of science curriculum are implicated in teacher guidebooks by analyz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in learning objectives in both documents. Grade 3~4 learning objectives (82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459 in the teacher guidebook, 541 in total) in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eacher guidebooks were cod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focused on how the knowledge dimensions and cognitive processes of the curriculum were emphasized and restructured in the teacher guidebooks to examine the coalition between the two important documents. The study found: 1) the learning objectives in Grade 3~4 in both documents were skewed to certain knowledge dimension (conceptual)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2) there was a high coalition betwee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however, relatively low coali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acher guidebooks; and 3)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were delivered in teacher guidebooks in various patterns (similar, detailed, additional, in portion, and the same), and 'detailed' and 'additional' were frequently shown. There also appeared new objectives in the teacher guidebooks, which were not present in the curriculum.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current project of developing 2015 Science Curriculum in regard to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heir alignments with textbooks and teacher guidebooks.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Bioinformatics and Biotechnology Cont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 to Revising Curricula)

  • 주희영;동효관;이길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186-19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최신의 생물학 흐름인 생명공학과 생물정보학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에 관련한 교과서 속의 생명공학과 생명정보학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공학에 관한 내용은 있었으나 생물정보학에 관한 내용은 없었던 것에 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학 I과 고급생명과학에서 이에 관한 내용이 등장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를 보면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생물I, 생물II, 생명과학I에서는 아직도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제시가 많이 부족하였으며,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고급생물에서도 전체 내용에 비해 생물정보학에 대한 내용 제시가 부족하였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글과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Texts and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강훈식;이재원;김현호;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4호
    • /
    • pp.454-468
    • /
    • 2016
  • In this study, the gender-role stereotyping of the texts and the illustration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tex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frequencies of texts, two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such as scientific inquiry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housekeeping activity. Women outnumbered men in housekeeping activity, but they were much less than men to perform outdoor and professional activities. In the illustration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pupils, and these results are desirable in terms of achieving balance between boys and girls. However, the textbooks were found to favor the illustrations of men especially in outdoor and professional activities. Women also performed more in housekeeping activity. Compared with the adult results of previous curriculum, these results were not improved at all.

2015개정 초등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요소분석 (Analysis of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 강현주;정세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03-41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multicultural elements and propose measures to strengthen them in the 2009and the 2015 school curriculum. Based on Kim Cheong-ha (2015), the multi-cultural guidance elements and Bennett (2003:32-35) the target system and Choi Moo-sung and Kim Soon-ja (2009) were reconstructed and analyzed. Multicultural elements show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cultural diversity, recognition and tolerance, community awareness, and self-identity. The analysis targets analyzed multicultural elements of 'seeking human beings', 'core competences' and 'school organization and operation' during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cultural elements of the former primary education process, 'cultural diversity' is 1,Recognition and tolerance'0, community spirit'3, and 'self-reliant'2 total6. In the new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18 were analyzed as 'cultural diversity'1, 'Recognition and tolerance'1, 'community spirit'8, and 'self-identity'8. The first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appearing in the new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addition of multicultural elements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rea' and 'education and tolerance' to the following: Second, to grow into a balanced multicultural society member, it proposes an enhanced multicultural curriculum in four areas: cultural diversity, recognition and tolerance, ccommunity spirit, and self-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