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chlorophenol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참치 통조림 중 향미 물질의 기원과 품질 (Origin of Flavor Compounds in Canned Tuna and Their Relation to Quality)

  • 김무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31-737
    • /
    • 1992
  • 참치통조림을 개봉한후 냉장고$(4^{\circ}C)$에 4주간 저장하는 동안의 향기변화의 관능검사와 향기성분 분석을 하였다. 막 개봉한 참치통조림의 향은 고소한 쇠고기향과 신선한 참치통조림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으나, card-boardy(1주후), 산화된 지방산(2주후, 3주후), 그리고 곰팡이냄새와 페인트 냄새(4주후)로 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참치통조림시료로부터 126개이상의 휘발성성분이 분리되었고, 그중 54개의 화합물이 mass spectral data, $I_E$ values, 그리고 GC detector로부터 나오는 efluent를 sniffing하므로서 동정되었다. 4주간 저장 후 저급휘발성 화합물은 줄어드는반면 분자량이 큰화합물이 새로이 생성되었다. 저장기간중 감소된화합물은 1-penten-3-ol, 3-penten-2-ol, heptanal, limonene, 1-pentanol, octanal, 1-hexanol, nonanal, 2-octanone, 2-nonanone, 1-heptanol, benzaldehytde, 그리고 methyl substituted benzenes 등이었다. p-Thiocresol, 2-chlorophenol, 1,2-dichlorobenzene, dipropyl disulfide, 2-isobutyl-4,5-dimethylthiazole, diethyltrisulfide, 그리고 2-heptylthiophene은 신선한 참치통조림에는 검출되지않았으나, 개봉후 4주간 저장된 통조림에서는 새로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들 저장중에 변화된 화합물은 참치 통조림의 품질 변화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분산 막-용매추출에 의한 유기오염물의 분리 (Separation of Organic Pollutants by Nondispersive Membrane-Solvent Extraction)

  • 유홍진;한성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74-185
    • /
    • 2004
  • 미세기공 중공사형 모듈을 이용한 비분산 막-용매 추출에 의하여 유기오염물을 페수로부터 분리하였다. 시스템은 향류 및 병류로 각각 진행되었으며, 분배계수의 비교로부터 MIBK가 분리용 용매로 선정되었다. 향류의 분리도가 병류보다 우수하였으며, 총괄물질전달계수도 구하였다.

  • PDF

가정용 고무호스에서의 유해화학물질 용출 (Harmful Chemicals Migrating from Plastic Hoses Using Household into Tap Water)

  • 배석문;손희종;정현철;최진택;빈재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900-9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재질의 가정용 고무호스들(PVC 재질 4종, PE 재질 1종 및 SC 재질 1종)에서의 유해화학물질 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무호스 재질별 페놀류 용출 실험결과, PVC 재질의 고무호스들 4종에서 체류시간 96시간 동안 0.36~1.97 mg/L의 페놀류가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PVC 재질의 고스 호스들에서 가장 많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 재질의 경우 PVC 재질에 비해 매우 낮은 용출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실리콘 재질에서는 용출이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체류시간별 총 페놀의 용출 농도변화는 체류시간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 잔류염소 농도에 따른 총 페놀의 용출 특성 비교에서는 초기 잔류염소가 0.5 mg/L로 존재할 경우가 잔류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3~3.2배 정도 높게 용출되었으며, 수온에 따른 총 페놀의 용출 특성 비교에서는 수온 $4^{\circ}C$에 비해 $25^{\circ}C$일 경우가 100~104배 정도 높은 용출 농도를 나타내었다. 페놀류 각각에 대한 용출농도를 조사한 결과에서 BPA의 용출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DEHP와 2-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2,4-dichlorophenol 순으로 나타났다.

독성 반응곡선을 이용한 수계 주요 오염물질의 혼합독성평가 (Mixture Toxicity Test of Ten Major Chemicals Using Daphnia magna by Response Curve Method)

  • 나진성;김기태;김상돈;한상국;장남익;김용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4
    • /
    • 2005
  • 기존의 방류수 모니터링에서는 개별 오염물질들의 농도를 기준으로 독성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오염물질들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독성은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혼합독성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C/MS 분석을 통해 방류수 중에 존재하는 주요 독성 기여 오염 물질들을 분석하고, Independent Action(IA), Concentration Addition(CA), Effect Summation(ES) 모델을 사용하여 방류수의 혼합독성을 상호 비교 평가하였다. GC/MS로 분석된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D. magna 기준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10가지의 주요 독성 기여 오염물질을 선별하였다. Chloroneb, butylbenzylphthalate, pendimethaline, di-n-butylphthalate, di-iso-butylphthalate, diazinon, isofenphos, 2-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과 p-octylphenol을 주요 오염물질로 선정하여 혼합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혼합독성 평가 결과는 IA 예측모델과 매우 높은 상관성($r^2\;=\;0.8475$)을 나타내었다. ES와 CA 모델은 IA 모델과 비교하여 혼합독성 결과와 매우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ES는 실측값을 5배나 과도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전남지역 방류수에 존재하는 주요 오염물질들의 혼합독성은 IA 모델을 통해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compounds by 2-ethylimidazole-treated titania under visible light illumination

  • Seo, Jiwon;Jeong, Junyoung;Lee, Changha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3호
    • /
    • pp.223-229
    • /
    • 2019
  • Titania modified by 2-ethylimidazole (2-EI) (denoted as $2-EI-TiO_2$) demonstrat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for the degradation of organic compounds. $2-EI-TiO_2$ was a bright brown powder that exhibited similar crystallinity and morphology with the control $TiO_2$. A diffuse reflectance spectrum indicated that $2-EI-TiO_2$ absorbs visible light of all wavelength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confirmed the cationic state of nitrogen species (e.g. Ti-O-N) on the surface of $2-EI-TiO_2$. Visible light-illuminated $2-EI-TiO_2$ degraded $10{\mu}M$ 4-chlorophenol (4-CP) by approximately 85% in 4 h. The photochemical activity of $2-EI-TiO_2$ was selective in targeting the organic compound. The repeated use of $2-EI-TiO_2$ decreas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for the 4-CP degradation. Experiments using radical scavengers and oxidant probes revealed that the oxidation by photogenerated holes is responsible for the degradation of organic compounds by illuminated $2-EI-TiO_2$ and the role of $^{\bullet}OH$ is negligible.

연속흐름식 반응기를 이용한 TiO2/H2O2/UV에 의한 클로로페놀 제거(除去)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moval of Chlorophenol by TiO2/H2O2/UV Using Continuous flow Reactor)

  • 이상협;박주석;박중현;김동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5-64
    • /
    • 1998
  •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chlorophenolic compounds in $TiO_2/H_2O_2$ combined system was compared with that of in $TiO_2$ sole system. As a result, the addition of hydrogen peroxide in photocatalytic oxidation reaction greatly enhanced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chlorophenolic compounds due to the availability of the hydroxyl radical formed on the $TiO_2$ surface. The hydrogen peroxide under UV illumination produces hydroxyl radicals that appear to be another source of hydroxyl radical form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e $TiO_2/H_2O_2$ combined system shows higher degradation efficiency than the $TiO_2$ sole system. Compared to another oxidation reaction, hydrogen peroxide assisted photocatalytic oxidation is more promising in practical aspect.

  • PDF

기계적 합금화법을 이용한 전이금속 도핑에 따른 TiO2분말의 광촉매 특성 (Photocatalytic Behaviors of Transition Metal Ions Doped TiO2 Synthesized by Mechanical Alloying)

  • 우승희;김흥회;김선재;이창규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6-272
    • /
    • 2005
  • Transition metal ions($Ni^{2+}$, $Cr^{3+}$ and $V^{5+}$) doped $TiO_2$ nanostructured powders were synthesized by mechanical alloying(MA) to shift the adsorption threshold into the visible light region. The synthesized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D, SEM, TEM and BET for structural analysis, UV-Vis and photoluminescence spectrum for the optical study. Also, photocatalytic abilities were evaluated by decomposition of 4-chlorophenol(4CP) under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s. Optical studies showed that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transition metal ions doped $TiO_2$ powders moved to visible light range, which was believed to be induced by the energy level change due to the doping. Among the prepared $TiO_2$ powders, $NiO^{2+}$ doped $TiO_2$ powders, showed excellent photooxidative ability in 4CP decomposition.

티안트렌 양이온 자유라디칼 과염소산염과 큐멘과산화수소의 반응 (Reaction of Thianthrene Cation Radical Perchlorate with Cumene Hydroperoxides)

  • 신종헌;김경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2-149
    • /
    • 1983
  • 아세토니트릴용액중의 티안트렌 양이온 라디칼 과염소산 염(1)은 Cumene hydroperoxide(4), p-chlorocumene hydroperoxide(2), p-nitrocumene hydroperoxide(3)와 상온에서 반응한다. 이 반응의 공통 생성물로서 티안트렌을 얻었으며 4로 부터 5-(4'-hydroxyphenyl) thianthrenium perchlorate (5), 2로부터 5-(5'-chloro-2'-hydroxyphenyl) thianthrenium perchlorate (7)와 5-acetonylthianthrenium perchlorate (6), 그리고 3으로부터 6만을 얻었다. 이 반응의 양관계는 1의 2몰이 티안트렌 1몰과 티안트렌이움 염(또는 염들) 1몰을 생성한다. 1에 대한 친핵성 활성도는 페놀 > > p-클로로페놀 ${\sim}$아세톤 > > p-니트로페놀 순서임이 밝혀졌다. Hydroperoxide의 산촉매 불균일 분해반응외에도 소량의 균일분해 반응생성물이 3과 4로부터 생성됨을 알았다.

  • PDF

국내 하.폐수슬러지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및 염화페놀류의 분포 특성 (Analysis and Distribu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Chlorophenols in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Sludge in Korea)

  • 주준형;김민영;이성희;오정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735-742
    • /
    • 2008
  • 낙동강 유역에 위치한 산업폐수종말처리장에서 채집한 폐수슬러지 시료와 부산 지역 하수처리장에서 채집된 하수슬러지시료를 대상으로 19종의 염화페놀류와 미국 환경보호청(US EPA)에서 우선 오염물질로 지정한 16종의 PAHs를 분석하여 농도 실태 및 분포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PAHs는 1.28$\sim$44.9 mg/kg dry wt.의 범위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슬러지 시료에서 선행연구와 비슷하거나 낮은 농도를 보였지만 I5와 S4 시료의 경우 매우 높은 농도로 검출되어 슬러지의 종류 및 폐수 발생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염화페놀류는 213$\sim$3,850 $\mu$g/kg dry wt.로 검출되었으며, 폐수슬러지에서 더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특히 공단처리수가 하수와 같이 유입되는 하수슬러지 시료의 경우 폐수슬러지와 비슷한 농도수준을 보여 하수보다는 폐수에 의해 이들 물질의 농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슬러지의 종류에 따른 PAHs와 염화페놀류의 분포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폐수슬러지의 경우 폐수가 배출되는 산업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패턴을 보였지만 하수슬러지는 비교적 유사한 분포패턴을 보였다. 식품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I6 폐수슬러지 시료의 경우 하수슬러지와 유사한 분포패턴을 보여 폐수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수슬러지에서 PAHs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phenanthrene, pyrene, fluoranthene이 상대적으로 높은 조성비(30.8$\sim$50.7%)를 보였으며, 염화페놀류는 2-chlorophenol이 36.0$\sim$66.8%의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재조합 미생물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chlorotoluene과 nitrotoluene 화합물의 검출 (Detection of Chlorotoluene and Nitrotoluene Compounds by Recombinant Microbial Biosensors)

  • 이다영;조재호;임운기;신혜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4-60
    • /
    • 2014
  • 방향족 화합물은 독성 환경오염물질로 생태계와 인간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그중 chlorotoluene과 nitrotoluene 화합물은 수생생물에 독성을 나타내며 인간의 피부, 눈, 호흡기를 자극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수의 chlorotoluene과 nitrotoluene 화합물을 저렴하고 간단하게 검출하고자 재조합 미생물 바이오센서를 개발하였다. BTEX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분해 조절 유전자 xylR를 Po' (upstream activating sequences를 제거한 DmpR 조절단백질 promoter Po) 또는 Pu (XylR 고유의 프로모터)::lacZ 유전자(${\beta}$-galactosidase 유전자)의 upstream에 연결한 플라스미드를 제작한 후, E. coli $DH5{\alpha}$에 형질 전환하였다. 유도 화합물 존재 하에서, 아가로스에 고정된 이 재조합 바이오센서 세포는 유도 화합물에 의해 ${\beta}$-galactosidase를 발현하고 기질인 chlorophenol red ${\beta}$-D-galactopyranoside (CPRG)를 분해하여 1~2시간에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BTEX 화합물 중, 특이적으로 o-, m-, p-chlorotoluene ($0.1{\mu}M-100 mM$) 그리고 o-, m-, p-nitrotoluene (0.1 mM-100 mM)에서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Po'가 Pu보다 높은 반응성을 보여주었다. 아가로스에 고정된 바이오센서는 $4^{\circ}C$에서 21일간 보존 후에도 활성의 큰 변화 없이 안정하였으며, chlorotoluene과 nitrotoluene 화합물들로 spike된 전처리 하지 않은 폐수 시료 중에서도 좋은 반응을 보여 주어 폐수 중 chlorotoluene과 nitrotoluene 화합물의 간단한 초기 검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