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생태적 특성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low Analysis in the Baffled Fishway using FLOW-3D (FLOW-3D를 이용한 도류벽식 어도내의 흐름해석)

  • Choi, Soo-Hyoung;Kim, Seo-Jun;Lim, Yoon-Sung;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37-1840
    • /
    • 2009
  • 최근 자연형하천 조성사업과 하천복원 등을 목적으로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생태적인 기능을 고려한 하천설계를 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하천의 생태적 통로가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천 횡단 구조물인 보와 낙차공에 어도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어도 설계는 어도 내의 흐름특성을 정확히 고려하지 못하고 설계되어 어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는 현장 상황에 따라 어도의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게 설계되고 있는 것에 반해 이를 검토할 수 있는 방법이 수리실험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어도내 흐름특성을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도 설계를 위한 수리실험은 시간적, 공간적 및 경제적인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어도 조건과 수리조건을 검토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수치모의는 매개변수 결정에 어려움이 있지만 수리실험에 비해 다양한 형태와 수리조건에 대해 간편하게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도 설계시 간편하게 어도내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 기법을 이용한 흐름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수치모의는 3차원 흐름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였고, 어도 형태는 도류벽식 어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수리실험과 비교하여 수심별로 최대 13% 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있으며, 최대유속 발생 지점을 비교한 결과 하폭의 6% 정도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최종 설계 이전에 어도의 흐름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FLOW-3D를 사용한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comitrium Native to Korea (한국산 서리이끼속의 형태·생태학적 특성 연구)

  • Eunhwa Yoo;Kuynghoon Kim;Sunhee Sim;Wonhee Kim;Shin-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4-64
    • /
    • 2022
  • 서리이끼속(Racomitrium Brid.)은 고깔바위이끼과(Grimmiaceae)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8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 한국산 서리이끼속은 18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그 중 6종은 1900년대 초반 한반도에서 최초 발견되어 신종으로 보고되었다. 서리이끼속 이끼류는 주로 양지바른 바위나 사질토양 등에 서식하고, 건조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예·조경 분야에서 실내 벽면 및 옥상 녹화용 자원식물로 서리이끼속은 주로 늦은서리이끼(Racomitrium japonicum)와 모래이끼(Racomitrium canescens)가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원식물로써 선태류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자생 선태류에 대한 형태적 특징과 함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 제공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식물로 활용이 가능한 한반도산 서리이끼속의 형태·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기준표본 원산지가 한반도인 서리이끼속 6종을 우선하여 서식 환경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기고문 - 조경수 배치 설계사 양성과 경관 상품 개발

  • Ma, Sang-Gyu
    • Landscaping Tree
    • /
    • s.119
    • /
    • pp.8-11
    • /
    • 2010
  • 국가 발전과 국민생활수준 향상으로 조경수를 이용한 경관조림이 생태공원, 도시숲, 학교숲. 거리숲 등의 이름으로 확대되어가는 현상을 보게 된다. 경관조림지를 보면서 행정가의 눈에 의한 행정적 조림, 작업원의 눈에 의한 사업적 조림은 있으나 전문가에 의한 경관조림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곤 하였다. 수많은 조경수들 중에서 본연의 형태와 생태적 요구 특성에 알맞고, 입지특성 및 지역의 문화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수종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일은 물론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경관조성과 관리사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고, 경관의 질도 향상시켜 나감은 물론 경관조성사업의 투자 효율도 증대시키는 측면에서 조경수 배치 설계사 양성의 필요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phology of the ovipositors of wood-boring insects, Tremex fuscicornis and Leucospis japonica (목질을 천공하는 얼룩송곳벌(Tremex fuscicornis)과 밑드리좀벌(Leucospis japonica) 산란관의 형태적 특징 비교)

  • Kim, Ji Yeong;Park, Ji-Hyun;Kwon, Oh Chang;Kim, Jinh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4
    • /
    • pp.554-562
    • /
    • 2020
  • Tremex fuscicornis (Siricidae), known as the xylophagous horntail, and Leucospis japonica (Leucospidae), known as the parasitoid wasp, are wood-boring wasps belonging to the order Hymenoptera. These insects are interesting sources of biological inspi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rilling mechanisms. To study the biomimicry aspec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ovipositor of T. fuscicornis and L. japonica were analyzed using a stereoscopic microscope,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n optical microscope.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 ovipositors between the two species, such as shape, length, surfac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teeth. Evenly arranged teeth were developed at the tip of both the dorsal valve and the ventral valve of the ovipositor of T. fuscicornis and looked like a rotating drill bit. In contrast, in L. japonica, the teeth, which looked like a saw, were found only on the ventral valve. Moreover, the tip of the ovipositor of T. fuscicornis was symmetrically divided into four parts, while that of L. japonica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having a 2:1:1 ratio. However, in the case of T. fuscicornis, after the 14th tooth, four parts melded into three parts maintaining a 2:1:1 ratio, and a dovetail joint was found 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ovipositor that allowed vertical movement for making a hole. Thes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the ovipositor may be due to the insects' lifestyles and phylogenetic distance. Finally, zinc was commonly found at the tip of the ovipositors of both species, a probable result of ecological adaptation created by drilling wood.

A Generalised Pedo-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to Model Ecological Processes (생태환경 분석을 위한 일반화된 지형분류기법에 관한 연구)

  • 박수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8-38
    • /
    • 2004
  • 효율적 인 국토환경 관리와 지속 가능한 생태자원의 보존을 위해서는 지형 및 토양의 공간적인 분포특성과 그것이 각종 자연 및 인문현상들과 가지는 상관성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지형분류법은 대부분 지형형성과정 혹은 지형의 형태의 분류에 치중하여, 그 결과가 지표면에서 나타나는 생태학적 현상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Analysis of physical conditions and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Han river estuary (한강하구습지에서 물리적 조건과 식생분포 특성 분석)

  • Chung, Sang-Joon;Ahn, Hong-Kyu;Oh, Joon-Seok;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8-208
    • /
    • 2011
  •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염수가 교차되고 혼합되는 기 수역으로서 수생 생태계의 중요한 서식처이며 바다와 하천의 중요한 생태통로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4대 하천 중에서 한강하구가 유일하게 하구 둑이 없는 자연하구이며 나머지 대하천은 둑으로 인해 담수와 해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제한되고 생태적인 연결이 단절된 형태이다. 한강하구에는 대규모 습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장항습지는 종단길이 약 7.5km, 폭 최대 500m에 달하는 대규모 습지로서 고라니를 비롯한 동물과 줄, 선버들을 비롯한 식물의 대규모 군락이 분포하는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장항습지와 산남습지를 대상으로 특정구간의 물리적 특성, 식생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포괄적인 현장조사를 통해 전체 식생군락과 분포를 파악하고 특징적인 식생군락을 선정하였다. 2차적으로는 선정된 줄 및 선버들 군락지를 대상으로 토양단면, 토양입경을 분석하고, 새섬매자기 군락지를 대상으로 측량을 실시하였다. 3차적으로는 대상 군락의 지하수위를 측정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우선 한강하구의 지역적 특징에 국한되지만 향후 타 지역과의 비교연구가 수행된다면 대상 식생과 물리적 생장조건과의 정량적인 관계가 도출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긴잎돌김 Porphyra pseudolinearis의 장단체형간 18S-rDNA 염기서열비교

  • ;Long-Guo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57-158
    • /
    • 2000
  • 김(Porphyra)속 식물은 색깔, 체형, 크기, 촉감 등의 식별형질에 근거하여 분류가 시작되었고, Kurogi는 일본산 김속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개괄하면서 김속의 식별형질로서 엽체의 세포층수, 거치상 돌기의 유무, 생식유형, 정자낭반의 형태, 정자낭 및 과포자낭 분열형식, 무성포자의 형성 유무, 지리적 분포, 각포자의 형태 및 생태적 특성 등을 종합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분류 특징을 가지고 70종이나 되는 김을 분류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불충분하여왔다. (중략)

  • PDF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lebeda plagifera femorata (Lepidoptera: Lasiocampidae) in Korea (한국산 대만나방(나비목: 솔나방과)의 생태적 특성)

  • 심상준;이기영;황환준;한상섭;변봉규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9 no.2
    • /
    • pp.83-87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ife history of Paralebeda plagifera femorata in 1998 and 1999. Ginkgo biloba was newly known to be a host plant for the species in this study. The moth has one generation a year. It overwinted as 6th instar larva on branches of the host plant. The 9th instar larva made a rough cocoon by webbing two or three leaves, and pupated on the branch on late June. The moths emerged from early July through early August with a peak around late July. A female oviposited 205 eggs on an average on the branch, twig, or leaf margin.

  • PDF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spatial Ecology of three Species of Vipers in Korea: An Application of Ecological niche-based Models and GIS (한국산 살모사과 3종의 경쟁과 공간적 생태 - 생태적 지위를 기반으로 한 모델과 지리정보시스템 적용 -)

  • Do, Min Seock;Lee, Jin-Won;Jang, Hoan-Jin;Kim, Dae-In;Yoo, Jeong-Ch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2
    • /
    • pp.173-184
    • /
    • 2016
  •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specific competition, spatial distributions and ecological nich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bio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species.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niches of the three Viperidae species (Gloydius ussuriensis, G. brevicaudus, and G. saxatilis) in South Korea were determined based on observation data and species distribution model. The effects of interspecific competition on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division of the ecological niches of the vipers were also examined based on the models of predicted species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variable for their distribution, and the altitudes at which these snakes were distributed correlated with the climate of that region. Although interspecific ecological niches are quite overlapped, their predicted distribution patternsvary by the Taebaek Mountains. When overlaying the distribution models, most of the overlapping habitats were forest areas, which were relatively less overlapped than were the entire research areas. Thus, a parapatric distribution pattern was expected. The abundance of species occurring sympatricall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dicating the lack of serious interspecies competition in this region. In conclusion, although the three Viperidae species in South Korea occupy similar ecological niches, these snakes exhibit parapatric distribution patterns without direct competition. Further research on various geographic variables (e.g., altitude,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using relatively fine grid sizes, as well as further detailed ecological and behavior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causative factors for the parapatric distribution pattern.