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Type on the Grade 3 and 4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발문유형 비교 연구

  • Received : 2018.07.10
  • Accepted : 2018.08.13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comparing questions presented in the 2009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at may help. Therefore, questioning type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2009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 in the present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applied question as it aims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econd,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open-ended questions that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think freely is a desirable change.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mportance of the question that can be applied to content learned and can be thought of as diffusive and evaluative.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순란(2000).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발문 분석.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다현(2007). 고등학교 법과사회 교과서 탐구활동 발문 구성의 적정성 탐구. 교과교육학연구, 11(1), 341-364.
  3. 김민정, 유병길, 이형철(2014). 초등 과학교과서 지문의 발문 유형 분석 및 학생들의 선호 발문 유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64-74.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64
  4. 남화경(2000). 교사의 발문 유형이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노현진(2017). 발문 중심 수업이 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주현, 권혁순(2007). 제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발문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51-557.
  7. 서혜진(2014). 2007과 2009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과 교과서의 발문 유형 비교 분석-2009 개정 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상균(2014).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에 따른 발문유형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276-285.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2.276
  9. 임태규(2015).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최미숙, 김용권(2012). 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물질 영역의 발문 유형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1(3), 347-357.
  11. 최윤미, 이형철(201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1), 120-129.
  12. Blosser, P. E. (1973). Handbook of effective questioning techniques. Worthington, Ohio : Education Associates.
  13. Hyman, R. T. (1974). Ways of teaching. Philadelphia : Lippincott.
  14. Kewley, L. (1998). Peer collaboration versus teacher-directed instruction: How two methodologies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3(1), 27-32. https://doi.org/10.1080/02568549809594724
  15. Koufetta-Menicou, C. (2000). Teachers' questions - types and significance in science education. The School Science Review, 81(296), 79-84.
  16. Turner, T. N. (1989). Using textbook questions intelligently. Social Education, 53(1), 5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